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서
한호택 지음 / 달과소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소설은 미완성이다. 1편에 이어 2편이 나올 확률이 많아 보인다. 어쩌면 상중하일수도 있겠고 시리즈물로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왜냐하면 역사는 단 한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작가의 생각에 의해 더 많은 이야기가 창조될 수도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아니 이건 순전히 나 혼자만의 생각일뿐이다. 책을 읽고나서야 그런 생각이 들었으니 말이다).  戀書... 누구와 누구의 연서일까? 그리고 그 연서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 한권의 책만으로는 그 연서에 대한 궁금증을 풀지 못했다.  미리 예고된대로 서동요를 모티브로 삼았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선화공주와 백제 무왕의 이야기를 한참 건너 뛴 또다른 이야기가 어디선가 툭 튀어나올 것만 같은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백제 위덕왕의 서자로 태어났다는 장이 홀어머니의 손에서 자라나 영웅이 되기 위한 훈련의 과정을 보면서 나는 문득 <영웅문>을 생각했다. 처음 <영웅문>을 읽었을 때의 황홀함을 잊지 못하는 까닭이다. 방대한 중국땅을 배경으로  무예의 달인으로 성장해가는 그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은근한 깊이가 참 좋았었는데 이 책속에서 주인공 장이 성장해가는 과정의 은근한 깊이가 앞으로 전개될 이야기에 내심 기대를 걸게 만들기도 했다. 스승과 제자가 나누는 선문답속에서 찾아낼 수 있는 메타포들이 내게는 신선함으로 다가왔다.  위덕왕과 장의 어머니 수련에 얽힌 이야기나 그의 후비 해진과의 일화는 왠지 끼워맞춘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지만 늘어지지 않는 스토리 전개가 긴장감을 놓치지 않게 하려 무척 애를 쓰고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나름대로는 아주 재미있게 읽은 책이기도 하다.

처음부터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사랑이야기를 생각했다면 어쩌면 고개를 갸웃거릴 수도 있겠지만 그 안타까운 러브스토리를 만들어내기 위한 초석을 단단하게 해주기 위함이었는지 중반부를 달려가면서 두사람의 이야기가 얼핏 얼핏 보여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신라나 백제가 아닌 왜의 땅에서 대면하는 그들의 만남과 사랑이 또한 애틋하게 그려지고 있다. 왠지 요즘의 젊은이들이 만들어내는 사랑이야기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팩션이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그들의 사랑을 그려내는 작가의 손길에 많은 궁금증이 일었다. 그 사랑이 어떻게 그려질까?  만약 이 소설이 이 한권의 책으로 끝나는거라면 그들의 사랑 역시 미완성으로 끝날테지만...

"천하다 함은 어떤 뜻입니까?"
"돼지는 천하지 않다. 생긴 모습 그대로 살기 때문이다. 천하다 함은 생긴 모습 그대로 살지 못함을 뜻한다." (94쪽)
역사소설을 읽다보면 빠뜨리지 않고 나오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그 뿌리깊은 반상제도의 모순성을 이 책속에서도 만난다. 부조리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그 생각의 틀에서 선뜻 나서지 못하는 그들의 모습.. 그런 대목을 보게 되면 어쩌면 누구나 자신의 안위를 먼저 생각할 수 밖에 없는 삶의 진실된 모습인지도 모르겠다는 억지스러운 위안을 앞세워보기도 한다.  한사람의 영웅으로 태어나기 위해 장이 만나야 하는 삶의 모습은 참 다양하다. 먼저 도자기 만들고 굽는 과정을 통해 나자신을 이겨내야 하는 훈련을 하였고 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사는 장사를 통해 세상사람들을 알고 그들의 마음을 읽을 줄 알아야 하는 훈련을 하게 된다. 그 과정속에서 밝혀지는 출생의 비밀은 이슈적인 느낌이 없이 아주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그러면서도 결코 어느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장이라는 인물 설정이 참 좋았던 것 같다.

"보이지 않아도 중심이 없는 것은 없다. 움직이는 것의 중심은 변한다. 변해도 중심은 몸 안에 있다. 중심이 몸을 벗어나면 그것이 무엇이든 쓰러진다. 지고 싶지 않거든 중심을 몸 안에 두고, 이기려거든 상대의 중심을 빼앗아라" (68쪽)
영웅이기에 그토록 커다란 것을 원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복잡하고 다양한 이 시대를 살면서도 누구나 영웅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자신의 나라와 사랑하는 자신의 여자를 위하여 끝까지 자기 자신의 위치, 자기 자신의 중심을 세울 줄 알았던 장의 기개를 엿볼 수 있는 말이기도 하지만 시대를 막론하고 누구나에게 필요한 한마디 말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흔들림이 많은 세상속에서 자기 자신을 지켜내기가 쉬운 일은 아닐테니 말이다. 

책을 읽다보니 책속의 장면들이 그림처럼 머리속에 그려진다. 스토리가 어렵지 않게 흘러가듯이 전개되어지는 까닭일까?  하지만 눈앞에 영화처럼 그려지는 그 장면들이 있어  책속 내용이 한결 가깝게 느껴지기도 했다. 바꿔 말한다면 역사소설이면서도 그다지 무게감을 느낄 수 없었다는 게 솔직한 말일까? 어쩌면 서동요라는 이야기가 주었던 선입견이 작용했을수도 있겠고 우리에게 너무도 많이 다가왔던 하나의 이야기였기 때문일수도 있겠지만 확실히 묵직한 맛은 없었다는 게 나의 생각이다. 바램이 있다면 이 한권의 책으로 마무리 되어지는 이야기가 아니었으면 좋겠다는 거다. 나라를 구하고 왕자임에도 불구하고 왕의 자리를 넘긴 채 사랑하는 여자와 길을 떠났던 장. 하지만 나라가 위급해지자 다시 왜에 있는 장에게 배를 보냈다... 라는 말로 끝을 맺은 이 책의 마지막은 뭔가 아직 할말이 남아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나만의 느낌일까?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