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타임스 - 21세기 코믹 잔혹 일러스트판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하나자와 겐고 그림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만화책일까 소설책일까? 일단은 그것부터 물어야 할 것 같다. 만화책일거라고 생각했었던 나의 판단이 잘못되었다고 말하기엔 아주 조금 억울한 면도 있다. 하지만 내가 보건데 분명코 이건 만화책은 아닌 것 같다. 솔직히 말해서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을 만나고 싶었던 내가 처음 이 책을 받았을 때 그 두께에 놀랐고 만화책이 아니었다는 것에 또한번 가슴을 쓸어내렸다. 일단은 이 작가의 전작에 대한 믿음으로 책장을 펼쳐보기로 한다. <사신치바>와 또다른 작품을 통해 그의 글에서 느낄 수 있었던 속도감을 기대했다는 게 더 좋은 표현일지도 모르겠지만.  <사신치바>를 통해 우리가 느낄 수 없는 현실밖의 세계를 현실속에서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던 작가의 글솜씨를 한번 믿어보기로 한다.

모던 타임스.. 이 말을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찰리 채플린을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이 작품속에서 찰리 채플린이라는 배역은 보이지 않는다. 책을 읽고나니 찰리 채플린이라는 배역은 내가 될 수도 있고 당신이 될 수도 있으며 미지의 누군가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잘은 모르겠지만..  세상속에서 불편한 진실과 마주칠 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될까? 그리고 그 불편한 진실이라는 것에 대한 정의는 과연 누가 내려주는 것일까? 이 이야기의 중심축은 우리가 알지 못했던, 아니 알고는 있었으나 거짓된 면만을 보여주었던 것에 대한 진실을 알게되면서부터 시작되어진다. 그 불편한 진실의 참된 얼굴을 보기 위하여 책속의 그들이 가장 먼저 해야했던 일은 '검색'이었다. 그 '검색'으로부터 우리의 주인공들은 쫓고 쫓기는 신세가 되어버린다. 단지 '검색'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특정한 단어 몇개를 인터넷이라는 바다속에 던져넣었다는 이유만으로..

하리마자키 중학교, 안도상회, 개인 상담. 이 세가지 단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시작했던 책속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끔찍한 일들을 당하게 된다. 주인공 와타나베를 중심으로 고탄다, 오이시, 이사카 코타로, 오카모토 다케루 이렇게 네 명의 남자가 돌아가며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고탄다와 오이시는 같은 회사의 선배와 후배로써 우연하게 맡게 된 일의 중심축이기도 하다. 얼핏보면 거대한 시스템과 싸우고 있는 듯도 보여지고 또 다른 면으로 보자면 지금의 우리가 겪어내고 있는 현실속의 이야기와 너무도 닮은 구석이 있다. 정보의 홍수속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 가려내지도 못한 채 오로지 자신이 믿고 싶어하는 것만을 믿어버리고 마는 인터넷의 잘못된 속성에 대해서 일종의 경고성 메세지를 보내고 있는 것처럼 보여지기도 한다.

책을 읽으면서 이 작품속의 공간이 인터넷과 정보의 테두리라고 생각했었는데 후반으로 내달리면서 어라? 이건 뭐지? 싶은 생각이 불쑥 불쑥 튀어나오기도 한다. 알 수 없는 존재, 그야말로 미지의 존재같이 보이는 와타나베의 부인 가요코부터가 그렇다. 불편한 진실을 안고 있는 하리마자키 중학교가 특수한(일종의 초능력과 같은) 학교였다는 설정이었다고는 하지만 가요코의 존재와 오가타의 존재감은 왠지 썰렁하다. 느닷없이 등장하는 초능력의 힘이라는 것도 그렇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그 느닷없는 초능력의 황당함과 인터넷속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만들어내는 황당함이 엇비슷하게 맞물리는 듯도 보여 씁쓸하기도 하지만 말이다. 

이야기의 흐름을 잡아내기에도 사실은 조금 벅찼다. 잘못하면 옆길로 샐 것만 같다는 느낌때문이기도 했지만 극적인 효과를 노린 듯이 보여지는 만화들이 내 정신을 혼란속으로 밀어넣기도 했다. 차라리 저 그림들이 없었다면 더 나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게 솔직한 말일게다. 흐름을 방해하기만 하는 그림들이 살짝 얄밉기까지 했다. 이런 장르를 시험삼아 시도해본 거라면 아마도 더 많은 시간이 흘러야 익숙해지지 싶다. '그렇게 되어 있는' 시스템과, '그렇게 되어 있는 것'이라 할지라도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라고 밀어부치는 미약한 인간의 힘 대결.. 과연 누가 이겼을까? 승자도 없고 패자도 없다. 그 시스템 자체를 만들어내고 그 시스템에 이끌려 다니는 존재가 바로 인간이니 어찌하겠는가!

검색, 정보, 시스템, 사이트, 인터넷, 엔지니어..라는 말만으로도 이 소설의 배경이 무엇인지는 짐작할 것이다. '그렇게 되어 있다'는 거대시스템의 흐름앞에서 만들어진 진실에 대한 도전은 무모하기까지 하다. 그 도전의 댓가가 너무 참혹한 까닭이다. 21세기 코믹잔혹이라고는 하지만 호러물도 아닌 것이기에 약간의 반감이 일기도 한다. 그런데 그 뒷면을 다시한번 살펴보자면 이렇다. 인터넷의 댓글로 인한 피해가 그와같지 않을까 하는.. 인터넷에서 만들어진 정보에 의해 (여기서 말하는 정보라는 것은 네티즌이라고 불리워지는 우리의 소행이기도 하다. 앞뒤 가릴 것없이 너나없이 퍼 나르고 그 퍼나르는 과정에서 나쁜 이야기들은 덧붙여지고 하는 그런 악순환을 말하고 있다는 거다. 그런 행위들이 남을 파괴시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잃게 되는 사람이 이 책속에도 등장한다. 과연 인터넷이 없으면 못살 것 같은 우리는 그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 있는가 다시한번 되짚어 생각해 볼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인터넷 실명제를 찬성하는 편이다. 왠만하면 우리 스스로가 정화되어진 시스템을 만들어보자는 의미에서. 그렇다고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이 틀렸다는 것은 아니다. 책에서도 말했듯이 자신의 정보는 철저하게 숨기고 싶어하면서 타인의 정보는 굳이 없는 것까지 만들어가며 캐내려고 드는 의식이 문제일 뿐이지만 내가 있듯이 남도 있음을 인정하면서 살아간다면 그 악순환의 고리는 조금씩 가늘어지고 짧아지지 않을까 하는 욕심이 생겨나기도 한다.

이 작품속에서 인터넷의 댓글로 인하여 모든 것을 포기했던 만화가는 이렇게 말했다. 뭔가 만드는 사람한테는 자기를 보여주려는 욕구와 창작욕, 이 두가지가 있겠지만 전자를 버리고 나면 이해해주는 독자수가 한사람만 있어도 그것으로 충분하다고.(-325쪽) 그리고 또 한사람의 말이 생각난다. 요즘 세상에 독재자는 없다던.. 그 사람 하나만 소멸되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그런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던.. 세상의 황폐도, 증오도, 누구 한 사람이나 어떤 단체 탓이라고 꼭 꼬집을 수 없다는 거(-328쪽) 라는 말은 곱씹어 되새겨 볼 말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아주 단순하게만 생각했었던 것들에 대한 새로움이었다고나 할까? 단순히 소설이었을 뿐이라고 말하기엔 뭔가 찔리는 구석이 너무 많다. 찰리 채플린의 <독재자>라는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첫머리에 나왔다던 말을 앞에 두고서 한참을 바라다 본다.  '나는 황제가 되고 싶지 않습니다. 지배하기보다는 사람들을 돕고 싶습니다'..(-318쪽) 어쩌면 정보라는 것이, 인터넷이라는 것이 사람처럼 말을 할 수 있다면 저렇게 말하지 않았을까? 지배하기보다는 우리를 도와주는 정보와 인터넷이라는 말은 그 말만으로도 충분히 황홀하게 다가온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