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니발
강희진 지음 / 나무옆의자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도입부에서 가장 먼저 떠올랐던 건 오래전에 보았던 영화 <완득이>였다. 완득이와 담임 선생님의 관계가 조금은 익살스럽게 그려지긴 했지만 베트남 출신 엄마와 난쟁이 춤꾼 아버지의 이야기가 보태지면서 짠한 여운을 남겨 준 영화였다. 사실 우리 주변의 소외계층을 그린 작품은 많다. 미혼모를 다루었거나 다문화가정을 다루었거나. 대표적인 작품이 <도가니>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지만.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들을 향한 우리의 관심이다. 관심... 관심이라는 말은 사랑과 미움을 동시에 끌어안는다. 그만큼 관심을 갖는다는 건 중요하다. 늘 단일민족을 말하는 한국이지만 이제는 그만 그 틀을 깨고 나올 때도 되었다. 당장 살고 있는 주변을 둘러본다면 타국인들을 아주 쉽게 볼 수 있는 까닭이다. 지구촌이란 말만 들어도 그렇다.

카니발... 축제라는 의미로만 너무 쉽게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말속에 그렇게나 무서운 의미가 담겨있을거라고는 생각치 못했다. 찾아보니 이런 말이 나왔다. 사람을 먹는, 미개인의, 혹은 잔인한 사람, 야만적인 사람... 이 작품의 話者 예슬이는 투렛증후군이다. 저속한 언어로 말하는 외설증과 남의 말을 그대로 따라하는 반향언어증, 특정 단어를 반복적으로 발음하는 동어반복증의 음성틱이 심하다. 그 힘겨운 아이의 입을 빌려 필리핀에서 경상도의 산골마을로 결혼이주민이 되어 온 엄마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그녀의 남편은 도축업자, 나쁘게 말해 백정이다. 개도 잡고, 닭고 잡고, 돼지도 잡는다. 그것도 원시적인 방법으로. 그러다보니 그녀가 살아야 할 집은 마을과도 떨어져 외진 곳에 있다. 당연히 이웃주민들과 자연스럽게 접촉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엄마는 필리핀에서 대학을 중퇴했다. 공부도 잘했다. 그러니 이제부터 펼쳐질 이야기는 말하지 않아도 짐작하고도 남을 일이다. 결국 어느날 아빠와 심하게 다툰 엄마가 사라져버리고 아빠는 우물을 메웠다. 작품속에서 엄마의 흔적을 찾아내기 위한 딸의 의심과 불안함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누군가를 바라보며 말하는 형식을 취하지만 그 누군가는 책을 읽는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처음부터 더듬거리며 저속어로 시작을 하니 약간은 껄끄러웠다. 그럼에도 진심을 다해 자신의 마음과 지나간 일에 대해 말하고 있는 예슬이에게 이내 공감하게 된다. 그 껄끄러움이 오히려 더 많은 느낌을 전해줄 때도 있다. 솔직히 지금의 대한민국은 그들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가 힘들고 더러워서 싫다고 한 일들을 그들이 하고 있는 까닭이다. 공사현장을 가봐도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부분이고, 병원의 간병인, 식당노동자, 공장노동자,.. 농촌은 또 어떤가. 저자의 말처럼 한국사회는 변해야 한다. 언제까지나 그들을 이방인으로 대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들이라고해서 우리보다 못할 이유는 없다. 살기 위해서, 혹은 가족을 위해서 말도 안통하는 타국에서 버텨내고 있는 그들... 그만큼 씁쓸한 이야기다.

이 책의 저자는 장편소설 <유령>으로 세계문학상을 받았다. 세계문학상 당선작들에 관심이 있어서 그랬는지 이 책은 바로 눈길을 사로잡았다. 사회적인 문제, 특히 우리가 외면하거나 무시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다룬 작품들이 더욱 더 많아지기를 바라면서 책을 덮는다.  한국은 끝없이 분류해서 계속해 타인을 만드는 나라이다. 그래서 더더욱 아이를 한국에서 교육시키면 안된다. (-188쪽) 보면 볼수록 가슴을 서늘하게 하는 말이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