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작을 읽는 기술 - 문학의 줄기를 잡다
박경서 지음 / 열린책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에 수업이 끝나면 곧바로 도서관으로 달려가곤 했다. 공부를 한다기보다는 도서관에 줄지어 서있던 책들이 너무 보고싶어서였다. 세계문학이라 일컬어지던 책들을 아마도 그 시절에 탐독했을 것이다. 그 시절의 책들을 다시한번 읽어보고자 성인이 된 후 다시읽기에 도전해보고 있는 중이다. 역시 학창시절에 읽었던 맛과 성인이 되어 읽는 맛은 달랐다. 그만큼 느껴지는 바가 달랐다는 말일 것이다. 문학을 이야기할 때 우리는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라는 말로 구분하기도 한다. 개인적으로는 베스트셀러에 그다지 관심이 없다. 하지만 스테디셀러라 불리워지는 책들에게는 언제고 시선이 간다. 그만큼 오랜 세월을 버티고 견디며 우리곁에 머물러준 까닭일 것이다. 이 책속에서 재미있게 표현했던 것처럼 책은 처음에 신간을 다루는 곳에서 뽀얀 얼굴로 반듯하게 누워 우리를 기다린다. 그러다가 조금 지나면 책장에 줄지어 선채로 우리의 관심을 기다린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이 서있던 책을 저 구석으로 몰아내고 그 몰아냄을 당한 책은 어느날 절판이라는 판결을 받고 어디론가 사라져버린다. 그것이 책의 운명이다. 그런데 이 책속에서는 아주 오랜동안 사라지지 않고 꾸준하게 우리 곁에 머무는 책들을 다루고 있다. 그런 책들이 어떻게 그토록이나 오랜 기간 우리의 관심속에 살아 남을 수 있었는지 흐르는 문학의 줄기를 따라 하나씩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두말 할 필요가 없이 문학은 그 시대를 반영한다. 때로는 작가의 삶을 반영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한 권의 책속에서 한 시대를 읽어내기가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이 책속에서 다루고 있는 것도 한 권의 책이 나오게 된 배경이나 그 책속에서 살펴볼 수 있는 시대적인 배경을 함께 아우르고 있음이다.


가끔 생각해본다. 책을 읽을 때 재미가 먼저인지, 그 책이 담고 있는 저자의 메세지가 먼저인지. 하지만 어느 한편으로만 생각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이긴 한다. 재미없는 책이라 생각이 들면 손을 내밀기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또한 책속에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전혀 담겨져 있지 않았다면 두번 다시 입에 올리지 않거나 다른이에게 추천하지 않게 된다. 그러니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한다는 말인데 그게 다분히 주관적인 면이 없다고는 할 수 없으니 작가의 고뇌가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후의 세대가 어떻게 해석했는가에 따라 그 책이 살아남을 수 있는가를 판가름할 수 있는 하나의 잣대가 되기도 할 것이니 책을 쓴다는 건 참 어려운 일임에 분명하다. 고전주의 문학이란 꾸준히 삶을 닦아 나가는 것이라는 말이 시선을 끄는 이유다.


<유토피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이방인>, <폭풍의 언덕>, <노인과 바다>, <위대한 개츠비>, <변신>, <테스>, <위대한 유산>, <제5도살장>, <고리오 영감>,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그리스인 조르바>, <젊은 예술가의 초상>...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어느정도 책을 읽는 사람이 아니라 할지라도 한번쯤은 읽어봤을 그런 책들이다. 한 권, 한 권마다 작품에 대한 해설이 이해하기 편하게 실려있다. 문학의 뿌리라는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특징부터 시작해서 유토피아 문학과 디스토피아 문학의 배경까지 세세한 설명이 곁들여져 있다.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톰마소 캄파넬라의 <태양의 나라>, 프랜시스 베이컨의 < 새로운 아틀란티스>를 3대 유토피아문학이라 한다. 예브게니 자야찐의 <우리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조지오웰의 <1984>를 3대 디스토피아문학이라 한다. 작품들만 보더라도 유토피아 문학과 디스토피아 문학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를 짐작해 볼 수가 있음이다. 유토피아 문학은 행복한 세상을 꿈꾸지만 반면에 현실세계는 비판하고 현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하며 미래를 묘사하는 문학장르다.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역시 자본주의 체제로 인한 '부르주아' 계급이 노동자 계급인 '프롤레타리아'의 노동력을 착취하면서 생겨나기 시작한 시대를 배경으로 탄생했다. 흥미로운 것은 본질적으로 공산주의를 꿈꾸는 게 유토피아라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인간에게는 이렇다하게 정의내릴만 한 그 어떤 것도 없어 보인다. 복잡미묘한 것이 인간의 삶인 까닭이다.


특히 한국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는 <노인과 바다>를 60~80년대의 젊은이들이 필도서로 읽을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재미있다. 1세대 영문학 학자들이 대다수 특수한 시대 상황으로 인해 미국에서 공부를 하며 영문학보다 미국문학을 파고 들었던 까닭이라 한다. 그만큼 우리 주변의 일들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신사라는 말의 어원이 흥미롭게 다가왔다. 중세봉건시대의 영국에서는 장자에게만 귀족작위가 상속되고 차남과 그 외의 친인척들은 귀족계층이 아닌 '젠트리'계층을 형성했다고 한다. 작위는 없지만 지주로써 귀족과 같은 생활방식을 누렸기 때문에 그들은 그냥 '젠틀맨'이라 불렸으며 여유로운 생활과 모범이 되는 행동으로 주위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그들이 19세기에 접어들어 중산층으로 자리잡으며 신사라는 개념이 생겨났다고 하니 다시말해 귀족과 중산층의 형태가 합쳐진 것이 신사라는 말의 어원일 터다. 문학의 흐름을 조금 정리해보자면 이렇다. 헬레니즘은 신화를 중심으로 한 인본주의였다. 실용적이며 개인과 기술을 존중했으며 철학과 과학을 발달시키기도 했다. 그에비해 헤브라이즘은 유대교나 그리스도교 세계관인 성서중심이었다. 당연히 신본주의였으며 감성적이고 강한 지도자에 의한 집단주의 형식이었다. 권위적이었고 경배와 순종을 지향했다. 그 후로 등장했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살펴보자면 고전주의는 보편적인 인간성에 주목했던 반면 낭만주의는 인간의 자아와 개성을 중시했다. 고전주의가 현실을 중시하며 진실을 추구했다면 낭만주의는 공상이나 상상력에 중심을 두고 아름다움을 추구했다. 고전주의는 형식과 균형, 기교를 중시했으며 낭만주의는 내용, 자유, 정서를 중시했다는 말도 보인다. 마지막으로 리얼리즘을 살펴보자.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과 더불어 나타난 문학장르로 현실 사회를 엄밀히 반영했다. 소재를 현실에서 찾았으며 일상의 경험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형식보다 내용을 중시했으며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병폐를 고발하기도 했지만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살펴보니 문학이라는 것도 시대에 따라 달라졌음을 알 수가 있다. 리얼리즘을 바라보는 김남주의 詩가 시선을 끈다. 살짝 지루한 면이 있긴 하지만 문학주의의 흐름을 따라가며 당시의 작품들에 대한 배경을 설명하고 있어 흥미롭게 다가왔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