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 - 설득과 통합의 리더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유성룡.. 그가 인물이었던가?  이 책을 읽고 난 뒤 유성룡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본다. 이 황의 제자. 도체찰사로써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총체적인 지휘를 하였다.. 반상제도에 얽매이지 않고 인재를 볼 줄 알아 추천하였으며 이순신이나 권율등을 기용했으고, 천민 출신의 신충원과 같은 이에게도 출세의 길을 열어주었다는 것.. 양반부터 노비까지 모두 군역의 의무를 지게 했던 속오군이나 토지 소유의 과다를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했던 대동법을 실시했던 것이나, 서얼이나 천인들을 발탁해 그들을 면천시키고 벼슬을 주는 등, 그가 행했던 모든 것들이 양반사대부들의 기득권을 흔들어 놓기에 충분했다는 것..  결국 그는 선조에게서 버림을 받았으며 은근짜한 선조의 회유에도 흔들림없이 초야에 묻힌채 조용히 생을 마감했다는 것... 가만히 생각해보니 내가 유성룡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너무 적었다. 단지 이순신의 뒷배경이 되어주었다는 것만이 뚜렷하게 부각되어질 뿐이었으니 달리 무엇이라고 할 말도 없는 듯 하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분연히 일어나던 화를 어쩌지 못했던 부분도 참 많았었다. 너무 엉뚱하게 그려져 있던 선조의 모습때문이었다.  현실을 외면하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었던' 조정의 인물들이야 우리의 역사속에서는 너무 흔하다. 말해 무얼하랴.. 지금의 정치현실도 저와 같음을...  "중세 이후에 좋은 법과 제도가 모두 폐지되고 떨어져서, 사대부는 다만 문장의 화려함을 다듬고 헛된 말만 꾸미기에 힘쓸 뿐 세상을 다스릴 생각에는 조금도 뜻을 두지 않았습니다"라던 유성룡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조선의 역사속에서나 작금의 현실적인 정치배경속에서나 헛된 말만 꾸미고 세상 다스릴 생각에는 조금도 뜻을 두지 않은 것은 똑같이 보여진다는 말이다.

우선은 선조를 먼저 알아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명종의 후사가 없어 왕족의 예로써 왕위에 올랐던 이가 선조다. 선조에 대한 이야기는 어떤 경로로든지 그리 많이 만날 수 없었던 듯 하다. 특별히 내세울만한 것이 없어서였을까? 인재를 등용할 줄 알았고 당쟁중에도 훈구파의 공격속에서 사림파의 사기를 북돋아줄 줄도 알았다고 기록에는 나와 있다. 선대의 숙제였던 종계변무(이는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중국 명나라의 대명회전에는 이인임의 후계라고 기록되어 있어 그것을 수정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를 바로잡기도 한 것이 또한 선조였다. 그림과 글씨에도 뛰어났다고 나와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다보면 선조를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고 만다. 어찌 저런 인물을 일국의 왕이라도 추대했으며 모시고 살았을까 싶기도 하다. 문득 요순시대의 선위 일화가 떠오른다. 나라를 다스릴만한 인재를 찾아내어 그 인재를 살뜰히 살며 진정한 군주로써의 면모를 갖추게 한 다음 비로소 왕의 자리를 주었다던 이야기.. 그 일화를 보면서 세습이 아닌 선위였기에 그토록 위대해보였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전쟁이 일어나자 제일먼저 피난의 짐을 쌌다던 왕, 선조.. 그 선조가 궁을 버리고 떠나자 화가 난 백성들은 배신감에 궁궐에 불을 질렀다고 한다. 단 한번도 맞서 싸워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던 왕, 선조.. 자신의 왕위 지키기에만 급급하여 세자책봉에도 그토록 힘겨워 했다던 왕,선조.. 그랬던 선조 곁에서 묵묵히 왕을 수호하며 자신의 뜻을 펼쳐나가던 유성룡의 이미지는 선조와는 너무도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나는 문득 이런 의구심이 들었다. 정말 한나라의 왕으로써 선조는 그렇게 옹졸하고 치졸한 모습밖에는 보여주지 못한 것이었을까? 내심 작가의 의중이 궁금해졌다. 역사는 힘있는 자의 붓으로 그려진다는 말이 있듯이 혹여라도 작가의 내면에 유성룡이란 인물에 대한 과신이 숨겨져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그렇지 않고서야 어찌 이토록 선조의 잘못된 점만 쏙쏙 뽑아낼 수가 있단 말인가?  그런 의구심을 이유로 나는 이 글의 맨 처음에 유성룡, 그가 인물이었을까? 라고 쓸 수밖에 없었다.  사실 유성룡이 실시하고자 했던 많은 것들은 이미 앞선 선각자들에 의해 한번씩은 거론되어졌던 것임을 분명히 해야한다. 명마는 주인을 잘 만나야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고 했다. 그만큼 유성룡이란 인물을 부각시키기 위해 선조의 모습이 변화되어진 것만 같이 느껴져 왠지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는 게 솔직한 내 심정이기도 하다.

어찌되었든 이 책을 읽으면서 나에게 확실하게 다가왔던 것은 모든 법을 시행함에 있어서 미리 내다볼 줄 아는 혜안을 살펴볼 줄 알았다기 보다는 이미 벌어진 일에 급급하게 맞춰졌다는 점이다.  자신의 이익 챙기기에만 혈안이 되었던 지식층의 모순점은 언제 보아도 안타깝기만 하다. 앞서가는 사람이 살 수 없었던 조선시대의 사회상이 가슴 아플 뿐이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속담이 생길정도로 남 잘 되는 것을 배 아파하던 조선의 시대상이 눈물날 뿐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누구의 후손인가.. 바로 그들의 후손이기에 어쩌면 지금의 우리들도 그런 속성을 간직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묻고 싶어진다.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은 한권의 책으로 인해 나에게 얻어지는 것은 참으로 많다는 것이다. 조선사에 관한 작가의 책을 몇 권 읽었었고 그 책으로 인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겉으로만 얄팍하게 알고 있었던듯한 임진왜란의 역사적 배경과 유성룡이란 인물에 대해 알게 된 점 또한 기쁨이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