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맛 - 짜장면부터 믹스커피까지 한국사를 바꾼 아홉 가지 음식
정명섭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1년 2월
평점 :
품절


'짜장면부터 믹스커피까지 한국사를 바꾼 아홉 가지 음식'이라는 부제가 흥미로웠다. 목차를 들여다보면 음식을 통한 우리의 근대사가 보인다. 그야말로 대중적인 음식들을 앞세워 변화되어가는 한국인의 문화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자면 아무래도 맛을 내는 조미료부터 시작하는 게 맞다. 어린 시절의 기억을 더듬어보면 그때는 미원과 미풍의 대결이 대단했었다. 미원은 사실 일본의 조미료 아지노모토(味の素)에서 온 것이다. 味元... 맛의 으뜸이라는 뜻도 있겠지만 우리가 원조라는 의미도 담겨 있는 말이다. 우리집은 언제나 미원가족♬이라는 CM송이 아직까지도 기억난다. 지금이야 화학조미료가 몸에 좋으니 나쁘니하면서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솔직하게 말해 미원을 넣었을때와 넣지 않았을 때 맛의 차이는 엄청나다. 그러던 것이 미원도 미풍도 아닌 다시다가 천하통일을 이루어냈다. 결론적으로 따지자면 미풍의 승리다. 어떤 음식이든 맛있게 잘 먹고 행복함을 느낀다면 몸에 좋은 것이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까닭에 화학조미료의 사용에 대해 그다지 많은 거부감을 느끼지는 않는다.


자장면이 맞다느니, 짜장면이 맞다느니 하면서 '짜장면'이라는 말이 한동안 세상을 시끄럽게 한 적이 있었다. 자장면이면 어떻고 짜장면이면 어떤가, 어차피 외래어에서 온 이름인 것을. 짜장면에는 한국으로 건너온 중국인들의 애환이 서려있다. 그야말로 서민의 음식이었던 것이다. 일본의 스시가 그랬다. 일본의 근대화가 시작되던 시절 지방에서 도시로 돈벌이를 하러 왔던 근로자들은 돈이 없었다. 그런 사람들에게 싼 값으로 많이 먹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던 것이 스시의 원조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고급화가 되었다. 일본인들이 돈까스를 먹게 된 유래가 재미있다. 돈까스는 육식을 하지 않던 일본인들에게 육식을 먹게 하기 위해 고안된 음식인 것이다. 지금은 일본인들이 소비하는 참치나 소고기 소비량이 엄청나다고 한다. 이채로운 것은 짜장면도 돈까스도 한국으로 건너온 후 완벽하게 한국식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지방을 대표하는 음식이 있다는 것이 미식가들에게는 분명 즐거운 일일 것이다. 경주나 군산의 유명한 빵집을 한번도 가 본 적은 없지만 주변에서 일부러 찾아가는 사람도 많이 보았다. 먹는 걸 그다지 즐기지 않기도 하지만 입맛이야말로 확실하게 주관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내게도 근처에 가면 일부러 찾아가는 음식점이 몇군데가 있기는 하다. 짜장면이나 돈까스외에도 카레나 단팥빵, 김밥이나 팥빙수와 같이 다채로운 서민음식을 통해 우리의 문화를 엿볼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다. 아울러 그 음식들에 담긴 역사를 배울 수 있었으니 一石二鳥가 아닐 수 없다. 책의 표지에 써있던 말처럼 조선인이 한국인으로 변화되어가는 모습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 마지막 장에서 다룬 커피를 보면서 오래전에 찾아갔던 강릉 커피박물관이 떠올랐다. 커피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커피향이 좋아서 가끔 한잔씩 마신다. 커피맛이 이렇다는 둥 저렇다는 둥 커피애호가들이 아무리 말을 해줘도 역시 달달한 믹스커피만 한 게 없다. 세상 어디에도 없다는 한국의 커피라지 않은가.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