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덕후를 위한 교양 수업 - 365일 1일 1지식
라이브 지음, 김희성 옮김 / 성안당 / 2022년 1월
평점 :
'덕후'라는 말은 일본어 御宅おたく를 한국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처음에는 그다지 좋은 의미로 쓰여지진 않았으나 지금은 뭔가 한가지에 몰두해 전문가 이상의 열정과 흥미를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사용한다. 하다못해 뭔가 하나를 엄청 좋아하는 사람에게까지 덕후라는 말이 쓰여지는 듯 하다. 어쩌다가 일본말이 한국에서 쓰여지게 된 것일까? 우리집에도 있다. 라이트노벨에 빠져 방을 도서관처럼 꾸민 녀석이. 그런데 그 현상에 대해 굳이 덕후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그저 누구나 하나씩 가지고 있음직한 작은 취미가 아닐까 싶어서. 열정과 흥미를 보이는 것은 좋으나 그것으로 인해 자신의 현실적인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면 그것은 바람직한 일이라고 볼 수 없다. 이 책을 통해 '덕후'라는 말이 품은 다양함을 알고 싶었다. 책의 소개글에서 덕후들이 좋아할 만한 장르와 전문 용어를 다뤘다는 말을 보았으면서 왜 그렇게까지 생각했는지....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일반적인 관심을 통해 이 책을 바라본다면 조금은 실망하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일본색이 너무 짙다. 역사와 신화, 전설이나 문학, 철학이나 심리등을 나누어 구성했다고는 하지만 마치 일본의 신화를 공부하는 듯한 착각이 들기도 한다. 떠다니는 정보들을 한데 모아 요점정리를 해 둔것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게임을 좋아하거나 전형적인 일본 애니메이션을 좋아한다면 나름 많은 정보를 얻을 수는 있을 듯 하다. 적어도 게임 캐릭터나 애니메이션의 배경이 된 신화나 전설의 유래에 대한 궁금증은 풀리지 않을까 싶어서.
오래전 신화에 빠져 허우적거리던 때가 있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신화라면 '그리스로마 신화', '북유럽신화', '켈트 신화', '이집트 신화'쯤일까? 남의 나라 신화를 열심히 읽다보니 우리나라에는 어떤 신화나 설화가 있을까 싶어 찾아 헤맨적도 있었다. 신화는 대체적으로 비슷한 틀을 갖고 있다. 하지만 모든 학문의 근원이라고까지 말할 정도로 신화의 파급력은 대단하다. 신화는 단순한 허구가 아니라 각 나라 또는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문화, 역사등에서 볼 수 있는 사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너무 쉽게 생각하면 안된다. 또한 다른 나라의 신화를 번역하는 과정이나 해석하는 과정에서 잘못 전해진 것들도 꽤나 많이 볼 수 있다. 신화가 환타지나 SF의 배경이 되기도 한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제중 철학과 심리를 공부한 것은 의미가 있었다. 귀에 익었던 말들의 정확한 의미나 배경을 알 수 있어 좋았다. 예를 들면 '헴펠의 까마귀', '슈레딩거의 고양이', '라플라스의 악마', '메리의 방' 등이다. 일본의 괴담이나 요괴들이 중국의 '산해경'에서 차용된 것들이라는 점이나, '프리메이슨'처럼 잘못된 지식을 제대로 바로 잡을 수 있는 계기도 되었다. 조금 지루하긴 했지만 모르는 것보다 알고 있으면 재미있을 듯한 이야기거리였다.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