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5도살장
커트 보네거트 지음, 박웅희 옮김 / 아이필드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드레스덴.. 독일의 피렌체라고 불리울만큼 아름답다는 도시. 제2차 세계대전때 이 곳은 영미연합군 공군 폭격기의 대대적인 공격을 받게 된다.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나치 독일이 러시아 포로들을 대량 살육할 목적으로 대단위 수용소를 지었던 곳이 바로 그곳 드레스덴이다. 독일군 감시자는 그곳의 주소가 '슐라흐토프-퓐프'- '다섯 번째 도살장'이라고 말한다. 전쟁포로가 된 미군 보병대의 낙오병 빌리.. 그가 겪은 일들은 회상형식이다. 그리고 저자가 겪었다던 끔찍한 기억이기도 하다. 저자는 그것을 어떻게 알려야 하는지 고심을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찾아낸 방식이 참 흥미롭다. 트랄파마도어라는 행성을 다녀오는 빌리의 기억들은 보통의 사람들이 보기엔 분명히 정신분열이다. 미친 사람의 이야기는 누구라도 곧이 듣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빌리의 입을 통해 들려주는 참상이 더 안타깝게 느껴질런지도 모르겠지만. 드레스덴의 대폭격 현장에서 우연인지 다행인지 살아남게 되어 귀환한 그의 직업은 검안사였고 꽤나 안정된 수입으로 괜찮은 생활을 꾸려나간다.
딸의 결혼식 날 트랄파마도어 행성으로 끌려가게 되었던 빌리의 삶은 어땠을까? 그 부분에서 먼저 보았던 <걸리버 여행기>의 한부분이 떠올랐다. 떠다니는 섬의 이야기처럼 조금은 황당하게도 들리지만 말들의 나라에서 '야후'라는 이름으로 짐승처럼 부림을 당하던 사람들의 모습을 떠오르게 했던 까닭이다. 그가 우주인들에게 납치되어 그들의 4차원적 시간관을 배우게 된 것은 어쩌면 다행스러운 일일지도 모르겠다. 멀쩡한 정신으로 자신의 기억을 이야기한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을테니 말이다. (어쩌면 자신의 기억을 되살려내는 저자의 편법일수도 있겠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내 기억속을 맴돌던 영화 한편.. <인생은 아름다워>라는 영화.. 정말 오래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생생하게 남아있는.. 아들을 향한 아버지의 부정이 눈물겨웠던 이야기.. 전쟁을 바라보는 시선중의 하나를 새롭게 느낄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그렇게 말한다면 이 작품 역시 그렇고 그렇게 뻔한 스토리의 전쟁이야기였다고 치부될 수도 있겠지만 어찌되었든 나는 그랬다는 말이다.
사실 이 이야기속에 커다란 울림은 없어보인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너무 밋밋하게 다가온다. 전쟁이라는 커다란 테두리를 아무렇지도 않은 일상처럼 겪어냈던 사람들이 있다. 낙오병들이 함께 했고, 적군을 만나 포로가 되었고, 그들은 끌려갔다. 수많은 죽음을 보았고 끝도없는 총소리를 들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주인공 빌리는 감각조차 마비되어버린 듯한 시간을 보낸다. 이야기는 현재와 과거의 기억속을 오고간다. 어찌보면 조금은 난해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책을 읽었다던 사람들의 한 줄 서평은 왠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웃어서는 안되는 웃기는 책? 블랙유머라고는 했지만 나는 웃지 못했다. 눈물 흘릴 수 없는 슬픈 책? 그렇게까지 깊은 슬픔을 찾아내야 했다면 나는 정말 실패다. 통렬하고 아주 재미있다? 어떤 면을 보고 그렇게 말 할 수 있는 것인지 나는 지금도 궁금하기만 하다. 물론 빌리 필그림의 시간여행속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 없었다는 말은 아니다. 단지 무엇이 그토록이나 우스웠는지, 무엇이 그토록이나 통렬하고 재미있었는지 나는 찾아내지 못했을 뿐이다. 한 권의 책을 보면서도 수많은 감정과 의견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놀랍지 않은가 말이다.
우리가 무언가를 이야기할 때 직접적인 표현이 있는가 하면 살짝 감춰주는 듯한 은유적인 표현이 있다. 직접적인 표현을 써서 좀 더 강한 자극을 줄 수도 있고, 은유적인 표현을 써써 길게 남은 여운을 줄 수도 있다. 그렇게 본다면 나는 이 책이 은유적인 표현을 썼다고 말하고 싶다. 제2차 세계대전, 그 혼란의 와중에서 직접 보고 겪게 되었던 전쟁의 참상을 자신의 입으로 말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차마 말로는 할 수 없는 것들, 그러나 누군가에게는 꼭 전해야만 했을 상황을 저자는 빌리 필그림의 시간여행을 통해 보여주고 있음이다. 지금도 노구를 이끌고 반전활동을 하고 있다는 저자의 아픔을 이야기 한 이 <제5도살장>이 고전이라는 또하나의 옷을 입었다고 하니 시간과 마음이 허락한다면 다시한번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책이 전해주는 느낌보다도 뒷부분 '옮긴이의 말'이 오히려 더 깊이가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