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어 측정기 나의 한국어 측정 1
김상규 외 지음 / GenBook(젠북)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말이 참 어렵긴 하다. 같은 말을 두고도 쓰는 상황에 따라 뜻이 달라지고, 같은 말인데도 불구하고 높낮이에 따라 또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우리말을 사랑한다고 자부하는 아니 사랑하고 싶은 내가 이 책 '한국어 측정기'를 보면서 과연 나의 한국어 실력은 어느정도나 될까 궁금하기도 했지만 어려운 우리말의 쓰임새에 대하여 더 많이 알고 싶은 욕심이 앞섰던 것도 사실이다. 내가 쓰고 있는 말들이 적절하게 잘 사용되어지고 있는지도 궁금했고... 쉽게 생각하고 쓰는 말중에서도 틀리기 쉬운 말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아무 생각없이 느끼는데로 썼지만 적절치않은 표현인지도 모른 체 쓰고 있는 말도 많았을 것이다. 내가 무슨 국어학자도 아니고 국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사람도 아닌데 뭘 그렇게까지 신경을 쓸까 할 수도 있겠지만 이왕이면 우리말을 좀 더 정확하게 알고 싶었고 또 적절하게 쓰고 싶다는 마음에는 변함이 없다.

'이따가'는 '조금 후,잠시 뒤'의 의미이고, '있다가'는 '있다'에 조사 '가'가 붙은 형태일 뿐 부사어로는 쓰이지 않는다..처럼 우리가 쉽게 생각하는 말부터 시작하여 들판과 벌판처럼, 목숨과 생명처럼 그 뜻을 적절하게 사용하기가 애매할 수도 있는 말, '~든지'가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가운데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반면 '~던지'는 지난 일을 회상하여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라는 것, '~(으)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며 '~(으)로써'는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낸다..와 같이 조금씩은 주의해야 할 말들이 나의 주의를 다시한번 일깨워주기도 했다.
 
아울러 나 혼자서 우리말에 대한 어원을 찾아내기가 그리 쉽진 않을 것이기에 이 책을 통하여 우리말에 대한 어원도 알고 싶었다. 그런데 나의 한국어 측정기를 살펴보면서 아이쿠, 이건 아닌데 싶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문답식으로 되어 있었던 까닭이다. 그렇다고 우리말에 대한 설명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책의 말미에 맞춤과 알짬을 덧붙여 주어 문제와 답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고 있다. 재미삼아 문제를 맞추며 하나둘씩 나의 실력을 측정해보기는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성이 차지 않았다. 좀 두껍더라도 시간을 투자해 볼 요량이었던 까닭이다. 가족과,연인과,친구와 함게하는 한국어 연습장이라고 미리 알려주었지만 내심 실망스러웠던 중에 함께 동행해 주었던 책 '우리 말에 빠지다'가 있어 너무나도 고마웠고 또 고마웠다.



우리말이어서 그럴까? 나는 이런 제목을 가진 책을 보면 괜시리 긴장된다. 무언가 엄청나게 큰 시험을 보는 것처럼 느낌이 그렇다는 말이다. 나의 한국어를 측정해보니 여간 많이 틀리는 게 아니었다. 분명히 이것일거야 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오답으로 나왔을 때의 실망감이라니... 너무 쉽게 생각했던 것 같아 반성하는 마음을 가져보기도 했지만 아하! 이것이었구나 하며 알아가는 재미도 쏠쏠했다. 정말 우리말에 빠졌던 시간들은 행복했다. 일상생활속에서 습관처럼 쓰곤 했던 말의 어원을 알게 됨과 동시에 거기에 묻어있던 우리 문화와 역사까지 알게 된다는 것은 일석이조가 아니고 무엇이랴 싶었다. 하나의 말을 알게 되면서 그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조금은 이해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외래어로써 우리말처럼 사용되는 것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 조금은 아쉽기도 했지만 우리가 우리말에 대해 조금씩만 관심을 갖고 배우려 한다면 그것쯤은 이겨내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책을 읽으면서 정말 아름다운 우리말이 이렇게나 많은데 나는 왜 모르고 살았을까? 알려고만 했다면 충분히 알 수 있는 말이었는데 알려고 노력하지 않았구나 싶어 자책감이 들기도 했고...

'머드러기'와 '지스러기'라는 말을 나는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알았다. 평범한 사람들 중 특별히 뛰어난 사람을 나타낸다는 머드러기.. 한자어로 '군계일학'이란 말만 열심히 써댔지 이렇게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을거라고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었다. 지스러기는 그 반대말이다. 좋은 머드러기를 골라내고 난 나머지, 부스러기나 찌꺼기들을 말한단다. '사랑'이란 뜻의 우리말이 '다솜'인 것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게다. '누리꾼'이란 말도 있지만 언제부터인가  동아리 모임이 '모꼬지'라는 우리말로 대체되었을 때 처음에는 어색했지만 지금은 아무렇지도 않게 쓰고 있듯이 좀 더 많은 우리말을 찾아내어 우리의 생활속에서 응용하며 쓸 수 있다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기도 한다. 우리말의 어원과 아름다운 뜻을 알려준 이 작은 책에 너무나도 감사한다. 좀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우리말을 쓰기에 어색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 나부터라도...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