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얀 강 밤배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2005년 1월
평점 :
요시모토 바나나란 작가의 책은 많이 봤지만 읽어보기는 처음이다.
작가도 그리고 책제목도 어떤 끌림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책소개글에서 문득 다가가고 싶은 글을 만났던 까닭이었다.
"그러니까,언젠가 깨어나리란 것을 믿고,지금은 푹 주무세요" -작가의 말중에서-
몽롱한 의식으로 사는 사람들의 강함과 약함을 그리고 싶었다고,
구원해주고 싶었다던 작가의 그 말한마디가 강하게 와닿았는데...
알 수 없다.
강함과 약함을 동시에 갖은 사람들의 마음.
누구나 그렇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작가는 또다른 의미로 그들에게 말을 하고 있었다.
불현듯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꿈꾸는 모습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저 마음이 지치고 힘겨운 사람들 곁에서 잠만 같이 자줄뿐이라던 시오리의 말처럼
그런 사람들은 잠을 자다가도 놀라 깨어날 수 있는 거니까 그런때에
옆에 내가 있으니 괜찮다고 웃어줄 수 있는 그런 일을 할 뿐이라던 시오리의 서글픔처럼
어쩌면 모든 사람들은 그런 위안과 위로를 꿈꾸면서 살아가는건지도 모를일이라고..
나는 가끔씩 영매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과 한번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들이 정말 살아있는 우리와 이미 없어져 돌아올 길 없는 사람들의 영혼을
하나처럼 그렇게 묶어줄 수 있는것인지 한번쯤은 만나 이야기 해보고 싶었다.
그래서, 아니 정말 그럴수만 있다면 나도 만나보고 싶은 사람이 있었던 때문이겠지.
남들에게 인정받지 못할 죽음을 택해야만 했던 오빠를 보내놓고서
나는 몇날인지 모를 많은 시간속에서 그저 멍한 눈길로 살아야 했었다.
왜 그랬는지 나는 오빠를 보낼 수가 없었다.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 제대로 하지 못했던 내 자신이 얼마나 미웠었는지 모른다.
꿈속이었을 게다. 그렇게 넋을 놓아버린 채 지내던 날 중에서 나를 찾아왔던 오빠의 모습.
하얗게 웃고 있었던 것 같다. 그저 바라보기만 하면서.
그리고는 떠나갔지, 아무런 말도 하지 않은채로.
그렇게 나는 다시 나의 넋을 되돌려 받았었던, 그런 때가 내게도 있었음이다.
세편의 이야기속에서 만나지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차라리 강함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약함을 앞세운 강함으로 자신의 테두리를 지키려 애쓰던 사람들이 아니었나 싶다.
결국 죽음을 택해야 했던 그들.
그들에게는 다른 이에게 전하지 못한 그들만의 아픔이 있었으리라.
서글프게도 그들은 알지 못했다. 남아 있는 자들의 아픔을.
떠나는 자, 이미 모든 것을 다 버리고 비웠겠지만
남아야 하는 자, 그래서 그가 버렸던 모든 것들을 주워담아야만 하는...
책을 읽는 내내 너무도 아련했다.
너무 멀리 돌아와 이미 되돌아갈 길을 잃어버린 사람처럼 그렇게 가슴이 시렸었다.
죽음이란 건 과연 어떤 의미일까?
바나나를 좋아해서 필명을 바나나로 지었다던 작가의 엉뚱함이 왠지 정겹게 다가왔다.
일본쪽 소설을 읽게 되면서 공통적으로 느끼게 되는것은
하나의 풍경화를 보고 있는 것처럼 이쁜 감촉들이 아닐까 싶다.
적어도 내게만큼은 그렇게 느껴진다는 말이다.
어렵지 않으나 가볍지 않게 느껴지는 손끝의 감촉이 참 좋다.
밝음보다는 맑음에 가깝다고나 할까?
이 책을 읽으면서 문득 생각났던 문구.
외로운 사람은 사랑을 하고 있는 까닭이라던...
사랑하기 때문에 외로운 거라던 그 말의 아이러니를 이 책에서도 만나게 된다.
그러고는 외로워서 미칠 듯한 기분이 된다.
왜, 이 사람과 있으면 이렇듯 외로운 것일까.
둘 사이에 있는 복잡한 감정 때문인지도 모르고,
내가 우리 둘의 관계에 좋아한다는 것 외에
아무런 감정도 품고 있지 않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어떻게 하고 싶다든지 하는 그런 분명한 감정을.
다만 한가지, 이 사랑이 외로움 덕분에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내내 알고 있었다.
빛처럼 고독한 이 어둠속에서 둘이 말없이,
저릿한 마음을 떨치지 못하는 것.
그것이 밤의 끝이다. <16쪽>
그렇게 말하지 않아도 사람은 누구나 외롭다.
외로우니까 사람이라던 정호승 시인의 말처럼. /아이비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