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앤 아버스 - 금지된 세계에 매혹된 사진가
퍼트리샤 보스워스 지음, 김현경 옮김 / 세미콜론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금지된 세계에 매혹된 사진가, 다이앤 아버스..
금지된 세계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궁금했던 것은 그것이었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시절부터 남부러울 것 없이 살았던 다이앤.
그녀곁에는 늘 내면보다는 어떤 형식이 자리했었던 것 같다.
남들에게 보여져야만 하는 그런 것들말이다.
그랬던 그녀가 결국 남들에게 보여주는 사진을 택하는 된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다이앤은 어린시절 '비정상적인' 것이라면 무엇이든 보지 못하게 금지당했다.
보는 것을 금지당해서 더 쏘아보게 되었고,
어떠한 인간의 괴상함에도 강렬한 공감을 느끼게 되었다
...는 말처럼
그녀의 사진이 아주 독특한 이미지들로 채워지게 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를일이다.
(그녀의 작품사진을 한번도 본 적이 없지만...)

사실 나는 사진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
물론 사진이란 관념에 대해 궁금해 한 적도 없었다.
책을 읽는 내내 펼쳐지는 모든 배경들이 너무 생소하게 다가왔다.
그녀의 삶과, 그녀에게 다가오는 삶의 여정들 모두가 낯설었다.
좀 더 솔직하게 말한다면 지루하기까지 했다.
한장 한장 넘어가는 책장의 무게가 그렇게 무거울수가 없었다.
작자가 왜 이렇게까지 그녀의 삶을 쫓아다녀야 했을까 의문점이 생겨났다.
정말 너무나 소소한 일상적인 면까지 들춰내야 할 정도로
그 많은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하고, 그 많은 기록들을 찾아내어 말하고 싶은
작자를 끌어당긴 마력같은 힘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싶었다.
한때는 그녀의 모델로 활동했다는 작자의 이력을 보았지만
어떤 면이 그토록까지 강한 의미로 다가왔을까 하는 것에는 아무런 답도 얻질 못했다.
겉으로 보기엔 아무런 문제없이 밝아보이지만
이미 속으로는 커다란 문제덩어리를 키워나가고 있었던 그녀의 삶.
모든 것을 다 가졌지만 아무런 것도 갖을 수 없었던 마음의 빈곤..
그랬기에 그녀는 그녀에게 금기시 되었던 것들만 찾아다녔고
또한 그런 것들을 몸으로 부딪혀 감각으로 느끼길 원했던게 아니었을까?
다이앤 아버스...
그녀가 차라리 아내였고, 주부였고, 엄마였던 길을 갔다면 어떠했을까?
어떤 길이 되었든 그녀의 내면을 채워주지 못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어린 시절부터 억압되어져 온 그녀의 모든 감성들은 상처위에 덧발라진 딱지처럼
그렇게 굳어버렸는지도 모를 일이었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신적 외상을 입을까 봐 두려워하며 살아간다.
 그런데 기형인들은 애초에 외상을 지닌 채 태어났다.
 그들은 인생의 시험을 통과한 것이다. 그들은 귀족이다."
 -다이앤 아버스-
그녀의 말처럼 그녀 또한 또하나의 기형인이 아니었을까?
차마 표현해내지 못했던, 아니 표현할 수 없었던 그녀의 모든 것들이
이미 그녀 안에서 곪고 또 곪아 정신적 우울증으로 나타났으니 말이다.
카메라의 렌즈를 빌어 어쩌면 자기자신을 찾고 싶었던건 아니었을까?
어쩌면 그녀안의 삶은 환상이었을거란 생각을 해본다.
현실에서 저만큼 멀어져버린 환상.
어느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아니 이해를 바라지 않는 그 어떤 것.
그 환상들을 끌어다 자신의 현실과 타협하기를 바랬던 건 아니었을까?
"자기 피부 밖으로 나와서 다른 사람의 피부 안으로 들어가는 건 불가능하다.
 다른 이의 비극은 자신의 비극과 같지 않다."
사진을 찍으면서 그녀는 자신의 내부에서 뛰쳐나오고 싶었던 것일까?
올무같은 그녀 자신의 틀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건 아니었을까?
"어머니의 몰입하는 능력에 겁이 날 때가 많았다.
 어떤 대상이나 사람에 온전히 몰두하는 힘, 굴복하는 힘,
 그것이 어머니의 사진을 가능케 했다"
는 딸 둔의 글을 빌어 다시한번 생각해보자면
어쩌면 그녀는 그토록 싫어했던 자신의 틀속에서 머물길 바랬는지도 모르겠다.

아쉽게도 이 책속에는 그녀의 작품사진이 단 하나도 들어있지 않다.
단지 그녀의 일상적인 모습을 생각하게 할 수 있는 사진들만 몇 점 들어있을 뿐이다.
하긴, 나같이 사진을 모르는 문외한이 그런 작품사진을 본다한들
제대로 이해할수나 있을라구???
이 책의 주인공인 다이앤 아버스란 사진작가보다도
이 책을 쓴 작자가 더 경이롭게 느껴졌다. 참 대단하다!!!!!
이렇게까지 세세하게 한사람의 삶을 그리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과 정열을 쏟아부어야 했을지
또한 그 한사람에 대한 열정이 얼마나 대단했을지
어림잡아 짐작을 한다면 그것은 좀 건방진? 표현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

책을 읽는 내내 나도 우울했다.
그녀가 벗어날 수 없었던 우울증속으로 나도 빨려들어가고 있는 것만 같았다.
결국 그녀가 선택했던 길은 자살이었지만
그렇게 했다고해서 그녀 자신의 내면속으로 들어가지는 못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중간중간 삽입되어져 있는 사진속 그녀의 모습을 보면서
나는 왠지 저릿한 슬픔 한조각을 입에 문듯한 착각이 들었다.
사람은 누구나 버리고 싶은 자신과 버릴 수 없는 자신의 모습을 안고 살아간다고,
그래서 이중적인 삶을 살수밖에 없는거라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보여지는 자신만을 위해 살아갈 뿐이라고.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