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엄마는 그렇게 살아가는 것인줄 알았습니다... 인터넷상에서 그런 글귀가 떠돌던 때가 있었다. 엄마에 대한 애틋함이 담겨 있어 많이들 퍼나르며 너도 나도 읊어대던 말이었다. 그러나 우리의 기억은 정말이지 너무나도 짧다. 우리의 감성은 정말이지 너무나도 얕기만 하다. 조금만 더 길고 조금만 더 깊었더라면... <엄마를 부탁해>라는 이 책이 나온 뒤로 우리들의 엄마는 뭐라도 되는 양 그렇게 도마위에 올려졌지만 과연 그 뭐라도 된(?) 듯한 엄마는 몇이나 될까? 단지 책속의 엄마로써, 내 엄마가 아닌 타인의 엄마로써만 동정을 받았고 딱 그만큼만의 그에 대한 이해와 배려를 생각했을 뿐이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오래전부터 신경숙의 팬이라고 자처하는 나는 후후 웃었다. 속으로 웃었다는 말이다. 무채색같은 그녀의 글을 읽을 때마다 가슴 한켠이 싸아해지던 그런 느낌들을 잊을 수가 없었고, 또한 여지없이 드러나는 그녀 주변사람들의 삶이 그랬고, 여전하게 뒷배경으로 자리하는 그녀의 고향집이 거기에 있었기에.. <깊은 슬픔>에서 은서와 사랑 줄다리기를 했던 완과 세의 고향이기도 했던 곳.. 그녀의 그곳은 변해가고 있는 것 같다. 어쩌면 이제는 지천명을 바라다보는 그녀의 세월처럼...

그녀는 어쩌자고 엄마를 잃어버렸을까? 그녀는 어쩌자고 이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엄마의 존재를 들이밀었을까? 그녀는 어쩌자고 우리가 숨기고 또 숨기려 애쓰는 가슴 한쪽의 빈 공간을 후벼파기로 작정했던 것일까?  늙어가는 엄마를 보면서, 더이상은 하얘질수가 없어서 이제는 오히려 까매지는 엄마의 머리카락을 보면서 그녀는 문득 엄마라는 말보다는 한사람의 여인으로 엄마를 바라보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딸이 엄마의 나이가 되어서야, 딸이 엄마처럼 똑같은 엄마의 자리로 들어서서야 보여지는 엄마의 존재는 아마도 남달랐을 것이다. 처음 아이를 나았을 때 병원으로 찾아와 걱정스러운 눈빛을 보여주던 엄마의 표정이, 황달이 심한 아이을 어쩌면 집으로 데려갈 수 없을지도 모르겠다던 간호사의 말을 들었을 때 딸의 표정을 먼저 살펴보던 엄마의 마음이, 다행히도 함께 집으로 갈 수 있었던 외손주를 당신이 안고 차에 오를 때 엄마는 오로지 딸의 거동만을 살피셨던 것 같다. 그랬던 엄마를 이제는 내가 아주 조금은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던 것은 언제쯤이었을까? 가까이에서 늘 말친구가 되어주는 나를 보면서 엄마는 이렇게 말했었지.. 어쩌냐? 너는 나처럼 딸도 없어서? .. 그러게 엄마. 아무래도 나는 늙어서 외로울 것 같아. 딸같은 며느리는 없다잖어. 그치?  언제부터인가 친구처럼 말을 섞는 엄마와의 대화가 나는 너무도 좋았었다. 어쩌면 작가가 늙어가는 엄마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한 여인의 체취를 찾아보고 싶었던 것도 그런 마음 때문은 아니었을까?

모든 아버지들이 그렇게 살진 않았을 게다. 그러니 모든 엄마들이 그렇게 살았던 것도 아니었을 게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의 엄마들은 하나같이 그렇게 곤혹스러운 삶을 살아내야 했다. 왜 그랬을까?  일상적으로 힘겨운 가정사에서 빠져나가길 원하며 살았던 아버지와 자식들의 그 염치없음을 모른 체 눈감아주며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의 안식처와 피난처가 되어 주었던 우리의 어머니. 어쩌면 그 힘겨웠던 노역에서부터 벗어나고 싶었던 그 마음을 헤아려주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엄마는 부엌을 좋아했어? 딸이 물었을 때 엄마는 이렇게 대답했지.. 부엌을 좋아하는 사람이 어딨냐? 나는 아마도 장독대 뚜껑을 엄청 많이 깨먹었을 게다. 해도 해도 끝나지 않을 것 같았던 부엌일, 밥먹고 돌아서면 다시 밥을 해야 했다고.. 맨날 똑같았던 일, 도무지 헤어날 길이 없어보이는 그 공간에서 숨을 쉴 수 있었던 것은 장독대의 항아리 뚜껑을 집어던져 깨뜨리던 순간뿐이었다고.. 항아리 뚜껑을 다시 사야했을 때 속이 쓰리긴 했지만 오래도록 그것을 멈출 수가 없었노라고.. 그러니 너도 힘들면 접시를 깨뜨려보라고..

화제가 되었던 TV드라마가 생각났다. 일년만 휴가를 달라고 호소하던 엄마의 입장을 누구도 헤아리려하지 않았었지. 엄마는 오직 그자리에서 멈춰선채로 있어야만 엄마인거라고 그렇게들 말하는 것 같았지. 하지만 그 엄마가 짧은 휴가를 얻어 평생 벗어나지 못할 것만 같았던 공간에서 떨어져나왔을 때 그 엄마는 비로소 여자가 되었고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어하는지를 아니 무엇을 하고 싶어했는지를 알았었다. 그리고 그 짧은 휴가기간동안 자신이 하고 싶어했던 것들을 하면서 살아보려 했지. 하지만 그녀는 결국 그 짧은 휴가기간조차도 채우지 못한 채 다시 움직일 수 없는 엄마의 자리로 되돌아와야만 했었다. 그랬다. 우리가 인정해주지 않았던 거다. 엄마도 엄마가 아닌 한사람의 여인으로써 살아갈 권리가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엄마에게도 엄마가 필요했다던 그 말은 너무나도 아프게 다가왔다.

엄마를 부탁한다는 그녀가 엄마를 바라보는 시선은 네가지다. 큰 딸이었던 너의 눈으로, 맏이로 태어나 엄마의 꿈까지도 어깨에 짊어져야 했던 아들의 눈으로, 평생을 함께 살았지만 단 한번도 나란히 걸어보지 못했던 남편의 눈으로, 그리고 엄마 자신의 눈으로 막내딸을 바라보는 시선으로.. 살림밑천이라는 첫딸로 태어나 오빠들에게 치이면서도 자신의 마음을 주장하고 싶어했던 큰딸. 불쌍한 엄마를 위해서라면 무엇이라도 해야만 할 것 같았던 장남. 그들이 지금 기가 꺾인 채 살아가고 있을, 아니면 밀려나지 않기 위해 기를 쓰며 살아가고 있을 386세대들이다. 극심한 가난과 빈곤을 짊어진 채 혼란기의 시절을 살아냈던 사람들에게 그런 엄마가 있었다. 아무리 무거운 보퉁이를 들고 간다해도 한번 뒤돌아보지 않고 저만치 앞서 성큼성큼 걸어가야 했던 아버지들. 그 아버지들은 그렇게 교육을 받으며 자라났을테니 어쩔 수 없었던 일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게다. 그렇게 자기 자신만 알며 살아가던 아버지들에게 그런 아내가 있었다. 거기 그자리에서 그 엄마가, 그 아내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걸 단한번도 해보지 않았던 사람들이 바로 우리였다. 우리 모두가 엄마를 잊은 채 살아가고 있었던 거다. 뒤집어 생각해보니 그것은 작가의 말처럼 잊은 것이 아니라 잃어버린 채로 살았다는 표현이 맞다. 잃어버린 줄도 모르고 필요할 때만 찾아나서는 물건같은 존재가 엄마는 아닐거라고 그렇게 말하고 싶었던 건지도 모를 일이다. 책속의 작은 딸이 언니에게 말했듯이 나도 엄마같은 엄마는 되지 못했다. 아니 되려고도 하지 않았다. 엄마처럼은 살지 않을거라고 말하며 엄마의 가슴속에 훓어내리는 듯한 아픔을 주기도 했던 나였기에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핑게일테지만 말이다. 모든 것은 변해간다. 엄마라는 존재의 의미마져도 조금씩 퇴색되어져가는 세상을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엄마를 부탁해> 라고 말하던 작가의 말을 듣고 나는 나의 엄마를 다시한번 바라보았다. 이제 팔순을 바라보시는 나의 엄마는 다시 까만 머리카락이 나오고 있다. 엄마, 하얗던 머리가 다시 까맣게 나오면 오래 산대요.. 어이구, 이만큼 살았으면 되었지 더 오래살면 뭐하냐? 그저 자고 일어나니 죽었더라는 말을 듣는 것이 내 소원이다.. 요즘 들어 부쩍 가야할 때가 된 것 같다고 말씀하시는 엄마를 붙들고 눈물 바람을 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어찌할 수 없는 일이다. 내가 나이를 먹지 않으면 엄마도 더이상은 늙지 않을까? 엄마, 나의 엄마.. 작가의 작품속에서 잃어버린 엄마처럼 딱 그만큼의 삶을 살아내신 나의 엄마. 당신을 사랑합니다. 이제 지천명을 바라보는 나이가 되니 조금 더 일찍 당신을 사랑해야 했다고 후회를 하게 됩니다. 가끔씩은 못된 년이 지 엄마한테 큰소리를 친다고 뭐라고 하셔도 저는 그것이 좋으니 어쩌겠습니까?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