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책 일루저니스트 illusionist 세계의 작가 4
카를로스 마리아 도밍게스 지음, 조원규 옮김 / 들녘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진나라의 재상이었던 이사의 주장으로 책을 불사르고 구멍을 파서 학자를 묻었다는 분서갱유가 있었다. 그런데 여기서 지나칠 수 없는 것은 모든 책을 불살랐던 것이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실용적인 책을 제외한 사상서적을 불태웠을 뿐이고 모든 학자가 아닌 유학자들을 묻었을 뿐이었다. 나름대로는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가끔씩은 책이라는 것이 누군가의 삶에 도움보다는 해가 되는 일도 있는 까닭이다. 책을 아주 멀리하고 사는 사람이 아니라고 자부하는 까닭에 이 책의 제목은 상당히 구미가 당겼다. 위험한 책.. 책이 위험하다고? 어째서? 아니 무슨 책이 위험하다는 거지? 사실 솔직하게 의견을 말하라고 한다면 모든 책이 다 우리에게 유익한 것은 아니다. 읽어서는 안되는 책도 있고, 읽지 말아야 하는 책도 있고, 읽지 못하게 막아야 할 책도 있다. 도대체 이런 책은 왜 나온거야? 감히 이렇게 말하고 싶은 책도 많이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런 뜻이 아닌 듯 하다.분별없이 책을 읽는 사람의 마음을, 책만이 오직 자신에게 필요한 것인듯 의지하는 사람의 의존성에 대해 말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 책에 대한 사랑이 너무 커져서 끝내는 책으로 인해 자신을 망쳐가는 한 사람의 흔적을 쫓고 있음이다.

책 한 권을 버리기가 얻기보다 훨씬 힘겨운 때가 많다. 우리는 궁핍과 망각때문에 책들과 계약을 맺고 그것들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지난 삶에 대한 증인처럼 우리와  결속되어 있다. (-17쪽)  책에 대한 나의 열정을 보면서 남들이 말하기를 정말 책을 좋아하시는군요! 였다. 그렇다면 나는 정말 책을 좋아할까? 단연코 아닌 듯 하다. 지금 여기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궁핍과 망각때문에, 그리하여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지난 삶에 대한 보이지않는 고리처럼 존재하는 것이 나를 찾아오는 책들에게 부여해주는 의미가 될 것이다. 그런 까닭에 나에게 있어 책 한 권을 버린다는 건 정말이지 힘겨운 일이다. 빌려준다는 것 자체도 엄청 두려운 현실인데 더 말해 무엇할까.. 일종의 버팀목처럼 나를 견뎌주는 책이 고마울 뿐이다.

어쩌면 아실지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책을 읽을 때 거의 진동이 감지되지 않을 정도로 철자들을 발음하곤 합니다. 책읽기란 완전한 침묵에 잠기는 일이 아니지요. 우리의 목소리가 언제나 함께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60쪽)  공감한다. 다만 침묵속에서 책을 읽고 있다고 생각할 뿐이다. 나 역시도 책을 읽으며 내 안의 목소리를 듣는다. 어찌보면 내 안의 목소리가 듣고 싶어 책을 읽는지도 모르겠다. 가끔씩 그 목소리가 들려오지 않을 때가 있다. 어김없이 헤매고 있는 나를 보게 된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잇는 통로들을 이리저리 헤매다니고 있을 뿐이다. 어디에서든 자리를 찾아야 하는데, 그래야 앞으로 나아가며 소리를 들을 수가 있는데... 내 안의 소리를 듣는다는 것이 그토록 힘겨운 일이라는 말일게다.

이 책속에서는 책을 사랑하여 모든 것을 잃어가는 한 남자의 뒷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마침내는 책으로 집을 지어 그 집안에서 생활하게 되는 그 남자. 너무나도 많은 책들이 있었지만 단 한 권의 책조차도 버리지 못했던 그 남자는 마침내 책을 벽돌 삼아 집을 지었다. 버릴 수 없었기에.. 그것은 정말로 버거운 집착이었지만 그는 그 집착을 놓치고 싶어하지 않았다. 자신이 살아야 할 이유가 거기에 있다는 듯이.. 그리고 한때 사랑했던 여인으로부터 받았던 책을 돌려달라는 편지를 받고 모든 것은 끝난다. 그 한 권의 책을 찾아내기 위해 책으로 된 벽에 구멍을 뚫기 시작 했으니.. 그 책을 찾기 위해 그의 종이집은 사라져버렸고 그와 함께 그의 모습도 사라져버렸다. 누구도 그의 소식을 듣지 못했다.

이 책을 읽고 난 뒤 책을 읽는 나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한 권, 두 권 늘어가는 책을 보면서, 점점 높아가는 책계단을 보면서 흐뭇함을 느낄 때가 더러 있기는 하다. 나는 정말 책을 사랑하는 것일까? 내가 정말 책을 좋아하기는 할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이면 쉬고 싶다고 생각을 하면서도 어김없이 책을 찾아 헤매는 나를 보면서 스스로 묻기도 했다. 이런게 중독이라는 걸까? 실제적으로도 책을 보지 않고 이삼일 건너뛰게 되면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느끼기도 한다. 한 두쪽만이라도 읽어야 그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으니 중독일거라고 자체적인 진단을 내려버렸다. 책에서도 말하고 있는 -참을 수 없는 것들을 모두 망각하는 은총-을 입지 못해 그러려니 한다. 내게 있어서 책은 일종의 도피처다. 그러면서 책은 나만의 연고다. 상처 난 곳에 살짝 발라주면 되는 그런 것... 그러니 아주 위험한 책이 아닐 수 없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