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전 : 악몽일기
박승예 글.그림 / 책나무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이런 책은... 솔직하게 말해 좀 당혹스럽다. 책표지의 그림은 무한한 소기심을 불러 일으키기엔 충분했다. 악몽일기라는 제목조차도 '꿈'이라는 낱말에 대한 우리의 기본적인 생각을 거부할 수 없게 했다. 그림에세이... 그림과 글이 서로 어우러져 우리에게 전해주는 그 무엇을 찾아내는 것.. 꽤나 난감했다. 지극히 개인적인 그야말로 무의식의 존재에 대한 기록들이라니... 이 책에 호기심을 느낀 것은 단순히 책표지의 그림 때문만은 아니었다. 사실 나에게 꿈이라는 것, 그리고 악몽이라는 것은 그다지 먼 존재가 아닌 까닭이다. 꿈 좀 꾸지 않고 잠을 잘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말을 버릇처럼 하다보니 꿈이라는 소재가 궁금했던 거다. 내노라하는 사람들의 거창한 꿈이론을 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나에게 어떤 이들은 무슨 생각이 그렇게 많아서 그리도 꿈에 시달리느냐고 하고, 어떤 이는 그냥 머릿속을 비우면 잠을 잘 잘수가 있다고도 한다.  그런데 생각없이 사는 사람이 이 세상에 몇이나 될까? 나 역시도 내가 나를 다스리지 못해 꿈에 끌려다닌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다.  왠지 부끄럽기도 했지만 어쩌겠는가 말이다. 보다못해 <수면의 기술>이라는 책을 선물해 주던 지인은 지금도 가끔 요즘은 어때? 라고 물어온다.

양 한마리, 양 두마리, 양 세마리.... 100,99,98,97, 100부터 거꾸로 숫자세기... 잠이 올 때까지 책읽기(하지만 이 방법은 절대 안된다. 나는 책만 읽으면 오던 잠도 달아나는 판이니)..  해 볼 건 다 해봤지만 여전히 해결책을 찾지는 못했다. 마지막으로 선택한 방법이 잠이 올 때까지 자연스럽게 기다리기다. 어쩌면 이 책을 구원의 심정으로 읽었을지도 모르겠다. 똑같은 꿈을 꾸면서 거기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있지는 않을까 하는... 그 혹시나 하는 마음을 이제는 접어야겠지만 무의식의 존재라는 말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 보게 된다. 저자가 말하는 무의식의 양면성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내 안에 자라고 있는 작은 아이'라는 말은 들어본 적 있지만 이건 그 의미와는 별개인 듯 하다. 현실과 꿈은 정말로 그 반대의 현상일까? 무의식적으로 내 감정을 지배하고 있는 것들이 꿈으로 표현되어지는 것일까?  악몽 자체를 두려움과 불완전함이라던 저자의 말에 어느정도는 공감을 한다. 하지만 나의 경우엔 불완전함이 아니라 불안함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

그림에세이 인지라 그림 반, 글 반이다. 그런데 그림이 주는 느낌은 너무 강렬하다. 꿈의 재해석쯤으로 보고 싶은데 그 꿈, 악몽이라는 것이 그토록이나 강렬하게 우리를 잡아채는 모양이다. 자연스러운 상상이라기보다는 무언가 보이지 않는 틀에 얽매인 상상같다는 생각을 한다. 정석에서 살짝 비틀어놓은 그런 느낌 말이다. 아마도 그럴 것이다, 라고 나는 혼자서 생각한다. 꿈이라는 것 자체가 우리의 비틀린 현실일 것이라고... 내가 끊임없이 시달리고 있는 나의 꿈조차도 현실속에서 무언가에게 쫓기듯하는 내 생활의 일부일 것이다. 좋은 뜻의 꿈이라고 하면 일단 돼지꿈? 용꿈? 똥꿈? 대체적으로 복권에 당첨되었다거나 하는 사람들의 말을 빌어보자면 그렇다는 거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인 꿈해석도 다양하다. 그만큼 우리의 주체적인 생각이 더 중요하다는 말일게다. 그러니 어쩌면 꿈조차도 내가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아닌가 싶은데 잘 모르겠다.

이 책을 내면서 작가의 말이나 누군가의 해설을 어느 한쪽에 첨부했더라면 어땠을까? 지극히 주관적인 관념의 세계를 아무런 장치도 없이 들여다 본다는 것은 그다지 상쾌한 일은 못된다. 그래서인지 내게는 그리 많은 것을 던져주지 못한 듯 하다. 내 안에 살고 있는 또다른 괴물의 존재라는 말보다도 공생의 방법을 모색하면서 불안과 불만의 삶을 극복하려 하려고 합니다.거울 속에 비친 모습과 거울 밖의 실제 모습에서 또 다른 기준의 욕망을 발견 (책소개글에서).. 이라는 말은 가슴에 와 닿는다.  악몽이었지만 꿈에 대한 일기를 쓰고 그림을 그리는 일로 무언가를 극복하려 했다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우리는 항상 무언가를 이겨내기 위해 살아가는 것일까?  어쩌면 내어주고는 살지 못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은 아닐까? 비워야 한다는 것, 비운다는 것의 의미가 강하게 다가왔던 시간이었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