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우나는 JTBC 안 봐요 - 2017년 제13회 세계문학상 우수상 수상작
박생강 지음 / 나무옆의자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우나는 JTBC 안 봐요>란 제목이 살짝 의심스럽긴 했다. 생계 때문에 사우나 매니저가 된 남자의 눈에 비친 대한민국 상위 1퍼센트들의 민낯을 그려냈다는 것도. 일단은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란 말에 시선이 갔다. 기존의 수상작 <꽃그림자놀이>, <고양이를 잡아먹은 오리>, <저스티스맨>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던 까닭이다. 세계문학상에 응모할 때의 제목은 원래 <살기 좋은 나라>였단다. 그런데 출판사 관계자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이 난감해 하는 바람에 얼떨결에 <우리 사우나는 JTBC 안봐요>로 제목을 바꿨다고 한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이 책속에 JTBC에 관한 이야기는 단 한줄도 없다. 그럼 또 낚인거냐?  작가의 말을 빌어보면 책의 제목에 정치적인 은유는 없다고 한다. 그렇다고 한 방송사를 높이거나 깎아내리려는 의도도 아니라고 한다. 책을 읽어보니 그 말이 틀린 말은 아니네, 수긍한다. 그런데 정말 보수층은 JTBC를 안볼까? 물어보고 싶어진다.

 

나는 이 소설이 자전소설처럼 읽히기를 바라지 않았다.. 작가의 말속에 있는 문장이다. 그러나 어쩌랴, 그렇게 하지 않으려해도 어쩔 수 없이 자전소설로 읽힌다는 게 내 솔직한 심정이다. 필명을 박생강으로 바꾸고 새롭게 다시 시작할 무렵 그가 직접 경험했다는 사우나 매니저 일이 이 소설의 동기가 된 것만 봐도 그렇다. 자전소설이면 어떻고 자전소설이 아니면 또 어떤가. 그가 이 소설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만 알 수 있다면 그만인데. 그러나 애석하게도 그게 잘 안보였다. 도대체 뭘 숨겨둔거지? 너무나 조심스러운 느낌이 가져오는 실망감이랄까? 1년동안 상위 1퍼센트의 남자들을 상대했으면서 아무런 메세지도 담지 않은채 이 글을 쓸 일이 없을 거라고 나는 생각했었던 까닭이다.

 

책을 읽다보면 우리가 살아내고 있는 현실의 문제와 마주치게 된다.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진 우리 사회의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사우나에서 일하면서 느꼈던 문화적인 충격이라고 말은 하고 있지만 사실은 뉴스를 통해 수도없이 들어왔던 이야기다. 대한민국 1퍼센트 부자들이 다니는 신도시 고급 사우나, 라는 배경이 예사롭지 않게 다가온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그 사우나는 현재 고급형은 아닌듯 하다) 그 안에서는 모두가 벌거벗고 있다. 벌거벗은 몸뚱이로 여전히 '갑질'중인 사람들의 이야기. 벌거벗은 사람도, 그들의 시중을 드는 사람도 모두가 자존심 하나로 버텨내는 현실. 없으면서 있는 척, 알면서 모르는 척.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듯 하면서도 나 이런 사람이야,를 끝도없이 외쳐대는 사람들과 그들 사이를 왔다갔다하며 제 이름을 잃어버린 사람들. 그들 사이에는 아무런 감정도 없다. 그저 로봇처럼 서로가 서로의 앞을 지나쳐갈 뿐이다. 우리는 왜, 어쩌다가 이런 사회를 만들어낸 것일까?

 

읽기 시작했으니 그냥 내처 읽었다. 재미없다고 중간에 그만 둘 수는 없으니까. 뭐, 솔직히 재미는 없었다. 그런데 책장을 덮으면서 묘한 여운을 남긴다. 책을 덮고 책표지의 그림을 한참동안 보았다. 벌거벗었으면서도 뭐가 그리 잘났다고 저리 인상을 쓰며 떠들어내고 있을까? 情을 나누지 못하는 사회, 이분법적인 해석이 난무하는 너무나도 편협된 사회. 하다못해 청소년과 청년, 중년과 노년이라는 세월의 흐름까지도 선을 그어 나누어버리는 이 사회의 아픔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근데 저 사람들 진짜 1퍼센트 맞나요?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