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블 - 전2권 - side A, side B + 일러스트 화집
박민규 지음 / 창비 / 2010년 11월
평점 :
눈이 흩
나렸다. 싸락눈이었다....
이런 문장, 사실 내게는 좀 생소하다.
다들, 먹고살아야 할 사람들이다. 별일 없이
별탈없이, 먹고산다면 나로선 그만이다..
역시 반복되는 이런 문장들, 처음엔 뭐지? 했었다. 도대체 무슨 효과를 노리는거야? 했다.
한참을 읽었으면서도 어떤때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고 싶어진다. 한참을 읽었으면서도 어떤때는 짜증이 밀려오기도 한다. sied A를 다 읽고 결국에는 작가의 말을 찾아간다. 가능한 객관적이라 볼 수 있는 사실들만 말하고 싶다,던 그의 말을 읽는다. 어느정도는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데 또 어느정도는 이해와 인내심을 필요로 한다. 문득 신문에서 본 듯한 말이 떠오른다. 문제적 작가... 문제적 작가라는 건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문제를 제기하고 그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해내는 사람이라는 말을 찾아낸다. 어쩌면 자기안으로의 여행일거라는 말도... 그러면서 다시 읽어본 작가의 말은, 특색있다. 작가의 말조차도 자기자신에게 쓸 줄 아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지구영웅전설』, 『카스테라』, 『핑퐁』,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까지 그가 쓴 작품은 꽤나 많았다. 그리고 그 작품의 이름들을 익히 들어본 바지만 나는 사실 박민규라는 작가의 글을 한번도 읽어보지 못했다. 아니 읽어보고 싶지 않았다는 게 솔직한 말일게다. 발표하는 작품마다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는 말을 보면서 박민규라는 작가에게는 어느정도의 마니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알아보니 상도 참 많이 받았다. 한국소설의 새로운 흐름을 대표하는 아이콘... 잘 모르겠만 그의 글들을 읽으면서 현실적이라는 말을 떠올린 건 사실이다. 현실을 직시하는 글.. 하지만 나는 잘 모르겠다. 그의 몇몇 작품속에서 풍기는 환타지적인 분위기를 감당해내기엔 내가 너무 역부족이었기에.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속에 불편한 진실은 많다. 까발려지기보다는 숨겨야 더 아름답게 보여지는 것들도 참 많다. (아니 그렇게해야 아름다운거라고 생각하는것이겠지만..) 하지만 언젠가는 그것들이 참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싶어 할 때가 온다. 반드시... 그럴 때 우리의 기분은 어떨까? 감추고 싶었던 치부를 드러냈을 때의 기분과 똑같지 않을까? 수없이 출판계를 떠도는 일본소설을 읽으면서 현실직시라는 말을 떠올리곤 했었다. 피해가려 하지 않고 그 문제들을 담담히 글로써 엮어내는 타국의 글쟁이들이 부럽기까지 했던 적도 있었다. 우리는 왜 안될까? 하면서... 하지만 이미 우리에게도 그런 글을 쓰는 작가는 충분히 있었다. 단지 우리가 불편해 했을 뿐. 박민규라는 작가의 글을 처음으로 대하면서 가슴 한쪽 저 깊은 곳에서부터의 울림도 느껴보았다. 그럴 수 있어서 좋았다. 조금은 황당한 기분을 맛보아야 했던 글도 있었지만 말이다. 가면을 쓴 표지의 인물은 그일까? 그였을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어쩌면 은유적인 표현으로 다가설 수도 있을 우리의 모습일수도 있겠다고...
누군가에게 선물로 쓰여졌다는 글들은 마치도 내가 선물을 받은 듯한 기분이 든다. 소싯적의 꿈과 현실의 좌절은 같이 가는 평행선처럼 그려진다. 그 꿈들이 현실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우는 몇 퍼센트나 될까? <근처>라는 제목을 달고 가장 먼저 내게 물어왔던 것은 그것이었다. 이제는 발등의 불로 떨어져내린 노인들의 삶은 차마 버릴 수 없는 우리의 십자가일런지도 모를 일이다. <누런 강 배 한 척>이나 <낮잠>을 통해 보여주던 노인들의 현실은 정말 참담했다. 이렇다 할 이유도 없이 살인을 하는 <루디>는 이 세상 어디에서나 마주칠 것 같은 존재였다. 그만큼 우리는 인간성을 상실해가고 있는 거라고... 상당히 도발적인 느낌을 전해주었던 그의 글들이 이상한 여운을 남긴다. 읽다가 다시 읽고,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나는 다시 앞으로 되돌아가 있기를 몇 번.. 거대한 이미지로 공중에 떠 있던 <아스피린>의 존재는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구급약은 아니었을지.. <비치보이스>나 <딜도가 우리 가정을 지켜줬어요> 속에서 묘하게 일그러진 청춘과 그 청춘들이 일궈냈던 가정이라는 테두리의 한 집단과 마주쳐버리고 말았다. 어쩌면 외면하고 싶었을 우리의 현실.. 슬그머니 가슴을 쓸어내리게 하던 순간들이 많지 않았나 싶다. 모르겠다고 내팽개져버렸던 것들에게 슬며시 다시 다가가는 그런 느낌들은 생소하면서도 꽤나 스릴있었다.
무언지 모를 새로운 경험을 한 듯한 기분이 든다. 하지만 이 작가의 글을 다시 읽고 싶다는 욕심은 생기지 않는다. 나의 역부족을 인정하기에... 그러면서도 기존의 작품 중 한 두편 정도는 더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것은 왜일까? 처음 접해본 그의 글들은 생소함과 낯설다는 차원을 넘어서서 상당한 흡입력을 가진 게 분명한 듯 하다. 그의 글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의 다음작품에 대한 목마름이 꽤나 심각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러니 그들의 갈증을 풀어주기 위해서라도 그는 열심히 글을 쓸게 분명하다. 작가의 말에서처럼. 책을 내면서 약력이며 추천사, 또 해설같은 것을 모두 걷어낸 것이 나와도, 그와도 무관한 일들이기 때문이라던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더 열심히 쓰는 일 뿐일테니 말이다. 앞으로도 질긴 생명력으로 살아남을 그의 글이 되기를 기원해 본다.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