-
-
트렌드 코리아 2019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9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8년 10월
평점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9 전망
우리는 모두 미래를 궁금해 한다. 미래를 알고자 하는 욕구는 현실에서의 결핍을 채우고자 하는 본능이 아닐까?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준비하기 위해 내일을 궁금해 하는 것이 정상이 아닐까? 우리나라에서 트렌드 분석에 가장 권위가 있다는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김난도 교수팀은 올해도 새로운 트렌드 분석을 내놓았다.
김난도 교수가 선정한 2019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는 “PIGGY DREAM”이다. 돼지띠인 2019년에 어울리도록 키워드를 생성하였다.
2019년 키워드의 흐름은 “원자화·세분화하는 소비자들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정체성과 자기 컨셉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나나랜드’에 사는 밀레니엄 패밀리, 새로운 과거를 찾는 ‘뉴트로’족을 위한 카멜레존, 1인 1마켓의 시대. 원자화·세분화하는 소비자들은 자기 컨셉을 찾아가는 여정에 오른다.
“이제 마케팅하지 말고 컨셉팅하라.”
책의 1부는 2018년 소비트렌드에 대한 회고이다.
2018년도 10대 트렌드 상품을 통해 확인되는 흐름은
첫째, 현재 지향적 행복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둘째, 공감과 소통에서 재미와 의미를 느끼는 소비자들의 행보가 관찰되었다.
셋째, 소비 시장에 등장한 새로운 세대의 자기만족적 가치관이 변화를 이끌었다.
마지막으로 2018년은 기술이 일상에 스며들면서 간편 기술을 생활 속에서 마주치게 되는 한 해였다.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18년 10대 트렌드 상품
[가정식 대체상품, 관찰예능, 굿즈, 근거리 단기여행, 방탄소년단, 배틀로얄 장르 게임, AI 스피커, 키오스크, 펫 관련 용품 및 서비스, 홈뷰티]
2018년 소비트렌드 회고 WAG THE DOGS
What’s Your ‘Small but Certain Happiness’? 소확행, 작지만 확실한 행복
Added Satisfaction to Value for Money: ‘Placebo Consumption’ 가성비에 가심비를 더하다: ‘플라시보 소비’
Generation ‘Work-Life-Balance’ ‘워라벨’ 세대
Technology of ‘Untact’ 언택트 기술
Hide Away in Your Querencia 나만의 케렌시아
Everything-as-a-Service 만물의 서비스화
Days of ‘Cutocracy’ 매력, 자본이 되다
One’s True Colors, ‘Meaning Out’ 미닝아웃
Gig-Relationship, All-Family 이 관계를 다시 써보려 해
Shouting Out Self-esteem 세상의 주변에서 나를 외치다
2019년 소비트렌드 전망 PIGGY DREAM
Play the Concept 컨셉을 연출하라
컨셉에 살고 컨셉에 죽는 컨셉러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SNS에 올릴 수 있는 ‘인생샷’이다. 성공한 비주얼 전시회는 모든 이들의 SNS 성지로 떠오른 곳들이다.
Invite to the ‘Cell Market’ 세포마켓
‘1인 1마켓’의 시대. 소비자가 판매자가 되는 셀슈머sellsumer의 탄생은 시장의 세포분열을 촉진시키며 새로운 유통혁명을 불러오고 있다.
Going New-tro 요즘옛날, 뉴트로
뉴트로는 과거를 파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비려 ‘현재’를 파는 것이다. 본질은 유지하되 재해석을 통해 현대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즉, 재현이 아니라 해석이다.
Green Survival 필환경시대
현재의 대량생산, 소비 시스템으로 2050년까지 96억 명의 인구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3배나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이미 용량을 초과해버린 지구를 살려내는 길은 ‘순환경제’밖에 없다. 핵심은 적게 쓰고 오래 쓰되 버리는 양은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다.
You Are My Proxy Emotion 감정대리인, 내 마음을 부탁해
감정대리인을 통해 우리는 행복하고 편안하며 즐거운 감정만 느끼길 바란다. 이른바 ‘감정의 해피밀’ 현상은 감정의 맥도널드화를 가속화시키며, 부정적이거나 슬픈 감정을 수용할 수 있는 마음근육을 약화시킨다.
Data Intelligence 데이터 인텔리전스
데이터화란 “삶이 모든 측면을 포착해서 그것을 데이터로 바꾸는 과정”이다. 0과 1의 숫자로 변환된 데이터는 그러나 ‘객관적’이지 않다. 이것을 해석하는 관점이 더 중요하다. 데이터를 정보로, 정보를 지식으로, 지식을 지혜로 향상시킬 수 있는 통찰이 기업의 핵심 역량이 되고 있다.
Rebirth of Space 공간의 재탄생, 카멜레존
호텔과 책의 협업으로 근사한 공간이 탄생했다. 이름하여, ‘이터널 저니.’ 책을 통한 여행은 끝이 없고, 공간의 변신 또한 무한하다.
Emerging ‘Millennial Family’ 밀레니얼 가족
TV에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가 있다면, 밀레니얼 가족의 집에는 밥 잘 사주는 예쁜 ‘엄마’가 있다. 밥을 잘 해주는 것이 아니라 잘 사주고, 그를 통해 남는 시간을 가족에게 헌신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계발에 투자하는 엄마다.
As Being Myself 그곳만이 내 세상, 나나랜드
나나랜드는 진정 나를 아끼고 사랑하는 이들이 정착한 기회의 땅이다. 획일화된 규범과 관습의 거부는 이들의 가장 큰 특징이다.
Manners Maketh the Consumer 매너소비자
거의 모든 직종이 서비스화하면서 이제 감정 노동으로부터 자유로운 직종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울하거나 불편한 속마음을 숨기고 늘 웃어야 하는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은 현대인들의 심리적 고충을 대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