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의 4분의 1
오사키 요시오 지음, 우은명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아디안텀이라는 식물이 있다. 사실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식물은 어느 한부분이 시들거나 죽으면 나머지 부분들도 다 죽는다는 말이 있다. 함께 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다는 아련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식물의 이름을 제목으로 달고 나왔던 <아디안텀 블루>라는 책이 있었다. 오사키 요시오의 작품중에서. 왜 이런 말을 하느냐하면 오사키 요시오라는 작가의 작품에서 풍겨져나오는 분위기가 딱 아디안텀 블루를 닮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어딘지 모르게 알 듯 모를 듯 안개같은 사랑이 항상 존재한다. 굳이 찾으려 애쓰지 말라고 말하는 것처럼.. 그러나 항상 그 사랑은 너의 곁에 머물고 있다는 것처럼.. <9월의 4분의 1>이라는 제목이 주는 뉘앙스는 참 미묘하다. 가을이라는 분위기도 풍기고 어느정도는 익숙해진 듯 하지만 아직은 조금 부족하다는 그런 느낌도 있다. 왠지 이제부터는 무르익어갈 사랑을 기대해도 될 것만 같은 기대감도 은근슬쩍 끼워넣게 된다. 그런 사랑이야기들이 이 책속에 머문다. 한편의 서정시같고 한장의 수채화를 보는 듯한 사랑을 이 책속에서 만날 수 있다.

사랑이란 감정은 구체적으로 어떤것을 말하는 것일까? 둘 중 하나가 손가락으로 무언가를 가리켰을 때 그 손가락끝을 보는가, 아니면 그 손가락이 가리키고 있는 방향을 함께 보는가 하는 문제처럼 사랑이란 것은 각자의 느낌일 뿐이다. 그러니 어느것이 옳다고 딱히 정의를 내릴 수가 없는 것이 사랑이다. 사랑했으나 그 사랑이 자신을 위한 것이었다면 그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닐까?  첫번째 이야기 '보상받지 못한 엘리시오를 위해' 를 읽으면서 나는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어쩌면 요리코와 다케이는 어느 한쪽이 가리키고 있는 손가락끝만 서로 바라보았을 뿐이라는 생각. 그래서 그들은 서로 다른 사랑을 품고 살았을거라는.. 함께 있어도 마음깊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그런... 그래서 서로를 가슴 가득 채우지 못한...

자신이 계획했던대로 삶이 살아진다면 그것처럼 행복한 일도 없을거라는 생각은 누구나 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 10년간 잡지사의 편집장으로 지내왔던 직장을 자신의 계획에 따라 그만 둘 수 있었던 유이치가 그런 사람이 아니었을까? 한통의 편지를 따라서 켄싱턴으로 찾아가는 그의 머리속에서 끝없이 그려지던 타락墮落과 추락墜落의 글자가 주는 느낌은 나에게조차 바윗덩어리같은 무게감을 안겨주었다. 두번째 이야기 '켄싱턴에 바치는 꽃다발' 속에서 마주치는 유이치와 미나코의 사랑은 진지하다. 서로를 받아들이는 깊이가 내게도 전해져오는 듯 하다. 동물나라의 화폐기준이 '기린'이라고 말해줄 때의 산뜻함이 전해져오는 그들의 사랑이 확인되는 순간 왜 내가 가슴을 쓸어내렸을까?  지켜야 할 거리와 쌓여가는 짐의 무게만 주의하면 되는 사랑은 어떤 사랑일까? 서로에게 마음으로 의지하고 마음으로 안아준다는 것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된다.

세번째 이야기 '슬퍼서 날개도 없어서' 는 애잔하다. 아무에게도 자신의 아픔을 이야기하지 못하고 이야기하고 싶은 상대를 만났을 때는 또 그사람을 위해 이야기하지 못하는 아이러니를 가진 사랑. 그 남자의 좁은 방안으로 스며들던 햇살, 그 따뜻했던 방이 그리웠기에 눈물 흘려야 했던 마미. 우스운 물방울 커튼과 벽에 기대어 기타를 치고 있을 그사람을 끝내는 다시 보지 못한 채 스물아홉의 삶을 마감해야 했던 마미는 왠지 여름날을 힘겹게 울다가 스러져가는 매미같다. 스물다섯까지만 예정되어졌던 자신의 삶이 스물다섯을 넘어서자 비틀거렸다. 노래로 산화시켜야만 했던 그 조바심을 스물다섯이 되기 전날 스물넷의 마지막날에 놓아버리고 그녀는 자신의 사랑앞에서 철저하게 타인의 시선이 되어버렸다. 어딘가에 자신만이 짊어지고 가는 그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싶었을게다. 사랑은 그런게 아닐까? 편히 쉬고 싶은 가슴을 원하는 것, 그렇게 편히 쉴 수 있는 가슴을 온전히 상대방을 위해 내놓을 수 있는 것..

몇 년뒤에 어디에서 다시 만나요, 라는 말은 영화나 소설속에서 많이 듣는다. 그리고 그런 약속은 대부분 지켜지지 못한채 영원히 가슴속에 묻혀버리고 말지.. 하지만 지켜졌기에 아름다웠던 사랑이야기가 있었다. 십년 뒤 오월, 피렌체 두오모에서. 를 약속했던 아오이와 쥰세이의 이야기 <냉정과 열정사이>가 떠올랐다. 각인되듯이 남겨졌던 그들의 사랑이야기를 떠오르게 해 주었던 마지막 이야기 '9월의 4분의 1'
은 충분히 아름다웠다. 9월 4일에서 만나요, 라는 수수께끼같은 메세지를 남겨둔 채 떠나버린 나오를 9월 4일마다 기다렸던 겐지.. 만나지 못한채 13년을 보내버리고 다시 그녀를 처음 보았던 그랑 플라스.. 그리고 그곳에서 알아버린 9월 4일역.. 수수께끼같았던 그녀의 메세지가 풀려지고 그녀가 앉아 자신을 기다렸을지도 모를 카페에서 자신도 똑같이 그녀를 기다리는 나, 겐지.. 하지만 만날 수 없는 그녀, 나오.. 너와 만났을 때 그때는 괴롭고 절실하고 슬펐지만 자유로웠다고. 막 만들어낸 솜사탕만큼 이라는 마지막 문구가 내 눈속에 새겨진다.

딱히 새로울 것도 없다. 딱히 신비로운 느낌도 없다. 다분히 일상적인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어쩌면 작가 자신의 주변을 그리고 있는 듯하다. 그래서 오사키 요시오의 작품세계가 어쩌면 따분하다고 말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왠지 따분하다고는 말하고 싶지 않다. 그렇게 말하면 안될 것 같다. 가만 가만 숨을 죽여가며 읽게 되는 오사키 요시오라는 작가의 작품은 은근한 매력이 있다. 강한 태클보다는 부드러운 손길이 기다려주는 듯한.. 그래서 내가 이 <9월의 4분의 1>을 선택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