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은 자란다 - 아라이 연작 소설
아라이 지음, 양춘희 외 옮김 / 아우라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티베트.. 꿈결같은 이미지를 품고 있는 곳. 하지만 그곳이 왜 그렇게까지 꿈결같은 이미지를 품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단지 죽기전에 한번쯤은 꼭 들러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을 뿐이다. 지금은 중국의 한 자치구에 속해있지만 그들도 한때는 그들만의 나라일때가 있었다. 단단하게 뿌리박힌 티베트 불교의 단아함속에서 작지만 욕심없이 살아왔던 소수민족이었을거라고 생각되어지지만 어찌되었든 그들이 중국의 침략에 무참히 밟혀 하나의 자치구가 되어버렸을 때 그들에게 남겨진 것은 무엇이었을까 감히 생각해 보게 된다. 포탈라궁이라는 언덕위의 사원이나 현재까지도 어디에 머물지 못한 채 이곳저곳을 떠도는 그들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라마의 존재가 어쩌면 나에게 그 꿈결같은 이미지를 만들어낸 건 아니었을까?

아주 오래전 <티벳에서의 7년>이라는 영화를 통해 나는 처음으로 티벳을 보게 된 것 같다.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는 그들의 종교생활은 지금 생각해보면 저렇게 무너져내릴 건 아니었지 싶기도 하고.. 환생이라거나 윤회라거나 하는 사상 따위는 믿지 않지만 왠지 무너져버린 그들의 종교적 의미가 안타깝게 느껴졌던 까닭이다. 티베트어로 신의 땅이라는 뜻을 가졌다는 '라싸'라는 지명 하나만 보더라도 그들에게 있어 종교적인 의미가 얼마나 큰 힘을 발휘했는가는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는다. 그런데 티벳인이라는 작가 아라이의 시선은 우리가 바라보는 그 꿈결같은 이미지를 거부하고 있다. 당신들이 꿈꾸는 티벳의 속살이 이렇게 생겼습니다, 라고 말하는 듯이.. 그렇게 중국이라는 커다란 장화아래 짓밟혀 있지만 그래도 이렇게 꿈틀거리며 아직은 살아 있습니다, 라고 말하는 듯이.. 아무리 그랬어도 티베트라는 단어가 안고 있는 그 신비스러움이 없어질 것 같지는 않다.

처음엔 책속의 흐름을 따라가기에 힘겨웠다. 무엇을 말하고 싶어하는지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앞서고 작가가 보여주고 싶어하는 그들만의 생활을 이해하기가 쉽진 않았다.  모든 것을 체념한 채 다시 새로운 것을 받아들여야만 했던 그들만의 현재가 책속에 녹아있었지만 왠지 전날의 환상적인 이미지를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 끈끈함이 느껴지기도 했다. 왜 그랬을까? 아무리 새로운 것을 받아들인다고는 하지만 옛것을 향한 향수를 차마 버릴 수 없었던 때문일까?  이 책속에는 대체적으로 라마, 즉 라마교의 고승으로써 수도만을 목적으로 살다가 중국의 문화대혁명에 의해 철폐되는 사원을 떠나 환속해야 했던 수도승들의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오로지 경전만을 읽을 줄 알았던 그들이 사회의 현실적인 삶에 동화되어가는 모습을 그려내고 있음이다. 그들을 통하여 당시의 티베트인들이 만들어가던 사회상을 볼 수가 있다. 

어디나 다 그렇다. 무너져가는 가정이나 무너져가는 민족 또는 나라의 마지막엔 다시한번 불사르고 싶어하는 한줄기 흐름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다 안되면 서서히 현재에 동화되어져 가거나 아니면 체념이나 포기를 하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그들도 그랬다. 마을로 내려왔으나 쉽게 마을사람들속에 섞여들지 못했던 것 같다. 하지만 작가는 그대로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는다. 1950년대 이후 쓰촨과 티베트 경계의 지촌이라는 마을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삼고 있으면서 그들의 평범한 삶속에서도 변화의 물결에 순응하는 한편 새로움에 대한 기대 또한 놓치지 않는 듯 하다. 몇 편의 짧은 이야기속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을 통해서 작가는 그런 마음을 잘 드러내고 있다. 그러면서도 중국사람이 아닌 티베트사람으로서의 긍지 또한 뚜렷하게 보여주려 한다.

책을 읽다보면 일종의 구도서를 읽고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질 때도 있다. 작품속의 주인공들을 따라가다보면 왠지 모르게 신비스럽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나타내는 부분과 자주 마주치는 까닭이다. '현자 아구둔바'라는 단편이 특히나 그런 것 같다. 티베트인이 바라보는 불교적인 특징이라거나 신성화된 시선으로 속세의 감정등을 바라보는 듯한 표현이 그렇다. 고귀한 신분으로 태어났으나 모든 것을 버리고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 현자로써 살아가는 모습만 보더라도 석가모니를 떠올리게 하기엔 충분하다. 석가모니처럼 그도 현실의 근심을 회피하지 않고 묵묵히 받아들이며 살아간다. 때로는 신처럼 때로는 인간처럼 그렇게.. 이렇듯이 이 작품속에서는 변화에 희생되어지는 모습과 변화를 찾아 떠나가는 모습이 동시에 그려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 변화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모습 또한 숨기지 않는다.

<색에 물들다>라는 그의 작품을 읽고나서 다시 한번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온다면 읽어보리라 했었다. 그랬기에 이 책은 주저없이 선택되어졌지만 전작만큼의 느낌은 전해받지 못한 듯 하다. 티벳이라는 나라의 속성을 잘 몰랐기에 그러했으리라.. 그리고 그다지 내가 좋아하지 않는 작품의 형태때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앞서기도 하지만 작품속의 흐름이 왠지 멀게 느껴졌다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그만큼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이 좁았다는 말도 될 것이다.  순수함이라거나 자연속에서 살아가는 그들 삶의 형태는 나에게 알 수 없는 안타까움을 전해주었던 것 같다. 왜 그랬을까? 순수를 받아들이기엔 내 마음도 너무나 멀리 와버린 탓이겠지 한다. 그렇지만 티벳이 품고 있는 라싸의 땅위를 죽기전에 한번쯤은 걸어보고 싶다는 욕심은 여전하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