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고양이
루이제 린저.프란츠 카프카.요한 볼프강 폰 괴테 외 지음, 이관우 옮김 / 우물이있는집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독일 대표단편선이다.
평소에 독일문학쪽을 대한다는 게 쉽지 않은 듯 하여 선택했던 책이었다.
루이제 린저,볼프강 보르헤르트,프란츠 카프카,아르투어 슈니츨러,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
테오도르 슈토름,클레멘스 브렌타노,루트비히 티크,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요한 볼프강 폰 괴테...
옮긴이의 말에 의하면 독일을 대표하는 작가들이라고 한다.
이 중에 내가 만난 작가가 몇이나 될까?
고작해야 루이제 린저나 프란츠 카프카나 괴테 정도?

10편의 단편을 읽으면서 내가 공통적으로 느낀 것은
문체가 상당히 섬세하다는 것과 사실적인 심리묘사가 참으로 매력적이라는 거다.
대체적으로 환타지나 SF적인 내용보다는 현실적이며 사실적인 내용이 많았다.
그래서 그랬을까?
섬세함속에서도 느껴지는 그 딱딱한 느낌이라니..
독일하면 뭔가 직선적이고 무뚝뚝하고 강인한 남성의 느낌을 받게 된다.
아마도 나만의 편견일지도 모르겠다.

2차대전 직후 폐허가 된 건물에서 어머니와 두 동생과 함께 사는 소년의 이야기 붉은 고양이는
사람의 내면적인 이기심과 그에 상반되는 동정심을 함께 그리고 있다.(루이제 린저)
사람 먹을 것도 없어 빵한조각으로 여러입을 채워야 하는 상황하에서
어디선가 나타난 배고픈 고양이에게 자신의 먹을 것을 나누어주는 어머니와 동생들.
소년은 이렇게 말한다.
"나는 더 이상 볼 수가 없어. 내 동생들은 굶주리는데, 너는 살이 찐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야.
 나는 그런 모습을 더 이상 가만히 볼 수 없어"
그리고는 고양이를 죽이고 돌아온 아들에게 어머니는 또 이렇게 말한다.
"엄마는 너를 이해한다. 이제 그 일은 그만 생각해라"

그리고 지금 나는 그 붉은 짐승을 죽인 것이 과연 잘한 일이었는지 모르겠다.
 그런 동물은 사실 결코 많은 양을 먹지는 않는데 말이다.

마지막 문장으로 나타낸 소년의 생각을 통해 작자는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무엇이 우선인가는 알 수가 없다.
단지 상황에 처해보지 않은 사람은 함부로 판단할 일은 아니지 않을까 하는
판단을 독자의 몫으로 돌린 작자의 심중을 헤아려 보기로 했다.

이 책속에서 만난 단편들은 한결같이 붉은 고양이처럼 인간의 내면적인 면을 다루고 있다.
이쪽도 저쪽도 아닌, 그러나 이쪽도 될 수 있고 저쪽도 될 수 있는 인간의 이중성을.
하지만 그 이중성은 편하고 안락한 생활속에서는 잘 표현되어지지 않는다.
그야말로 힘들고 어려운 상황하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속성이니 말이다.
게르하르트 하우프트만의 선로지기 틸이나 테오도를 슈토름의 임멘 호 같은 경우에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자극적이면서도 많은 생각을 해 주는 책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읽고 난 후의 느낌은 사실 씁쓸하다.
아름답게만 보여지지 않는 우리의 모습을 봐버린 탓일까?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