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중원 1 - 이기원 장편소설
이기원 지음 / 삼성출판사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이름중에서 <임꺽정>과 <장길산>이 있다. 모두가 소설속의 주인공이었지만 인기투표를 하면 꽤나 많은 표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져보게 되는 인물들이다. 임꺽정은 백정의 아들이었으며 장길산은 기생의 아들로 태어난 광대였다. 그야말로 천민중의 천민인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머릿속에서 이 두 사람을 그려보라한다면 꽤나 믿음직스럽고 용맹스러운 이미지를 그릴 것이다. 천민중의 천민이었다던 그들이 그토록이나 힘겨운 자신의 삶을 살아냈던 것처럼 <제중원>을 이끌어가던 핵심인물 황정 역시 백정의 아들로 태어나 오갈데없는 천민이었지만 운명의 장난이었는지 조선최고의 의사로써 거듭난다. 가장 관심을 끌던 대목이었다. 백정의 아들로 태어나 조선 최초의 의사이자 최고의 의사가 되었다는 그 말이...

근대화의 물결이 밀려들기 시작했던 조선말기는 그야말로 혼돈기가 아니었나 싶다. 흥선대원군의 그 철통(?)같았던 쇄국정책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세력들이 조선이라는 조그만 나라로 들어오기 시작하는 걸 보면 변화의 물결이라는 것은 막는다고 막히는 것은 아닌 모양이다. 그만큼 사람들이 깨어있기를 원했다는 말도 될 것 같다. 유교의 그늘밑에서 변화를 막아보고자 목소리를 높였던 사람들은 하나같이 자신의 안위만을 살폈다. 그 말도 안되는 형식과 허울을 뒤집어 쓴 채 오로지 '아니되옵니다!' 만을 외쳐대며 깨어나고자 하는 백성들을 향하여 찬물을 끼얹기에만 급급했던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었지만 그들 역시도 사람의 목숨을 앞에 두고서 양의원을 찾게 되었다는 것은 정말이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모르는 남자가 자신의 몸 이곳저곳을 만져보며 진료를 했다는 이유로 병을 고쳤음에도 불구하고 자결을 하고 말았던 정승대감의 딸은 일찌기 앞뒤를 헤아리지 못하는 고집스러운 유학을 보고 있는 것만 같아 왠지 씁쓸한 뒷맛을 남기기도 했다.

황정.. 그가 왕으로부터 제대로 된 성과 이름을 받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초를 겪어야 했을지는 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일이었다. 단지 천민이었다는 이유로 사람취급을 받지 못했던 시대적인 아픔이었다고만 치부해버리기엔 너무나도 우리를 뼈저린 회한속에 젖어들게 한다. 이 책속에서 펼쳐지는 황정이란 남자의 일정을 따라가다보면 참으로 가슴 저미는 과거사들이 많이 등장한다. 우매함으로부터 비롯되어지는 그 과거사의 고통들.. 좀 더 일찍 깨었더라면 어땠을까? 황정이나 황정과 라이벌의식을 가져야 했던 양반자제 백도양처럼 젊은이들이 좀 더 일찍 깨어 이 나라를 생각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된다. 백도양이란 남자를 통해 보여주었던 양반이라는 허울과 선교를 목적으로 조선으로 들어왔으나 의술을 펼치게 되는 알렌과 헤론의 사고관념 차이는 정말이지 하늘과 땅이었다. 그렇다고해서 무조건적으로 변화의 물결을 타야한다는 얘기는 아니니 오해마시라! 그들에게도 남북전쟁이라는 아픔이 있었을테니 말이다.

뜻하지않게 사람을 해부하게 되고 뱃속의 내장들을 하나 하나씩 꺼내어 보게 되었던 것은 아마도 그가 가야 할 길이 거기에 있었음 때문은 아니었을까? 약간의 허구가 섞여들어간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 팩션이라 할지라도 그것만큼은 부인하고 싶지가 않으니 또 왠일일까? 그만큼 황정이라는 사람이 보여주는 의술과 인술의 묘미가 이 책속에서 펼쳐지고 있음이다. 이미 오래전 <허준>이 그랬고 <이제마>가 그랬던 것처럼... 사람을 단지 돈을 벌기 위한 혹은 자신의 실력향상을 위한 하나의 도구로써 보는 것이 아니라 그 환자의 아픔이 마치도 자신의 것인양 치료를 했던 황정의 인술.. 양반자제 백도양의 뛰어난 의술속에서조차 단 하나의 결점으로 존재했던 인술.. 바로 그것이 우리가 말하는 인간성이요, 情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情을 담은 따스함으로 환자를 대했던 황정이 의병을 치료하게 되고 그 의병장을 매개체로하여 마지막엔 독립군 군의가 되어 만주로 떠나게 되는 것이 어쩌면 아주 당연한 일로 느껴지기까지 한다.

책장을 덮기전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작가의 말을 통해 알 수 있었던 논란의 여지부분이다. <제중원>이라는 최초의 병원에 대한 서울대 의대와 연세대 의대사이의 뿌리논쟁이었다. 선교사에 의해 시작되어져 나중에 선교부로 이관되었으니 연세대 의대의 뿌리라고 하는 쪽과 고종이 설립한 조선 정부 소속의 왕립 병원이었으니 당연히 서울대 병원으로 이어지는 국립 병원의 뿌리가 되어야 옳다고 한다는 주장들이 있다는 말을 보면서 '그러면 그렇지!' 했다. 과연 조선의 후예답다. 어디에서나 편가르기에 목마른 조선의 후예들.. 씁쓸하다. 하지만 작가의 말처럼 어느 쪽의 편도 들어주고 싶지 않다. 어느쪽이 되었든 무슨 상관일까? 어찌되었든 우리에게 그렇게 훌륭한 병원이 시작되어졌다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 어디에 있다고?  황정이라는 인물을 따라 새롭게 다가왔던 것들은 참 많았다. 특별하게 튀거나 요동치는 듯한 장면은 없었을지라도 잔잔하게 읽어가기엔 꽤나 괜찮았다는 생각이 든다. <제중원>.. 또하나의 배움으로 다가왔던 책!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