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콘서트 1 - 노자의 <도덕경>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위대한 사상가 1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대향연 철학 콘서트 1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콘서트에 초대를 받았다.
거기에 가면 무엇을 보고 들을수 있을까 내심 설레였다.
입장권을 내고 들어서던 순간부터 나는 그 분위기에 압도되었다.
너무도 자연스러운 모습들이 펼쳐져 있었던 까닭이다.
너무 어렵지도 그렇다고 너무 쉽지도 않게 진행되어지는 콘서트의 묘미.
그러나 한편으로는 학창시절 듣고 싶었던 강의를 몰래 도강하는 기분이 들었다.

초대되어진 명사는 모두 열분.
모두가 내노라하는 분들만이 자리에 앉아 있었다.
맨처음으로 나와 콘서트의 시작을 알린 사람들은 스승과 제자였다.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말라고,자신의 뜻을 위한 삶을 살라고 말씀하시며
오직 자신이 추구해 온 길만을 가기위해 죽음도 불사했던 스승 소크라테스와
그 스승을 바라보았던 제자 플라톤.
그러나 그 고매한 스승의 이념을 배웠던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인간을 통치자집단과 비통치자집단으로 선을 그어버리고 말았다.
그러면서도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꿈꾼다고 말을 하지.
하지만 중요한 것은 플라톤만큼 남녀평등 사상을 일관되게 주장한 이도 드물다고 한다.
두번째로는 고난의 역사속에서 세상을 구하고자 내려오신 분들
색증시공을 외쳤던 부처와 뜻대로 하옵소서를 외쳤던 예수가 있다.
이 콘서트를 주관한 지은이는 말한다. 불교는 종교가 아닌 철학이라고.
예수는 신의 아들이 아니라 사람의 아들이 아니었겠느냐고.
부처와 예수의 흔적을 따라가며 많은 이야기들을 풀어주고 있다.
그러고보니 소크라테스나 예수는 정치적인 희생양이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세번째로 등장하신 분들은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를 논하신
공자님과 우리의 학자 퇴계 이황선생님이시다.
그야말로 나 잘났소 하면서 천하를 주유한 사람이 공자가 아니었을까 싶다.
부러질까 숙이지 못한 그 융통성없는 성품에 누군들 맞설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어느 한곳에 머물지 못한채 자신을 받아주지 못하는 현실만을 탓하며 세월을 다 보냈다.
그러나 성리학의 대가이신 우리의 이황선생님께서는 어떠신가.
비록 나이는 어리나 학문이 깊은 고봉 기대승과의 논쟁은 참으로 멋진 광경이었다.
내 것만이 옳다고 주장하기보다는 다른이의 뜻도 받아들여 함께 논하고자 했던 깊으신 아량.
역시 대한민국 만만세이다.
네번째로는 경제계를 대표해서 나오신 세분.
세상에는 없으나 우리가 꿈꾸는 세상 유토피아를 외쳤던 토마스 모어와
모든 일들은 남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보다는
자신을 위한 이기심에서 비롯되어졌다고 외쳤던 애덤 스미스와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며 그 대가로 화폐의 형태로 임금을 받는 관계속에서
자본가와 노동자의 수탈관계가 은폐되어진다고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분석과 강한 비판을 외쳤던 카를 마르크스이다.
이쯤에서 지은이는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을 알고 있느냐고 묻는다.
<동물농장>의 예언자 메이저 영감은 마르크스이며, 농장의 주인 존스 씨는 자본가이며,
<동물농장>의 새로운 지도자 나폴레옹은 스탈린을 이야기 하고 있다고.
참 놀라웠던 사실은 모어가 꿈꾸었던 주민자치제와 남녀 평등이 지금 현실화되었다는 사실이다.
하루 6시간 노동을 주장했던 그의 말이 스웨덴과 네덜란드에서는 현실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많은 시간이 흐르고 나는 마지막으로 나와 이 콘서트를 정리해 주실분은 누구일까 궁금했다.
놀랍게도 동양의 철학자 노자였다.
이 콘서트의 주관자이자 지은이는 이렇게 말한다.
노자가 말하는 세상 '21C 유토피아,동막골'로 우리 함께 가보자고.
모든 인위적인 것을 버리고 자연스럽게 살자고 말했던 노자의 사상속에 빠져보자고.
노자는 "마음을 비우고 뜻을 줄이라"고 했다고 한다.
인생 뭐있냐? 그저 잘먹고 잘입고 따뜻한 방에서 맘편하게 살면 되는 것이지....
그래서 지은이는 아직도 휴대폰이 없느냐는 소리를 들으면서 산단다.

콘서트는 끝났다. 그러나 나는 그 콘서트장을 쉽게 떠나지 못했다.
철학콘서트가 아니라 철학심포지엄이었으면 더 좋았을걸 그랬다.
이 어려운 이야기들을 술이나 한잔 하면서 가볍게 들을 수 있게 말이다.
근데 철학이 뭐지?
여태 철학속에 있었으면서도 이제와서 또 묻는다. 철학이 뭐지?
그렇다면 나한테도 나만의 철학이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나의 철학은 또 뭐지?
철학, 뭐 별거 있냐?
내가 사는게 다 철학이지!
맞나?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