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도록 책만 읽는
이권우 지음 / 연암서가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도록 책만 읽고 싶은...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내 생각엔 참 많을 것 같은데 정말 그럴까? 그건 알 수 없다. 어찌되었든 죽도록 책만 읽고 싶어 도서평론가라는 직함을 만들었다는 저자의 소개글을 보면서 흠, 하고 한번 더 보게 되었던 건 사실이다. 저서도 꽤나 많다. 현재 모대학 교양학부의 강의교수로도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한다. 그러니 멀리 있는 작가이기보다는 우리와 현실적으로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봐도 될 것 같다. 내가 왜 이렇게 말하는가하면 그만큼 편하게 이 책을 읽어도 괜찮을 것 같다는 말을 에둘러 하고 있는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드는 까닭이다. 거기다 하나 더 보탠다면 요즘처럼 논술이다 뭐다하면서 억지로라도 책과 가까워져야 한다고 떠들어대는 (실상은 전혀 그렇지 못하면서) 교육현실이 그와 조금은 가깝게 느껴지는 까닭도 있다. 왜냐하면 그가 곧 읽기와 쓰기를 가르치는 사람이니까..

책을 읽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속에서 먼저 읽은 사람이 올려준 서평이 그사람의 선택을 얼만큼이나 좌우할까? 나는 그것이 항상 궁금했다. 기실 나는 이렇게 서평을 쓰고 있으면서도 남들이 써놓은 서평에 그다지 많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건 그사람만의 생각일뿐이라고 치부해버리는 오만함이 앞서는 까닭이기도 하지만 말이다. 그런면에서 본다면 이 책은 사실 한사람의 서평 모음집이라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수많은 책을 읽고 그가 썼던 서평들이 줄줄이 사탕처럼 엮여 꼬리를 물고 있다. 재미있을까? 물론 재미있을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왠지 껄끄러운 감정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왜냐하면 그 서평들이 개인적인 편차를 드러내는 까닭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이 책을 통해서 나의 시야가 넓어졌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하겠다. 책을 읽고 난 후 작가의 심중을 읽어내리는, 그 작가의 글쓰기 과정을 짚어낼 수 있는 저자만의 경지를 느낄 수 있었으니 하는 말이다. 가장 깊이 다가왔던 것은 책을 책대로만 해석하지 않고 우리의 현실과 맞물리는 점들을 찾아내어 서로 연결시켜주었다는 것이다. 한 권의 책을 통하여 또하나의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 것만 같은 느낌이 들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그가 찾아내 주는 글의 장점과 단점들에 고개를 끄덕이며 한 수 한 수 배워나가는 것 또한 이책의 별미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역시 책속에는 배울 것이 많다. 제대로 된 느낌표를 찍는다는 게 쉽진 않은 듯 하다.

1/문학의 숲을 거닐다, 2/참 사람의 향기에 취하다, 3/인문의 바다에서 헤엄치다, 4/무엇이 세상을 변화시키는가, 5/생명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다, 6/열정과 냉정 사이, 7/희망을 읽고 쓰다... 무엇이냐하면 책을 읽기전의 목차 목록이다. 저자는 저렇게 크게 7장으로 분류를 나누어 놓았다. 참으로 다양하다. 그만큼 책읽기의 넓이가 넓다는 말도 되겠다. 그러면서도 아주 냉정하다. 좋으면 좋다, 싫으면 싫다, 멋진 책이다, 실망했다 등등 자신있게 자신만의 표현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야말로 도서평론가라는 직함에 대해 반론의 여지를 주지 않겠다는 듯이... 그 중에서 3장 인문의 바다에서 헤엄치다에 수록되어져 있는 글 '편지로 주고받은 철학 논쟁'이 참으로 인상깊게 다가왔다.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사단칠정 논쟁에 대한 글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편지글을 읽고 난 후 그가 썼다는 서평형식이다. 편지글에 대한 전화수다라... 참으로 기발하다는 생각이 들면서 한편으로는 놀랍기도 했다. 친구와 전화통화를 하며 말로 하는 서평을 내가 듣고 있는 것만 같은 착각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으니 말이다. 멋진 글이었다. 나만의 생각일수도 있겠지만...

<쾌도난마 한국경제>라는 책을 읽고 난 그의 서평 제목은 이렇다. 시대의 고민을 끌어안은 뜨거운 책.. 그러면서 그가 말하고 있는 좋은 책에 대한 정의를 다시 한번 되짚어 보게 된다. 그의 말을 빌려보자면 이렇다.. 굳이 좋은 책이 무엇인가 정의한다면, 읽고 나서 지은이와 논쟁을 하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굳이 무엇을 올해의 책으로 뽑아야 하는지 말해야 한다면, 우리 시대의 고민을 끌어안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뜨거운' 책이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라고. 우습게도 나는 저 문장을 보면서 베스트셀러에 대한 나의 반감이 이유없는 반항은 아니었구나 싶었다. 저자의 다양한 책읽기가 존경스러웠다. 책을 읽는 저자의 넓은 혜안이 부러웠다. 그야말로 책의 제목처럼 어쩌면 죽도록 책만 읽는.. 그런 사람, 이 세상에 참 많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랬으면 좋겠다는 욕심도 함께 가져보게 된다 (물론 나도 그중의 한사람이 되어보고 싶기도 하다. 욕심일테지만). 그가 읽었던 책중에 발터 뫼르스의 <꿈꾸는 책들의 도시>나 김영하의 <아랑은 왜>처럼 꼭 읽어보고 싶은 책이 많았다. 역시 나의 책읽기는 편협하다. 책꽂이의 구석에서 아직도 나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을 토마스모어의 <유토피아>나 마키아벨리의 <군주론>만 생각해보더라도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양한 분류의 책읽기가 필요하기는 하다고 생각은 하면서도 실천이 쉽지만은 않다. 하지만 책장을 덮고나서 다른 사람의 서평을 보면서 또다시 서평아닌 서평을 쓰게 된다는 마무리가 그리 깔끔한 느낌이 들지는 않았다는 게 솔직한 내 고백이다./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