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만나는 산책길
공서연.한민숙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책을 하면서 우리의 역사를 살펴본다면 더없이 좋은 일이다. 그러나 역사는 우리가 늘 말하듯 아는만큼 보인다. 그래서 이 책의 목차가 궁금했다. 어떤 형태의 동선을 그리고 있는지. 우선은 서울길을 걷는다. 파리가 부럽지 않은 역사도시라는 말과 함께. 서울역에 가장 먼저 눈길을 주었다. 서울역사에 얽힌 오래된 이야기부터 지금은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한 서울역의 상징, 그리고 서울로7017이라는 고가. 사실 아직까지 가보지 못한 곳이다. 한번은 가봐야지 하면서도 가까이 있다보니 늘 뒷전이다. 비상시국이 끝나면 이번에는 기필코 가봐야지 한다. 혜화동과 성북동길은 참 많이 걸었었는데 아무리 걸어도 싫증이 나지 않는 산책길임에는 분명하다. 늘 지나치면서도 들어가보지 못했던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미술관이 벨기에 영사관이었다는 건 모르고 있었다. 조금만 더 관심을 두었더라면 충분히 알 수 있었던 것을. 사실 서울의 구석구석에는 우리가 의식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역사의 흔적이 많다. 볼 게 많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 많은 것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는 듯 하다. 서울의 역사를 공부하면서 걸을 수 있는 코스를 추천하는 책도 많다. 하지만 어떤 느낌으로 걸었는지의 차이는 분명해보인다.

서울의 옛지명은 한양이다. 옛조선의 수도이다보니 조선의 문화를 느낄만한 곳이 많다. 더구나 그 한양을 가운데 두고 4킬로미터 밖 40킬로미터 이내의 장소에 왕릉이 있다. 풍수적으로 길지이며 성역이다보니 주변의 환경과는 많이 다르다. 일단 숲과 나무가 참 좋은 왕릉길은 걷다보면 저절로 힐링이 된다. 그 기준을 조금 벗어난 곳에 자리한 왕릉도 있으니 핑게김에 잠시 서울을 떠나보는 것도 괜찮을 듯 하다. 너무 큰 기대를 하고 가서 조금은 실망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찾아가고자 하는 곳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알고 간다면 그것 또한 역사공부가 아닐까 싶다.

서울길을 걷다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곳도 있다. 가장 안타까운 곳중의 하나가 인사동이다. 인사동만의 느낌은 어떤 것일까? 개인적으로 학창시절의 추억이 묻어있는 곳이기에 하는 말이다. 전통문화거리라고는 하지만 교복을 입고 골목골목을 걸으면서 보았던 필방이나 표구방, 화랑등의 고즈넉함을 지금의 인사동에서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인사동만의 특색이 없어보인다는 말이다. 지금의 인사동 부근에 고려의 흥복사라는 절과 조선의 원각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중인들이 주로 살았다고 하는데 우리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진 이율곡이나 조광조등도 살았다는 말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도화서가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필방이나 화랑등이 많았던 이유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익선동의 변화도 그다지 달갑지 않게 다가온다. 겉모습만 그대로일뿐이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피맛골처럼 없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위안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일게다. 더 늦기전에 을지유람을 한번 해 봐야겠다고 메모를 해 둔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