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제국 - 개정판
이인화 지음 / 세계사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들어도 아하!하면서 고개를 끄덕거릴 사람이 많을 것이다.
책이 영화로 나올수 있다는 것은 어느정도 베스트셀러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점쳐지는 때문이다.
꽤 오래전에 이 책이 서점가의 앞줄에 서 있던 것을 기억한다.
그때만 해도 나는 우리나라의 역사라는 것에 과히 관심을 두지 않았었다.
물론 지금이라고해서 관심이 부쩍 많아졌다는 것은 아니다.
나름대로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말해준다는 유적지나 유물에 관해 관심이 조금 있었던 탓에
한동안 유적지 답사 동호회를 따라다니며 짧은 역사의식속에 잠시 생각을 멈추었던
그런 관심밖에는 없을 따름이다.

개정판이 나왔다는 말에 호기심이 발동했다.책보다는 영화를 먼저 대한 까닭이다.
나의 경우 책으로 읽었던 것이 영화로 나오면 그 영화는 어지간해서 보지 않는다.
책에서 느꼈던 많은 감동들이 짧은 영화한편으로 인해 줄어드는 것을 원치 않는 까닭이다.
그런 원칙에 의하면 나는 지금 예외적인 책읽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을 택했다는 것에 한점 후회가 없다.
 
부쩍 조선사에 관한 책들을 읽으며 야사의 흥미로움에 빠져 있던 탓이었을까?
이 책은 처음부터 나에게 긴장감을 요구했다.
책의 마지막부분에서 모든 것이 허구였다는 것을 알고 소리나게 책을 놓아버렸다는
어떤이의 서평이 한편으로는 가슴을 싸아하게 만들었다.
완전한 허구였을까? 그렇지는 않을것이다.
우리의 역사를 다루는 책을 쓰면서 완전한 허구에 의존하여 쓰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어느책을 보더라도 한결같은 나의 생각이다.
어쩌면 그 허구속에 묻혀진 진실을 찾아내는 것이 우리의 몫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해본다.
<영원한 제국>역시 나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우리가 학교에서는 배워질 수 없는 것들을 알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절반의 성공이다.
이런 류의 책을 읽다보면 가슴 한구석이 싸아해져오는 느낌을 주는 장면들이 있다.
성공한 자들, 혹은 높은 자리에 있는 자들, 흔히 말하는 공인들의 사적인 마음을 담아내는 장면들.
사람은 누구나 똑같다. 단지 앉아있는 자리가 다를 뿐.
그 자리의 무게로 인하여 처신함이 서로 각기 달라질 뿐이라는 것.
 
책을 읽으면서 참으로 크게 각인되어지던 두가지를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왕이라는 자리를 책상물림쯤으로 그려지던 그 흔한 예가 아니라 강직한 왕을 그렸다는 것.
文뿐만 아니라 武에서조차 추종을 불허하는 깊은 신념을 가진 왕으로 그렸다는 것이 그 하나이고
이인몽과 연암 박지원이 만나 대화를 주고 받던 대목이다.
문체반정(文體反正)이라는 역사적인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된 순간 설레였다.
그랬구나, 그런일도 있었구나 하는 생각에 마음을 졸이며 읽었던 대목이 아니었나 싶다.

이 책이 발표되고 문인들간의 공방이 있었다고 한다.
개인적인 사심에 의한 공방이 아니라 역사적인 사실을 말함에 부족하지 않은 공방이었다고 한다.
<영원한 제국>개정판의 묘미를 나는 소설이 끝난 후 뒷부분에서 찾을 수 있었다.
저자 후기글, 그리고 많은 문인들의 서평, 그리고 편집자 정리로 이어지는 논쟁과 평론들.
책을 읽은 독자들의 서평 또한 재미있게 보았다.
나는 사실 제대로 된 서평을 써 본적은 없다.
늘 읽고 난 뒤에 느껴지는 것들을 정리해 보는 짧은 감상문에 불과할 뿐이다.
책장을 덮으면서 읽고 싶은 책의 목록에 다시 추가되어지는 몇권의 책을 보게 된다.
첫장부터 긴장감을 느끼게 해주는 책을 만난다는 게 참 드문일인데...
다시한번 영화를 감상해 볼까 한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