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대한민국 디지털작가상 수상작
권오단 지음 / 포럼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어지러운 세상.. 그래도 뜻을 굽히지 않는 선각자는 반드시 있다. 단지 그 뜻을 관철시킴에 있어서 산넘어 산이라는 명제가 존재할 뿐이다. 책속 세상은 그다지 어지럽지 않다. 아니 내 생각이 그렇다는 말이다. 그러니 책을 읽어내기가 그리 부담스럽지 않다는 뜻도 되겠다. 역사적인 흐름속에 작가의 상상이 덧붙여져 한결 매끄러운 진행을 보여주고 있는 듯 하다. 임진왜란이 오기전의 상황처럼 보여진다. 그런데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느닷없이 삼국지를 생각한다. 유비와 그의 아우들, 그리고 유비의 상대적 존재인 조조.. 왜일까? 아마도 전쟁을 치루는 장면들이 삼국지의 한 대목과 겹쳐졌던 까닭인 듯 하다. 우리에게도 내노라하는 장군들이 있었음이다. 우리에게도 이름 석자만 내세우면 적장이 벌벌 떨었다던 그런 장군이 있었음이다. 그것이 허구의 인물일지라도 통쾌한 일임엔 분명하다. 헌데 그들은 왜 그 시절의 흔적으로조차 남지 못했는가? 반상의 계급이라는 것이 혹처럼 달려 도무지 떨어지려 하지 않는다. 혹부리 영감의 혹은 노래값이라도 받았건만 그놈의 반상을 따지는 혹은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가만히 살펴보면 지금의 현실과 다를 게 없어 보인다. 조선시대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지금 우리나라를 이끌어가고 있다고 큰소리치며 언론에 얼굴을 팔고 있는 사람들이 겹쳐진다. 잘난 사람들이다. 어쩌면 그리도 옛관습의 못된 것만 잘 따라하는지...

선조.. 선조를 말하게 되면 나는 이상하게도 백성을 버리고 도망 간 왕이란 전제를 먼저 떠올린다. 널리 인재를 잘 살펴 고루 쓰며 나랏일을 잘 보았다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결국 당쟁의 소용돌이에서 헤어나오지 못한채 백성을 버리고 도망해야 했던 비운의 왕이란 생각을 버릴 수가 없다. 이 책속에서 만날 수 있는 이이라는 인물에 다시한번 생각하게 된다. 피난을 가던 왕이 이이의 상소문을 생각하며 눈물을 흘렸다던.. 만약에, 정말 만약에 왕께서 그때 이이가 올렸던 상소문을 받아들였다면 어땠을까? 시무 육조나 십만양병설을 받아들였다면 어떠했을까? 아마도 지금의 우리가 이토록 약소한 국가로 남지는 않았으리란 생각이다. 작가는 추풍검 바우와 야차장군 백손이라는 백성을 내세워 그런 속아픔을 토닥여준다. 어쩌면 반상의 계급을 따지지 않고 현실적으로 인재를 등용하려 했던 이이에게도 한점 위안이 되었으리라.

영웅은 시대가 만든다고 했던가? 어린 시절부터 당파싸움의 부당함이 싫었던 광해군 역시 자신을 도와주었던 대북파의 힘을 어쩌지 못했던 걸 보면 왕은 제 홀로 되고 싶다고하여 왕이 될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잠깐 잠깐 비춰지던 어린 광해군의 모습들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조선시대의 사회상을 조목조목 엿볼 수 있는 걸 보면 이 책속에서 만나지는 어지러움은 전쟁이 피해로 어지러운 나라의 모습이 아닌 듯 하다. 도무지 현실적이지 못한, 아니 현실적일 수 없는 나리님들의 탁상공론은 볼 때마다 역겹다. 제 앞길만을 생각하며 그릇된 논리만을 펼쳐대는 어지러움.. 그 어지러움을 이 책속에서 만나게 된다. 우리의 선각자만이 그것을 가슴아파할 뿐이다. 그리 깊이있게 읽혀지지는 않은 듯 하다. 그저 물흐르듯이 가볍게 받아들이며 읽어도 무방할 듯 하다. 그저 망극하옵니다만을 외치는 대목에서는 이것들을 그냥! 하다가도 우리의 주인공들이 야인들을 물리치며 용감하게 싸워대는 대목에서는 통쾌하다. 큰 뜻을 품고 있으면서도 스스로의 기개를 깨닫지 못한채 자신의 허울속에 갇혀 살았던 민족의 아픔이 느껴지는 책이지 싶다. 주말 드라마의 한편을 본 듯하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