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뒷골목을 우리가 본 적이 있을까? 있긴 있을 것이다. 드라마나 영화속에서 잠시 스치거나 아니면 높으신 양반들의 위세를 표현하기 위해서 보여주었던 배경들.. 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그렇게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것보다는 그 안에서 살아 숨쉬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바로 조선의 뒷골목 풍경을 만들어냈을 것이다. 그런 생각으로 펼쳤던 이 책은 나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고, 호흡을 한번씩 가다듬어야 했던 순간을 만들어주었다. 조선이라는 나라는 남자의 나라였으며, 양반의 나라였고, 사대부들의 나라였고, 왕의 나라였다. 그러니 역사는 그들에 의해 쓰여졌을테고, 그들만의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을 것이다. 게다가 옛날에는 높으신 분들이 백성을 어떻게 다루었는가 생각해보면 그 역사속에 뒷골목 풍경이 담긴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을테다. 그러나 가끔씩은 그 뒷골목 풍경이 보여지기도 했다. 김홍도나 신윤복과 같은 그림쟁이들의 그림속에서 말이다. 그러나 그것도 어찌보면 그들이 그리고 싶어 그렸던 것은 아닐 것이다. 김홍도만해도 왕의 정사를 돕기 위해 백성들의 삶을 쫓아다녔다. 그림을 보면 그 시대의 풍속을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것도 모든 그림을 두고 하는 말은 아닐 것이다. 그것처럼 역사는 힘 있는자, 가진자에 의해 기록되어졌다.

아웃사이더라는 말을 떠올린다. 조선시대의 민중이 그러했을 것이다. 이 책속에서 보여주고 있는 민중의 모습이 그렇게 느껴졌다. 어떤 상황하에서 자신들이 가야할 길을 명확히 알았던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만들어내는 삶의 일부.. 지금까지 우리가 배워왔던 역사의 이미지와는 너무나도 다른 인물들의 모습을 보면서 알 수 없는 시원함이 느껴지는 건 왜일까? 그들도 이렇게 살아있었구나, 싶은 마음이 드는 건 왜일까? 그들의 삶도 분명 하나의 역사였을텐데 우리는 왜 이런 역사를 배우지 못한 채 살아왔던 것일까?  옛기록과 사진을 곁들여 들어보는 이야기들은 그리 멀지않게 다가온다. 물론 보는 사람마다 느낌은 다르겠지만 흥미진진했다. <방자전>이라는 영화속에서 얼핏 드러나던 조선시대 과거제의 부정부패는 만들어낸 것이 아니었다. 또한 우리가 배워왔던 역사속의 인물들이 영화나 드라마에서처럼 민중과 가까웠던 사람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하나같이 널리 백성을 보살펴주었던 사람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마치도 백성만을 위해서 살아왔던 사람처럼.. 누구나 치부를 드러내는 것은 싫어한다. 하물며 한나라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데 있어서야 말 할 필요가 있겠는가..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런것조차도 우리의 역사로 받아들일 줄 아는 넓은 마음이 필요하다.

책의 목록에서 나의 시선을 끌었던 대목을 살펴보자면 이렇다. 민중속에 살면서 수만 백성을 살렸던 이름없는 명의들, 그들은 우리에게 이름석자조차 남기지 못했다. 백성들은 굶어죽거나 말거나 제 욕심만 채우고자 했던 양반들의 세상속에서 모이면 도적이 되고 흩어지면 백성이 되었다는 군도와 땡추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금주령을 내리게 된 배경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되었다. 도살면허가 허락되었으며 일종의 치외법권 지대로 변모해갔던 반촌이라는 동네는 놀라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았던 술집과, 반촌이외의 곳에서 도살되던 많은 가축들은 어인 까닭인가.. 가장 궁금했던 왈자들의 삶은 이채로웠다. 이쪽과 저쪽의 삶을 살아냈던 별감 역시 왈자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든 계급에는 계층이라는 것이 있게 마련이다. 같은 계급내에서도 계층은 존재한다. 그들이 바로 왈자요, 별감이었으니 나름대로 그들의 삶을 유추해보게 된다. 그런 그들이 있어 민중은 좋기도 했고, 싫기도 했을 것이다.  마지막장에서 보여주던 옛 서울의 주민구성은 내게 큰 도움을 주었다. 서울이라는 지명속에서 각각의 사람들이 각각의 상황에 맞게 터를 잡았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상징성처럼 유지되었다. 북촌이니 서촌이니 남촌이니 하는 지명을 통해 우리는 그들만의 생활을 생각해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들이 왜 그곳에 터를 잡게 되었는가를 알게되면 사회적인 흐름 또한 읽을 수가 있다. 가만히 따져보면 반이상이 궁궐이었던 서울이었다. 그 궁궐을 가깝게 혹은 멀리에 두고서 그들의 삶은 이어져왔던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피맛골이 생각났다. 그 피맛골을 서울시에서 없애버린다고 하자 일부 사람들은 목소리를 크게 했었다. 그러나 그 골목은 이내 사라져버리고 일부는 서울역사박물관속으로 들어갔다. 물론 역사적인 의미보다도 개발을 우선적으로 생각했던 官의 처사도 옳은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다시한번 생각해보자. 피맛골이 없어진다고 하기전에 역사적인 의미를 생각했던 우리는 또 얼마나 되었던가를.. 서울시내를 돌아다니다보면 알게 모르게 지나쳐가는 역사속의 배경은 꽤나 많다. 느닷없이 나타나 무슨무슨터였다는 얼굴로 만나는 표지석을 세우기전에 우리가 먼저 그 의미를 되새긴다면 지금부터라도 되살아나는 의미들은 많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늘 배우지 않은 역사의 뒷모습이 궁금했었다. 주연보다는 그들을 받쳐주고 있었을 조연이나 행인1,2.3의 모습은 왜 보이지 않는 것일까 궁금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이 책과 같이 뒷모습을  다루어주는 책들이 많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래서 지금보다 더 알찬 책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욕심을 가져본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