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계 - 중국의 4대 미녀
왕공상.진중안 지음, 심우 옮김 / ODbooks(오디북스)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그래도 조금은 귀에 익었던 미인들을 기억해보라면 이렇다. 주지육림() 이란 말도 연못을 술로 채우고 놀던 주왕과 달기의 방탕하고 사치스러운 유흥행위에서 나왔다는 일화가 있는 여인, 중국 역사상 가장 음란하고 잔인한 대표적인 독부(毒婦)로 기록되었다던 주왕의 애첩 달기가 있다. 잘 웃지 않던 애희를 위하여  전시에나 올려야 했던 봉화를 올렸다는 주나라 유왕이 당황하던 신하들의 모습을 보고 포사가 웃자 좋아했다던 일화가 있는 또하나의 여인 포사가 있다.  하나라 걸왕을 꼼짝못하게 했고 비단이 찢어지는 소리를 즐겼다던 미인 말희가 있다. 또하나 떠오르는 이름이 있다. 우희.. 우미인이라고도 부르는 그녀는 사면초가에 빠진 항우를 위하여 최후의 연을 베풀었고 그 자리에서 자진하였다는 일화가 있는 여인이다. 우리에게는 패왕별희를 통하여 쉽게 다가오는 이름이기도 하다.  중국의 4대미녀라는 말을 들으면서 문득 떠오른 이름들이다. 그녀들이 과연 얼마나 미인이었을지는 잘 알지 못하겠지만 책장을 펼치면서 주요 인물소개 그림속에 나온 서시, 양귀비, 왕소군, 초선의 모습을 보면서 많이 달라진 미인의 조건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이 책의 소개글을 처음 보았을 때 그 여인들이 살았던 시대에 대한 재조명쯤으로 생각했었다. 하지만 나의 예견은 보기좋게 빗나가고 말았다. 물론 그 여인들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이야 당연하겠지만 일단은 그 여인들의 한많은 삶에 촛점이 맞춰진듯 보여진다. 여자로서, 한 여인으로써 단지 미인이라는 이유하나만으로 거부할 수 없었던 운명의 수레바퀴에 철저하게 뭉개져버렸던 그녀들의 일생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싶어하는 것 같았다. 왕의 비로 선택되어져 사랑을 받았든, 그렇지 못한 채 다른 여건속으로 말려들어갔든 그녀들이 꿈꾸었던 것은 오로지 한 남자의 사랑속에서 결실을 맺고 싶어했던 소박한 꿈이었을 뿐이라고 역설적인 대변을 해주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물론 그랬을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그렇지 않은 면도 있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여인들의 싯점에서 시절을 바라보는 까닭인지 이야기의 흐름은 약간 더딘듯 하다. 그러니 거두절미하고 이 여인들의 사랑이 어느쪽을 향하고 있는가만 알아채면 될 것 같다. 과연 그 여인들은 어떤 사랑을 원했고 또한 어떻게 사랑을 했을까? 아들의 여인에게 마음을 빼앗겨 종내는 자신의 비로 맞아들였던 현종의 이야기는 누구나 알고 있듯이 양귀비라는 여인을 등장시킨다. 하지만 흔히 뇌쇄적인 이미지를 생각하게 되는 양귀비가 여기에서는 오롯이 한 남자의 사랑속에서만 존재하는 여인 그 자체로써만 표현되어지고 있다. 그것도 정신적인 사랑을 우선적으로 그리고 있다. 범려와의 사랑을 뒤로 하고 구천의 복수를 위하여 오나라로 가게 되는 서시의 사랑 역시도 정신적인 사랑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단순히 왕을 유혹하고 육체적인 사랑만을 앞세웠던 여인들이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그 사랑을 위하여 목숨을 거는 사랑말이다.

안타깝게도 결실을 보지 못했던 초선의 사랑은 어느쪽으로도 가닥을 잡지 못했다. 양아버지의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동탁과 여포를 유혹하게 되지만 어느 누구에게서도 잠시의 행복을 느끼지 못하니 그또한 마음이 아프다. 동탁과 여포, 그리고 조조에게서 관우에게로... 하지만 미인이었다는 이유하나만으로 그 쳇바퀴를 돌아야 했으니 누굴 탓할까 싶기도 하고. 욕심을 앞세웠던 화사의 농간으로 인하여 타국에서 반생을 보내야 했던 왕소군 역시도 생각해보면 아련하다. 예나 지금이나 정치적인 속물들은 변함이 없다. 모든 것은 다 변하는 데 어찌 인간만이 변하고자 하질 않는지.. 이런 류의 이야기를 접하다보면 은근슬쩍 화가 나기도 한다. 인간으로써의 의미보다는 도구처럼 전락해버리고 마는 여인의 굴레가 너무도 슬프기 때문이다. 지금세상이 더 나은 것인지 아니면 그 오래전의 세상이 더 나은 것인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