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으로 읽는 기막힌 한국사 43 - 고조선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왕을 중심으로 풀어쓴 한국사
김선주.한정수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역사를 이야기한다면 고조선부터 시작한다. 고조선은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이다. 이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왜곡에 등장하는 말이기도 하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서북공정, 일본의 임나일본부설이나 정한론과 같은 터무니없는 말장난으로 인해 여간 골치아픈게 아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우리의 역사학자들은 어째서 강도높게 이에 대응하지 못하는가 화가 치밀때도 있다. 중국은 중국대로, 일본은 일본대로 자신에게 유익하게끔 우리의 역사를 날조하고 있다. 이제는 우리의 문화까지 넘보고 있으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우리 역사에 대한 이해를 넓혀보려 이런저런 역사책도 많이 훑어보긴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에서의 역사교육이 바로서는 것이 아닐까 싶다. 정치적 논리에 휘둘리는 역사교육은 올바르지 않다는 말이다. 상황이 이러하니 근현대사는 더 말할 필요도 없어 보인다. 발해나 백제의 역사가 무너지지않고 역사서나 유물유적으로 우리에게 전해졌다면 그야말로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우리가 되었을 것이다. 감히 중국이나 일본따위가 우리를 업신여기는 일 따위는 없었을 것이다. 그것뿐일까? 코리아라는 이름에 걸맞게 고려가 좀 더 오랜동안 역사속에 제대로 머물러주었다면 지금의 우리는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여러번 하게 된다. 역사를 보면서 아쉬운 점은 늘 있게 마련이다. 당시의 삶을 살아보지 못했으니 지금의 시선으로 본다면 아쉬울 수 밖에 없겠지만 그래도 아쉬움이 큰 것은 사실이다. 좀 더 유연한 사고를 갖지 못한 조선이 안타까울 뿐이다.


학창시절에는 우리의 지도를 보면서 토끼모양이라고 했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지금은 호랑이모양이라고 한다. 편년체로 된 역사를 암기하기에만 급급했다. 그런데 지금은 역사교육도 많이 달라져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고 한다. 한국인이라면 한국사를 가장 먼저 배우는 게 맞다고 본다. 개인적으로는 왕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역사서보다 백성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역사서를 더 좋아하지만 교과서가 말해주지 않는 숨은 한국사, 라는 책표지의 말에 끌려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책을 보면서 마치 학창시절로 되돌아간 느낌이었다. 시험준비를 하는 학생에게 요점정리를 해 준듯한 그런 느낌이랄까? 코로나때문에 발이 묶여서 마음껏 답사를 다니지 못하니 답답할 뿐이다. /아이비생각



학창시절에는 우리의 지도를 보면서 토끼모양이라고 했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지금은 호랑이모양이라고 한다. 편년체로 된 역사를 암기하기에만 급급했다. 그런데 지금은 역사교육도 많이 달라져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고 한다. 한국인이라면 한국사를 가장 먼저 배우는 게 맞다고 본다. 개인적으로는 왕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역사서보다 백성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역사서를 더 좋아하지만 교과서가 말해주지 않는 숨은 한국사, 라는 책표지의 말에 끌려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책을 보면서 마치 학창시절로 되돌아간 느낌이었다. 시험준비를 하는 학생에게 요점정리를 해 준듯한 그런 느낌이랄까? 코로나때문에 발이 묶여서 마음껏 답사를 다니지 못하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