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의 수수께끼 - 흥미진진한 15가지 쟁점으로 현대에 되살아난 중국 역사
김영수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원복님의 '먼나라 이웃나라'라는 책이 시리즈로 출간되어 학생들에게 읽혀졌던 게.. 만화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다가가기에 부담이 없었던 걸로 기억한다. 그 책이 아직도 책꽂이에 꽃혀있지만 어찌된 일인지 아들녀석은 도통 흥미가 없다. 하기사 요즘의 아이들에게는 책보다 가까운 컴퓨터와 게임이 있으니 놀랄 일도 아니다.  '먼나라 이웃나라'의 일본편을 보면서 새롭게 다가오던 일본이란 나라에 대한 느낌을 이 책에서도 느낄 수 있을거란 기대를 했었다. 단순히 중국사를 논하기보다는  중국의 역사에 맞추어 우리의 모습을 한켜,한켜씩 보여주던 작가의 세심함에 새삼스럽게 고마움을 느끼게 되었던 책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예나 지금이나 우리나라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자면 중국이란 나라의 이름을 빼놓을 수가 없는 것 같다. 우리의 역사속에서도 아주 진득하게 그리고 질펀하게 녹아져 있는 게 중국이란 나라인 것도 같고...  사실 어지간한 중국의 문명이나 문화가 우리의 삶속에 그대로 녹아있는 경우도 허다하니 말이다.

이 책을 통해 중국이란 나라의 이모저모를 만날 수 있었다.  무인 출신이었으나 지식인을 높이 평가하여 끝까지 그들을 지키고자 했던 송 태조 조광윤, 그는 공개, 공평,공정이라는 '3공'의 정신에 입각한 유례없이 합리적인 인재 선발 제도였던 과거제도를 확대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출세의 기회를 주었다고 한다.  대운하를 통해 들려주었던 시대적인 정치나 경제, 군사의 복합적인 배경은 나에게 놀라움을 전해주기도 했다. 운하에 대한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해주는 대목이기도 했다. 중국을 여행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꼭한번은 찾아보리라던 진시황릉과 병마용 갱의 역사는 아주 세밀하게 잘 그려져 있어서 보고 또 보았다. 사진과 곁들여진 작가의 세심함에 놀랍기도 했지만, 그런 중국사를 들려주며 우리의 역사와 우리의 지식인들, 정치인들에 대한 우려감을 표현한 부분들은 참으로 안타까웠다. 중국인들의 역사재조명이나 그들의 역사관이 변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는 어떠한가? 작가는 되묻고 있었다. 기원전 2333년이 위험하다던 작가의 글을 읽으며 나도 모르게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었으니 그런 현실을 몸으로 보고 느꼈던 작가의 심정이 오죽할까?

16년 넘게 100여 차례나 중국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길고도 짧은 여행을 다녔다는 작가가 우리에게 제대로 된 중국을 알려주기 위해 얼마나 애썼는지는 책속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듯 하다. 고대 중국에서는 공무원을 어떻게 선발했으며 그에 따른 녹봉은 또 얼만큼씩이나 책정이 되어졌는지 그리고 지금처럼 평가제가 있었고 정년퇴직을 해야 했다는 점등, 능력이 없다고 평가되어진 관리들은 명예퇴직을 당하거나 한직으로 쫓겨나고 그것도 안되면 파직 당하기도 했다는 것을 보면서 지금 우리의 정치현실을 바라보니 쓴웃음만 나온다.  병마용갱이나 능원을 발굴해보자는 여러계층의 제의를 받고도 자신들의 역사를 지키기 위하여 '하루 늦게 파는 것이 하루 일찍 파는 것보다 낫다'는 원칙을 사수했던 그들의 모습에서는 절로 감탄사가 나온다. 우리같았으면 어땠을까?  얼마전 신문지상에서 보았던 우리의 오래된 문화유산들이 재개발이나 건축현장속에서 그 빛을 잃어가고 있다는 기사가 생각났다. 문화적인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처간 서로 떠넘기기만 하다가 시간이 흘러 그렇게 되었다는 글을 읽으며 쫓아가 머리라도 한대씩 쥐어박고 싶은 심정이었던 까닭이다. 도대체 저들과 우리가 무엇이 다르길래 이토록 의식의 차이를 느껴야 하는가 말이다. 시대적으로 변해져 내려오던 무인상과 문인상을 바라보면서 저 모습속에도 그토록 많은 이야기들이 숨어 있었구나 싶어 다시한번 바라보기도 했다. 역사는 이긴 자에 의해, 남겨진 자에 의해 쓰여진다고 했지만 자신들의 색깔과 선을 분명하게 긋기 위하여 노력하는 중국의 모습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긴장되어지던 순간이기도 했다.

사진과 이야기가 적절하게 어울어져 서로 보충설명을 해주었던 점은 이 책의 묘미가 아닐까 싶다. 중국에 대한 이야기가 어찌 이것뿐일까? 아마도 작가의 생각과 마음속에는 이것보다도 더 많은 이야기들이 살아 숨쉬고 있으리라. 2002년부터 시작된 '동북공정'이나 2000년부터 시작된 '중화문명탐원공정' 등은 '중국사 다시 쓰기'의 큰 퍼즐 맞추기인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작가는 묻고 있음이다. 그 안타까움을 여러가지 예시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니 나까지도 착잡해지는 느낌을 감출수가 없다. 지식인들의 기회주의적인 행태를 꼬집어 말한다해도 그들중 아무도 고개 들어 반박할 수 없을 것 같다.  작가의 말처럼 문제는 우리들 자신이 아닐까 싶다. 작가의 말처럼 식민사관에 안주한 채 집단이기주의를 등에 업고 사사로운 매명에만 열을 올리는 기득권층이 역사적 책무를 외면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볼 일이다. 제 닭잡아 잔치해 봐야 무슨 득이 있다고 우리의  저 잘난 인물들은 오늘도 피터지게 싸우고 있는데... 흔히 말하는 made in china 만이 중국의 모습은 아닐 것이다.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이길 수 있다던 옛말을 떠올리게 하는 책이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