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
우타노 쇼고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뭐야?
뭐지?
하~ 이럴수도 있는거구나!
내가 이 책의 마지막 부분을 읽으며 한 말이다.
속았다! 라고 간단하게 말할 수 없는 그 무엇이 또 있었다.
읽는 내내 앞뒤가 서로 얽혀지지 않는 고리때문에 머리 좀 굴렸었건만
끝내 풀리지 않던 실의 끝자락을 이렇게 마지막 부분에 와서야 찾게 된다.
읽는 이들에게 단 한번의 실마리조차 보여주지 않기로 작정한 듯한 문체를 보면서
다 읽고난 후에야 작가의 치밀성앞에 혀를 내두른다.
서정성을 잔뜩 안아든 제목만으로 선택되어졌던 책이었다.
계절이 바뀌는 길목에서 나는 진한 사랑이야기 하나를 만나고 싶었었다.
그러나 이건 정말 심한 배신이다.
이 책은 사랑이야기지만 결코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추리소설이라고 해야 옳지 않을까 하는 나름대로의 결론을 내리고 보니
옮긴이 역시도 추리소설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지하철이 들어오고 한 여자가 뛰어내린다.
그리고 문득 여자를 보게 된 남자가 그 여자를 구한다.
죽음을 선택해야만 했던 여자와 그 죽음을 지나치지 못했던 남자.
그 여자와 그 남자의 이야기는 거기서부터가 시작이다.
그 여자의 삶속에 그 남자가 끼어들었는지 아니면 그 남자의 삶속에 그 여자가 끼어들었는지
보여주지 않기로 작정한 작가는 마지막까지 줄달음질을 치게 만든다.
미노타우로스가 있는 미로에 빠져버린듯한 느낌.
어디선가 황소머리를 한 괴물이 먼저 나를 찾아내 다가올 것 같아 마음을 서두르게 만든다.
이야기속에서 작가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어쩌면 그것은 일본의 문제일뿐만 아니라 지금 우리가 직시해야하는 문제일수도 있다.
문제를 앞에두고서도 아직은 풀 시간이 많이 남아있다고 착각하는 이들에게
작가는 말을 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실현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는 직접 해봐야 아는거야.
머리로만 생각해 결론을 내버리는 녀석은 결국 그 정도의 인간밖에 될 수 없어.
나는 살아 있는 한 계속 도전하겠어...<502쪽>
가슴 뜨끔한 말이다.
가끔은 내가 주절거리듯이 내뱉던 말이기도 하지만
나 역시도 그렇게 머리로만 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아픈 반성이다.
언제나 그렇듯 현실을 무시할 수 없어서 그런거라고 자기위안을 삼으면서 말이다.
이 책의 결말부분을 미리 알고 읽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질문을 잠시 해 본다.
그랬다면 아마도 이 책이 주고자 하는 느낌들을 많이 찾아내지 못했을거라는 생각을 한다.
그만큼 선입견이나 편견의 힘은 무서운거다.
너무 뜻밖의 반전때문이었을까?  별 재미를 보지 못했던게 사실이다.
그냥 호기심만으로 책장을 넘겼다고 하는게 더 솔직한 내 심정이다.
하지만 마지막에 보여준 멋진 반전은 선물이었다고 생각하고 싶다.
인생의 퍼즐을 맞춰나가는 우리의 나이테 한겹을 본 것 같다. /아이비생각
 

"최근에 벚나무를 본 적이 있어?" 내가 불쑥 물었다.
"아뇨" 그녀의 목소리가 내 몸에 진동으로 전해져, 살아 있음을 실감한다.
"그런거야. 꽃이 떨어진 벚나무는 세상 사람들에게 외면을 당하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건, 기껏해야 나뭇잎이 파란 5월까지야.
 하지만 그 뒤에도 벚나무는 살아있어.
 지금도 짙은 녹색의 나뭇잎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지.
 그리고 이제 얼마 후엔 단풍이 들지."
"단풍이요?"
"그래, 다들 벚나무도 단풍이 든다는 걸 모르고 있어"-<50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