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들의 소셜 네트워크 - 인간보다 정교한 동물들의 소통에 관한 탐구
리 앨런 듀가킨 지음, 유윤한 옮김 / 동아엠앤비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Grooming.. 손질, 다듬기, 차림새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나온다. 원래는 마부들이 말을 씻고 다듬어주는 것에서 생겨난 말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의미는 어느쪽이 더 가까울까? 보통은 동물들의 행동을 표현하지만 인간 사회에서는 그다지 좋은 의미로 쓰이지 않는 듯 하다. Grooming이란 말 속에는 관계라는 의미도 숨어 있다. 서로를 다듬어준다는 것은 그만큼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싶거나 형성했다는 말일 터. 그것은 동물만 그런 것이 아닐 것이다. 이 책에는 그렇게 소통하는 동물들의 관계망에 대해 연구 분석한 내용이 실려 있다. 개인적으로 동식물에 관한 다큐를 좋아한다. 경이로운 동식물의 세계는 볼 때마다 놀라움을 선사해준다.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협력체를 구성하기도 하고, 사냥을 하기 위해 서로 힘을 모으기도 하지만 먹을 때는 또다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동료를 살리기 위해 먹이를 나눠주기도 한다. 포식자들의 움직임을 초식동물들에게 알려주는 원숭이의 모습은 분명 약자들끼의 협력이다. 새끼를 함께 기르는 공동육아 역시 저들만의 협력관계가 분명해 보인다. 분업화가 확실하게 되어있는 모습을 보면 저들과 인간이 도대체 무엇이 다를까 싶기도 하고. 인간의 오만과 교만 때문에 지구가 병들고 이상 기온에 시달리는 현실속에 동물들이 살아남기 위해 벌이는 처절한 삶의 현장을 이 책을 통해 보게 된다. 인간은 왜 인간만이 생각할 수 있다고 정의를 내린 것일까? 이 세상의 모든 정의가 인간 본위로 되어 있는 탓이다. 이 책을 통해 동물 사회에 형성된 먹이, 번식, 권력, 안전, 이동, 의사소통, 문화, 건강 네트워크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인간이 심은 농작물을 먹기 위한 코끼리들의 행동은 사실 먹고 살기 위한 몸부림일 뿐이다. 돌고래들이 인간을 위해 물고기를 몰아주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들도 필요에 의해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일지도 모르는 까닭이다. 과학이 보이고 마음이 들린다, 라는 책표지의 말이 시선을 끈다. 이 책을 읽고 다시 생각하게 된다. 사실 우리의 변화되는 모습 속에는 동식물을 연구 분석한 결과물이 많다. 그만큼 그들의 관계망은 우리보다 훨씬 더 오래 되었다는 의미다. “인간만이 관계를 맺고, 사회를 이루고, 네트워크를 통해 살아가는 존재”라는 오래된 믿음에 질문을 던지며, 우리가 맺는 모든 관계의 의미를 되묻는 책이다... 라는 말에 공감하지 않을 수가 없다. 저자는 생물학과 교수. 동물 행동학자, 진화 생물학자, 과학사학자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저서중에 <여우 길들이기>, <동물행동학의 원리>, <사기꾼 원숭이와 시민 벌떼> 등은 기회가 된다면 모두 읽어보고 싶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