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지 않아야 할 사람을 사랑하고 있다면 - 이정하 산문집
이정하 지음 / 마음시회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오랜만에 만나는 이름이다. 반가운 마음에 책장 앞으로 가니 역시 저자의 책이 눈에 띈다. 한마디 한마디가 은근하게 가슴으로 스며들었던 그 말들을 생각한다. 저자의 이력을 살펴보면 꽤나 많은 작품이 보인다. 시집 <너는 눈부시지만 나는 눈물겹다>, <한 사람을 사랑했네>와, 산문집 <우리 사는 동안에>, <너는 물처럼 내게 밀려오라>, <우느라 길을 잃지 말고> 를 읽은 기억이 있다. 여전히 그 느낌이 남아 있다는 것은 삶에 지친 서늘한 가슴에 온기를 전해주었던 말들의 온도가 따뜻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굳이 사랑이 아니라 해도 일상에 지친 사람이라면 한번 쯤은 읽어도 괜찮을 작품이 아닐까 싶다. 반갑게 펼쳐 든 책 속의 문장들이 낯설지 않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신작이 아니라는 점이다. 하지만 오랜만에 다시 만난 저자의 글들은 역시 따뜻했다. 기존의 작품과 겹쳐지는 부분도 많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말하고 있는 저자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 하다. 어쩌면 책소개의 말처럼 사랑에 아파본 사람이라면 밤새 책을 끌어안고 있을지 모르겠다. 저자의 주제는 오로지 '사랑'이라는 말에 곰감하게 된다. 어렵지 않은 말들로 풀어 쓴 문장들은 더듬거리지 않고 읽는 사람의 가슴속으로 찾아들 것이기에.

핸드폰을 바꾸며 나는 조금씩 망설여야 했다. 어느 이름은 지우고 어느 이름은 남겨둘 것인가. 생소한 이름도 있는 걸 보면 나는 그동안 내가 알고 있던 이름들을 불러내는 데 인색했던 모양이다. 그제야 나는 반성을 한다. 그들이 내 이름을 불러주길 간절히 원했으면서도 정작 내가 그 이름을 불러본 적은 얼마나 있었느냐고. 28쪽에 소개된 '이름들'이라는 글이다. 이처럼 작품속의 글들은 우리의 일상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하는 글도 많다. 누구나 한번쯤은 고민해보았을 순간들이다. 묻게 된다. 그 때에 남겨진 이름은 누구이고, 지워진 이름은 또 누구인가를. 내게 필요한 사람을 찾기보다는 다른 이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려고 하라는 말을 떠올리게 된다. 오늘밤엔 유서를 써놓고 잠들어 보리라. 그러면 삶에 더 애착이 가지 않을까. 어차피 인간은 죽는다지만 유서를 쓰는 심정으로, 지금이 마지막이란 심정으로 생을 살아간다면 한순간도 소홀히 보낼 수 없을 텐데. 또한 주변의 모든 것들, 내가 아는 모든 이름들이 그렇게 소중하고 절실할 수가 없을 텐데. (-130쪽) 유서를 쓴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서를 한번 써 본 적이 있다. 지나쳐간 삶의 모든 순간이 너무도 소중하게 느껴졌던, 그리고 곁에 있는 사람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깊이 되새기게 된 시간이었다. 지나간 후에 후회를 하게 되는 것이 삶이라고는 하지만 그 후회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 책을 낸 지 25년이 지났고 많은 것이 변했지만 그 때나 지금이나 사랑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믿고 싶다던 저자의 말이 이채롭게 다가오는 것은 사랑뿐 만이 아니라 우리 삶의 모습 또한 그 때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