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을 떠나는 책들을 위하여 - 2020년 제16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오수완 지음 / 나무옆의자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라는 말은 다분히 매력적인 말이다. 그만큼 세계문학상이 배출한 작품이 많다는 말이고, 그만큼 그 작품의 매력에 빠졌던 사람이 많다는 말일터다. 개인적으로도 세계문학상에 대한 기대감은 컸다. 그러니 이 작품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었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읽는 내내 어떤 메세지를 담고 있는지 알 수 없었다. 끝에가서야 작가의 말을 읽게 된다. 아무런 것도 없었다는 걸 알게 될 거라고. 하지만 무엇을 말하고 싶어했는지는 어렴풋하게나마 눈치채게 될거라고. 그러니 당신도 마음에 품고 있는 이야기가 있다면 한번쯤은 이렇게 글을 써 보라고. 이쯤에서 아주 당연하게 짐작할만 하겠지만 이 책의 주제는 도서관과 그 도서관에서 기증받은 책들에 관한 이야기다. 이야기의 화자가 도서관이라고는 하지만 왠지 그런 느낌을 받지는 못했다. 나중에는 이 책들이 진짜 있는 책인가 싶어 찾아보고 싶은 마음까지 든다. 게다가 도서관의 풍경도 어딘가에 있을 법하다. 하긴 여느 도서관의 풍경이라는 게 그렇게 특별할까 싶기도 하지만. 거두절미하고 이 책에서 말하고 싶어하는 것은 가상의 도서관과 그 도서관에 소장된 가상의 희귀본을 소개하는 것이다.


제목처럼 도서관을 떠나야 하는 책들을 위하여 그들의 목록을 하나씩 소개하고 있다. 책이 있어야 할 자리인 도서관을 떠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는 재단은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아무런 이익도 내지 못하는 도서관을 매각하기로 한다. 그러니 그곳의 책을 정리하라는 말과 함께. 이런 저런 이유로 책을 정리하고 나니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어진 책이 아니라 개인적으로 만들어진 책만 남게 되었다. 어디에도 있을 수 없는 책을 위한 곳,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책을 위한 곳....원래 이 도서관의 목적이 그랬다. 소개하고 있는 가상의 책들은 모두 개개인이 쓰고 싶어서, 혹은 남기고 싶어서 개인적으로 만든 책들이다. 버릴수도 없고 그렇다고 다른 사람에게 줄 수도 없었던, 누군가에게는 너무나도 소중했을 그 한 권의 책은 어디에도 있을 수 없는 책이었던 것이다.


상당히 많은 책을 소개하고 있다. 때로는 모르는 새 집중하게 되는 주제도 있다. 도서관에서 볼 수 있는 이런저런 이야기들도 들려준다. 예를 들면 도서관을 찾아오는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이라거나, 그 사람들을 바라보는 사서의 시선, 그들끼리 서로 얼키는 작은 사건들... 사실인듯 허구인듯 잠깐의 혼란스러움이 찾아오기도 한다. 책의 말미에 많은 사람의 추천사를 달아놓았다. 저마다의 이유로 이 작품을 선정했노라는 말이 보인다. 하지만 왠지 씁쓸한 뒷맛이 느껴진다. 작가 자신도 당선될거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는 말과 함께. 마치 그들만의 잔치에 불려가 앉아있는 그런 느낌이었다. 전혀 대중적이지 않은...


조금 식상한 은유지만 사람은 우주다. 사람은 책이다. 한 사람의 깊이는 우주의 깊이와 같다. 그 깊이를 헤아리기 위해서는 그를 오래도록 읽고 또 읽어야 한다. 그는 새롭게 계속 쓰여지며 끝나지 않는 책이다. 그리고 어떤 책은 시간이 흐르며 더욱 새롭고 흥미롭고 신비로워진다. 그런 책을 읽어나가는 건 기쁨과 흥분을 주는 모험이다.(-88쪽) 분명 맞는 말이긴 하다. 그러나 책은 사람처럼 오래도록 바라보기가 쉽지 않다. 이 세상에는 너무나도 많은 책이 있는 까닭이다. 한 사람을 사랑하는 일과는 다르다. 그래서 책을 쓴다는 일은 말처럼 쉽지 않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