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게 길을 묻다 - 희망 더 아름다운 삶을 찾는 당신을 위한 생태적 자기경영법
김용규 지음 / 비아북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숲에게 길을 묻다'라는 제목부터가 이미 나에게는 유혹이었다. 자기계발서임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선택하게 된 것은 숲이라는 말에 대한 호감때문이다. 숲.. 과연 그는 숲에게 무엇을 물었을까? 등산을 좋아한다고는 하지만 감히 숲에게 어떤 것도 물을 수 없었던 나의 경우를 생각해본다. 단지 그 숲이 주는 느낌, 푸르름이 주는 안정감, 그리고 같은 곳을 몇번씩이나 찾아간다해도 언제나 다른 얼굴로 환하게 맞이해주는 그 나무가 좋았고, 그 나무를 품고 있는 숲의 인상이 좋았다. 내 돌덩이같은 마음을 아무데나 버려도 말하지 않고 다 받아주기만 하는 그 숲이 나는 좋았었다. 그러니 이 책의 저자가 숲에게 물었을 그것이 나는 정말로 궁금할 수 밖에..

작가의 이력은 특이하다. 마흔줄에 그 잘나가던 현실을 박차고 숲으로 들어가 오두막을 짓고 다시 새로운 삶과의 인연을 맺는 사람.. 어쩌면 풍족했을 그의 도시의 삶과 CEO라는 명함을 버리기까지 그가 겪어야 했을 생각의 시간들은 참으로 힘겨웠을테고 또한 길었을 게다. 그런 생활을 말렸던 주변사람들에게도 엄청 미안하고 죄스러웠을 게다. 하지만 이 책속에서도 말하고 있지만 작가의 품은 뜻은 단순했다 나답게 살고 싶다는 것.. .(어찌 생각해보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화두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숲에 들어갔을 때조차도 그는 자신이 의심스러웠다. 내가 정말 나답게 살 수 있을까? 이 새로운 길을 끝까지 걸어가면 내가 닿고 싶은 곳에 닿을 수 있을까? 하지만 그는 숲의 목소리를 들었고 숲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작정하고 들어갔으니 숲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았다한들 그가 다시 나오지는 않았으리라 생각되어지지만 어찌되었든 그가 들려주는 숲의 이야기는 장황하고 길다.

숲을 통하여 인생을 본다고 한다면 너무 거창할까? 아니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사람이 태어나고 자라고 또한 자의식에 눈뜨는 과정, 그리고 다시 죽음을 통해 왔던 곳으로 되돌아가는 그 순환의 고리를 숲을 통해 아주 천연덕스럽게 보여주고 싶어한다.  숲의 모든 것은 자기답게 살 힘을 가지고 태어나며 저 태어난 자리를 억울해하지 않고 숙명을 받아들인다. 주어진 현실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삶의 주인으로 살고자 할 때 출발할 수 있음을  1장의 태어남을 통하여 숲과 더불어 인생의 길도 그런게 아니겠느냐고 묻고 있다. 2장, 3장을 통해서 바라볼 수 있는 것도 숲의 길과 인생의 길이 다르지 않음을 역설하고 있다. 나무에게는 빛이 필요하듯이 사람에게는 꿈이 필요하며, 버려야 할 것과 잃어야 할 것들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내라고 한다. 상처를 입는다해도 제대로 다퉈야 하며 그 안에서의 관계, 그야말로 성장을 위한 아름다운 관계를 잊으면 안된다고 말해준다.

그렇다면 작가가 말하고 싶어하는 나답게 산다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나로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책을 읽는내내 궁금했지만 솔직하게 말해서 나는 책속에서 그 답을 찾아내지 못했다. 숲을 바라보는 그의 시선만 느껴질 뿐이다. 숲을 통해서 그동안 자신이 걸어왔던 삶에 대한 반추라고나 할까? 하지만 3장에서 말해주고 있는 것들이 나를 황홀하게 만들었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 제대로 된 소통을 어찌하면 되는 것인지 꽃들의 대화를 통하여 말해주고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옆의 나무와 부딪히지 않도록 그쪽의 가지를 서로가 양보하며 상생을 하는 혼인목과 연리목의 이야기는 정말 멋졌다. 나무가 씨앗을 떨어뜨리고 새가 알을 낳아 자식을 품듯이 인간의 자식 사랑에 대하여 다시한번 생각해보게도 한다. 일도 좋지만 휴식도 꼭 필요하다고 충고한다. 세상은 숲처럼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것이라고. 자신을 아낌없이 주어야만 하는 것이라고.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을 말해줍니다"
"요즘 어떻게 지내느냐는 친구의 말에 타고 있는 차로 말해주었습니다"
"20대 재테크에 미쳐라"
"여러분! 부자 되세요"


마지막 문구때문에 저 위의 네가지 문장들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눈치챘을 것이다. 비록 욕망이라는 힘으로 살아갈 수 있는것이 우리라 할지라도 건강하지 못한 욕망들이 난무하는 세상은 아니라고.. 자신뿐만이 아니라 사회를 병들게 하고 우리 모두를 병들게 하는 그 욕망을 부추키고 있는 저 광고문구들은 무엇이냐고.. 저렇게까지 해야하는 우리네 욕망과 숲을 지키기 위한 나무의 초록빛 욕망의 차이는 정말이지 우리를 부끄럽게 만드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가 버렸던 것은 이런게 아니었을까? 어쩌면 그 치욕스러울만큼의 크기로 다가오는 욕망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4장에서 보여주는 순환의 고리는 참으로 명쾌하기까지 하다. 죽음이 삶의 끝자락에 배치된 이유는 무엇일까? 죽음에 앞서 정리하며 남겨야 할 것들은 또 무엇일까? 남겨서 아름답지 못한 것들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고 말해주고 있다. 그리고 놓음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두려워하지 말라고 한다.  비움의 철학을 이야기하던 법정스님의 말씀을 떠올리게 했던 부분이기도 했다. 꼭 필요한 것만을 가지고도 사람은 살아갈 수 있다던... 어쩌면 작가는 참 행복하겠다는 생각을 한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산다는 것 자체가 행복한 일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말이다.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첨부된 사진들에 대한 것이다. color사진이 아니라해도 조금만 더 크게 볼 수 있었다면 하는 마음에 못내 아쉽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