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매혹적인 죽음의 역사
기류 미사오 지음, 김성기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책을 처음 받았을 때의 느낌이 참 매끄럽고 좋았다.
책속에서 어떤 것들이 나를 만나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지 궁금하기도 했다.
책을 펼치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검은장미 한송이.
애달픈 사랑속에서 찾아지는 죽음의 모습을 보여주다가 느닷없이 섬뜩한 죽음으로 안내하는
그리고는 그 죽음의 미학으로 나를 몰아세우는 ....

1부에서 보여주는 죽음과 에로스에서는 죽음마져도 사랑으로 승화되어질 수 있는
잔인한 사랑이야기가 펼쳐진다.
자신을 사랑해주는 황제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이는 소년 노예의 이야기나
너무나 사랑했으나 신분의 격차로 인하여 인정 받을 수 없었던 황태자의 사랑앞에서
죽은 뒤에야 왕비의 자리에 올랐던 한 여자의 기구한 사랑이야기,
단순한 소와의 싸움으로만 알고 있었던 스페인의 투우이야기 속에 내재되어진 서글픔은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일들속에 숨겨져 알수 없었던 어떤 의미에 대한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자신의 사랑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결국 목이 잘려진 남자의 머리를 끌어안은채 눈물을 흘렸다던
살로메의 일화는 사랑이었을까 집착이었을까?

2부에서는 인간의 욕망으로 표현되어지는 죽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오래전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자행되어져 온 식인풍습들,
너무나도 혹독하고 그야말로 무서우리만치 섬뜩하게 잔인한 고문의 풀코스 이야기는
말할 수 없을만치 놀랍고도 경악스러웠다.
죽은뒤의 세상을 생각하며 저질러졌던 어이없는 일들에 대해 많은 일화로 들려주던 부분에서는
사실이 아니기를 바래보기도 했다.
흑사병이라는 재앙이 몰아닥쳤을 때 그것으로 인한 죽음의 그림자가 다가올수록
사람들은 더 열정적으로 춤을 추고 쾌락을 탐하며 방탕에 몸을 내던졌다고 한다.
순간의 쾌락으로 불안과 공포를 잊으려 했지만 결국 죽음의 그림자를 떨쳐버리지 못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인간의 욕망과 에로스를 극한에 이르게 하였다고 작가는 말하고 있음이다.

이어지는 3,4,5부에서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라거나 자살을 둘러싼 이야기들,
그리고 임종을 맞이하는 인간의 모습들을 다양한 예로 보여주고 있다.
희생양이 되어 죽어간 잔다르크의 일화나 많은 문인들의 기이한 사랑형태와 죽음의 순간들,
최근의 죽음으로 영국의 왕세자비였던 다이애나의 의문사까지...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그야말로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도 보여준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느닷없이 피식 웃어버리고 말았다.
사랑하는 마음을 갖지 말자 미움의 뿌리가 되기 쉬우니...라는 오래된 유행가가 생각났던 까닭이다.
왜 그런 말이 떠올랐는지는 알 수가 없지만 (사실 이 말은 법구경에도 나오는 말이란다)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여정속에도 죽음이라는 건 늘 함께 걸어가는 동반자가 아닐까 하는,
그래서 우리는 살아가는 내내 죽음을 의식하며 살아가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통하여 세월이 흐르면서 죽음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에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보게 되었다.
아주 오래전에 이미 페르 라세즈 같은 묘지를 꿈꾸었다는 이야기는 좀 놀라웠다.
책속에 실려진 페르 라세즈 묘지의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공원화된 묘지였기 때문이다.
어쩌면 아주 편안한 느낌으로 죽음이란 존재를 맞이하고 싶은게 인간의 마음이 아닐까 싶기도 했다.

기류 마사오...
프랑스 문학과 역사를 공부했으며 유럽 역사의 이면에 숨겨진 에피소드를 소개해 왔다고 한다.
작자는 왜 이렇게까지 죽음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책을 쓰는 동안 그가 느꼈던 것은 또 무엇일까 궁금해지기도 했다.
알고보면 매혹적인 죽음의 역사...
과연 죽음은 어떤 형태를 막론하고 매혹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맨 마지막 책장을 넘기면 검은장미 두 송이를 만나게 된다.
서로 마주보는 검은장미 두송이, 그리고 암흑...
어쩌면 삶과 죽음의 모습일런지도 모르겠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