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방불명자 ㅣ 오리하라 이치의 ○○자 시리즈
오리하라 이치 지음, 김기희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을 읽는 독자 모두가 궁금함과 오싹함, 상쾌함과 안도감을 모두 느끼시기를 바란다... 역자후기에 나온 말이다. 그렇다면 나는 어땠을까? 곰곰 생각해보니 궁금함은 정말 대단했다. 책장을 넘겨가면서 범인을 찾아내고 싶어하던 나의 추리력이 열심히 활동을 했었으니까. 오싹함은? 그것도 그렇다. 사건의 전말이 하나씩 드러나면서 이렇게까지 될 수가 있는것인지 왠지 소름이 돋는 듯한 기분이었다고 할까? 하지만 상쾌함과 안도감까지는 느껴보지 못하고 책장을 덮었다는 게 솔직한 표현이다. 아주 오래전에 읽었던 오리하라 이치의 작품 <파일럿 피쉬>가 어떤 내용이었는지 기억을 더듬어본다. 아주 깊숙한 곳에 숨겨져 있던 우리의 내면에 대하여 썼던 글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이 책은 어떨까? 이 책은 스릴러형식이지만 역시 인간이 가지고 있을 법한 내면을 살짝 비춰주고 싶어하는 것 같다.
사건을 파헤치기 위한 소설속으로 들어가는 길은 복잡하다. 범인을 찾지 못한 채 미궁속으로 빠져드는 일가족 살해사건과 아무런 빌미조차 남겨두지 않은채 어느날 아침 어디론가 사라져버린 일가족의 행방불명 사건, 이렇게 두가지 사건이 병행되면서 사건을 따라가는 시선 또한 두개다. 출발선은 둘인데 도착점은 하나인... 그렇다보니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내가 왜 여기에 와 있는거지? 되물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다행인지 일치되는 것이 하나 있긴 하다. 일가족 살해사건과 행방불명 사건을 쫓는 그 두개의 시선이 모두 작가라는 점이다. 양쪽 끝에서부터 사건을 몰아오듯이 잰걸음이다. 탐정처럼 이야기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두 작가의 걸음걸이에 보조를 맞추다보면 어느샌가 내가 쫓고 있는 것이 무엇이었는지를 알게 되는 그런 형국이다.
스릴러소설이다보니 원칙에 충실하게도 배경이 좀 음침하다. 구로누마, 즉 검은 늪이라는 뜻이다. 그 말을 듣는 순간 일전에 상영되었던 우리의 영화 '검은 집'이 떠오른다. (유명배우가 주인공을 맡아 떠들썩 했었지만 흥행면에서는 실패했던걸로 기억한다.) 스릴러물의 형식대로 반전이 끝내주는 영화였는데 이 소설 역시 멋진 반전을 준비하고 나를 기다려주고 있었다. 그런데 그 두사건의 교차점까지 가는 과정이 뭐랄까, 왠지 무언가를 빼먹고 지나간 듯한 그런 느낌이 드는 것은 왜일까? 늪.. 그 늪이 잊은듯하면 하나씩 토해내는 사건의 실마리들은 하나같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모습들과 오버랩되어지는 것을 보게된다. 흔한 이야기들이지만 결코 용납되어질 수 없는 일들이 사건을 풀어가는 열쇠로 작용되어진다는 것에 대해 왠지 또 씁쓸해지고 말았다.
사건의 종착역에 이르러서야 범인의 윤곽은 밝혀진다. 하지만 여기서 그냥 지나쳐버린다면 왠지 서글픈 생각이 드는 것이 하나 있다. 어머니... 자식들을 위해서라면 당신의 모든 것을 잃어도 감수해야 했던 어머니라는 존재에 대하여. 두가지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았다는 게 문제였다. 하나의 사건이 또하나의 사건을 불러오게 되는 형국속에서 우리의 위대한 어머니라는 존재가 갖고 있는 무게는 참으로 무겁다. 사건을 따라가면서 전혀 예상치도 못했던 존재.. 그래서 조금은 당혹스러웠고 그래서 나는 또 가족이라는 말이 안고 있는 의미에 대하여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된다. 가족이라는 의미가 이미 하나의 낱말처럼 굳어져버린 것은 아닐까? 엉킨 실타래속에 숨어버린 그들의 내면에는 서로에게 힘겨워하는 가족의 모습이 담겨 있다. 가슴속에 응어리진 채 버릴 수 없게 되어버린 그 무엇들을 하나씩 안고 살아가면서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을 하고 있는것이다. 마치도 나외에는 아무도 믿을 수 없다는 듯이.. 그리고 이 세상속에는 오직 불행만 존재하고 있다는 듯이..
현재와 과거가 어울리는 플래쉬 백효과처럼 보여지는 느낌, 그리고 한편의 연극을 관람하고 있는 듯한 느낌, 책을 읽으면서 다가왔던 느낌은 두가지였다. 과거라고 생각했던 일들이 어느샌가 현재로 보여진다. 결말 부분에서 느닷없이 튀어나온 또하나의 존재는 나를 어리둥절하게 만들기도 했다. 긴장감을 놓치지 않고 따라갈 수 있었던 사건의 구도는 참 좋았다. 그랬기에 책을 읽는 속도감도 꽤나 좋았을 게다. 그런데 결말 부분이 왠지 꽈배기처럼 배배꼬인 듯 보여 영 개운치가 않다. 잡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었던 이야기의 핵심을 놓쳐버리고 말았다는 허탈감이라니... 그래도 더위와 싸우기엔 괜찮은 설정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