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명저
김소연 지음 / 삼양미디어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살아가면서 상식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될까?  생각해보면 참 많기도 하다. 그만큼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들이 많다는 말도 될게다.  이 책을 처음 보았을 때 그 많은 명작들을 어찌 단시간내에 다 말할 수 있을까 싶었다. 만약에 정말 그렇게 많은 작품을 간단하게 소개할 수 있다면 아마도  보여주고 싶어하는 것들을 다 보여줄수는 없을거라고 생각했다. 그건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를일이지만 역시 이 책으로 만날 수 있는 45편의 명작들은 요점만을 간단하게  보여주고 있음이다. 하지만 마지막 작품까지 다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이랬다. 정말 잘 생각한 책이라고.. 책표지에 써 있던 것처럼 꼭 한 번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만 하고 좀처럼 읽지 못한 세계 명작 문학에 대한 나의 생각을 콕 집어낸 것 처럼 그렇게 시원한 느낌으로 책장을 덮을 수 있었다는 말이다.

이 책을 읽고난 후 줄거리 정도만 간단하게 이야기 해 줄수 있으리란 생각을 한다면 그건 오산이다. 물론 짧은 줄거리를 만날 수도 있다. 하지만 책을 만든이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부분들이 너무도 많았다. 작가에 대한 프로필을 함께 실었으며 그 작가가 활동을 하던 시대적 배경을 함께 설명해 놓아 작품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 작품이 만들어지게 된 동기라거나 간단한 일화들도 함께 소개해 주었으며 꼼꼼하게 챙겨주었던 삽화나 사진을 통한 독자의 이해를 배려함도 잊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그 작품으로 인하여 일어났던 사건이라거나  그 작품이 사회적 현상을 불러오게 되는 경위, 혹은 유행처럼 번져갔던 일들을 예로 보여주었던 것에서 나는 상식밖의 상식을 또하나 알게 되는 기쁨을 만끽하기도 했다.

학창시절에 한번은 읽었고 읽었을거라고 생각되어졌던 책들에 대해 재도전하는 시간을 가져보자고 작정한 뒤에 내가 선택해야 할  책이 너무도 많다는 사실에 난감했던 기억이 난다. 어떤 책부터 만나야 하는지 한참을 고민하기도 했었지만 선택단계에서부터 스트레스를 받기 싫었던 탓에 일단은 생각나는 책, 그리고 눈에 띄는 책부터 도전해 보기로 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도전했던 책들이 이 책을 만든이가 소개해 준 책의 목록에서 겨우 반이나 되었을까? 내심 부끄럽기도 했지만 읽고 싶었던 책에 대한 궁금증이나 이미 읽은 책에 대한 또다른 견해를 대했을 때 속으로는 쾌재를 부르기도 했다.  특히 작가와 그 작품을 함께 묶어 설명해주는 배경지식에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마디로 저마다의 작품을 이해하기 쉽도록 인도해 주고 있다는 말도 되겠다.

이미 읽었지만 까마득한 날의 기억속에서 되살아난 작품이 있다.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가 바로 그 작품이다. 총 4부작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일반적으로 '소인국'과 '거인국'이야기만이 아동문학으로 분류되어져 소개되어 왔다는 말은 내가 알고 있었던 <걸리버 여행기>와는 달랐다. 그 두가지 이야기외에 섬나라와 말나라 이야기가 있으며 섬나라이야기를 매개체로 '천공의 성, 라퓨타'가 탄생되었다는 말은 나를 또한번 놀라게 만들었다. 또한 말나라 이야기속의 말들이 기르고 있던 인간과 비슷하게 생긴 동물의 이름이 야후였으며 우리가 알고 있는 웹사이트 야후Yahoo 가 바로 그 야후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하니 이 또한 나를 유혹하기에 충분하지 않겠는가 말이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이라면 죽고 못사는 내가 그냥 지나쳐 갈 수는 없는 일이니 <걸리버 여행기>의 완역본을 꼭 한번은 읽어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는 것도 무리는 아닌듯 싶다.  

45편의 작품중에서 나의 호기심을 자극했었던 작품은 다니엘 키스의 <앨저넌에게 꽃을>이다. 왠지 짧은 줄거리만으로 그 작품을 알고 있다고 말하고 싶지않은 그런 느낌이 들어 도서관에 들르게 되면 꼭 한번을 찾아볼 요량이다.  세계의 명저를 CHAPTER 별로 나누어 놓아 나름대로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많은 책을 읽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핑게로 손을 대지 못하는 우리의 젊은이들이 이 책을 선택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만든이의 정성과 뜻이 보여지는 책이기도 하며 단순하게 작품의 줄거리만을 만날 수 있는 책이 아닌 까닭이기도 하다. 책장을 덮으면서  작은 욕심을 부려보자면  오래전에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짙은 여운을 남겨주었던 하퍼 리의 <앵무새 죽이기To Kill a mockingbird >를 만날 수 없다는거였다. 물론 이건 나만의 욕심일 뿐이겠지만 왠지모를 아쉬움이 느껴지기도 했다. 

지폐에 애니 이미지가 그려져 있다면 기분이 어떨까? 세계에서 가장 예쁘게 디자인 된 화폐중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지폐에 어린왕자의 모습이 인쇄되어져 있는 것을 보니, 그만큼 자부심을 느끼며 문학을 사랑할 줄 안다는 말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내심 부럽기도 했다. 물론 어린왕자의 아버지 생텍쥐페리의 초상화도 당연히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였다면 어땠을까?  일찌감찌 꿈 깨라고 하지 않을까? 아마 꿈도 못꿀 일이었을 게다. 각설하고 내게는 참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던 책이었다. 이토록 많은 작품을 짧은 시간내에 만날 수 있었던 것을 어쩌면 행운이라고 말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이런 생각도 든다. 이 책은 겁없는 스파이였으며 뻔뻔한 스포일러의 역할을 했다고...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