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서가명강 시리즈 12
권오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라는 부제를 보면서 가장 먼저 책띠에서 밝히는 저자의 이력을 읽어보았다.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이면서 역사학과 고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말이 보인다. 그 말처럼 제대로 된 한국사를 알고자 한다면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애써 외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아직도 식민사관에 젖어있다는 것을. 우리의 교육현실이 얼마나 편협적인가를. 책을 읽으면서 공감의 순간도 많았다. 단순히 유물과 유적의 발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유물과 유적이 거기까지 걸어왔던 모든 길을 알아낸다는 건 쉬운일이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우리의 역사, 더구나 중국과 일본에 맞서야 하는 우리의 역사가 가야 할 길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중국이나 일본의 역사왜곡에 강력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것은 한국의 고대사에 관한 문헌이나 자료가 부족한 까닭이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고대사가 왜곡과 맞설 수 있었던 것은 땅속에 숨어 있던 유물과 유적의 발견 덕분이라고 한다. 또한 땅속의 유물들은 우리가 잘못알고 있던 역사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주기도 한다. 오죽했으면 중국이 광개토태왕비를 볼 수 없게 막았겠는가! 최고이자 최악의 발굴이라는 평을 듣고 있는 무령왕릉의 발굴만 보더라도 그렇다. 그야말로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발굴현장의 모습은 지금도 많이 회자되는 이야기거리중 하나이다. 미륵사지 석탑의 해체복원 과정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는 우리의 역사에 한획을 긋는 커다란 사건중의 하나였다. '삼국유사'에 의해 미륵사를 세운 것은 무왕과 신라의 선화공주라고 알고 있었지만 금제사리봉안기에는 미륵사 창건주가 백제의 사택왕후로 되어있었던 것이다. 그만큼 유물과 유적의 발굴은 큰 의미를 가진다는 말일 터다. 더구나 유물과 유적의 발굴은 그 시대의 역사를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음이다.


이 책의 여정을 따라가다보면 유물과 유적의 발굴을 통해 한국의 고대사를 바라보며, 무덤과 인골을 통해 고대인에게 말을 걸어 그들의 존재가치와 그들이 꿈꾸었던 사후세계에 대해 연구를 한다. 수도유적을 통해 삼국의 고대사를 되짚어 나가기도 하며, 초원길이나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와 얽힌 한국 고대사의 흔적들을 살펴보기도 한다. 각 장의 틈새에 부록처럼 'Q/A 묻고 답하기' 코너를 넣어 일반인들에게 많은 질문을 받았음직한 말에 대해 답변을 해 주기도 한다. 단순히 유물과 유적의 발굴 순간이나 과정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조금은 진부하다는 느낌을 받았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유물과 유적의 발굴이 얼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녔는가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무령왕릉을 발굴했던 교수의 한마디가 떠오른다. 몇 년이 걸렸더라도 나무 뿌리를 하나씩 들춰내며 발굴을 했어야 했다고, 단지 하룻밤만에 끝내버린 것은 씻을 수 없는 과오였다고. 인내와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일 것이다. 거기에 모두의 관심과 지원 또한 필요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