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의 마음을 잘 표현해준 책이라고 했다. 정말 그렇다고 말하고 싶다.
읽는 중이나 읽고 난 후에도 고개를 끄덕거리게 하는 매력을 지닌 책이 아닐까 싶다.
책속에서 펼쳐지는 장면들은 우리들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아이들의 생각을 빌어 어른들의 세상을 비꼬는 책은 몇권 본 듯한데
이 책은 아이에서 어른으로 넘어가는 시기에서 방황을 하는 청소년기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홀든 콜필드라는 아이의 생각과 시선을 통해서 물욕과 탐욕,그리고 성욕에 물들어버린
어른들의 세계를 아주 통렬하게 비웃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어쩌면 그런 세계에 발을 들여놓기전에 겪어야 할 하나의 시련인지도 모르겠다.
책속에서 만날 수 있는 것들은 그야말로 있는 그대로의 현실적인 것들 뿐이다.
어느것 하나 가식적으로 보여지지 않는다.
어느것 하나 미사여구를 끌어다 붙여가면서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 내내 알 수 없는 긴장감에 사로 잡혀 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마음에 드는 멋진 책을 읽고나면 그 작가와 전화통화라도 하고 싶어진다는 말은
종종 내가 책을 읽고 난 뒤에 느낄 수 있는 감정과도 딱 맞아 떨어진다.
신경숙이라는 작가의 책을 처음 읽고나서 나는 정말이지 그 작가에게 달려가고 싶었었다.
그리고 밤이 새도록 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욕망에 사로잡히기도 했었다.
그랬었던 기억이 떠올라 살풋 웃음지어 보기도 한다.
그 나이적에 가질 수 있는 호기심이나 이성에 관한 감정들을 정말이지 아주 솔직담백하게
잘 표현하지 않았나 싶다. 누구나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거릴만큼.
꿈은 클수록 좋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 꿈때문에 또한 좌절과 포기라는 걸 알게 되기도 한다.
자신의 꿈을 이루기에는 너무도 역부족으로 느껴지는 현실을 깨닫게 되기까지는
그리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 까닭이다.
하고 싶은 것, 가고 싶은 곳, 갖고 싶은 것들은 많지만
그것들을 원하는만큼 내게서 필요로 하는 것들도 많은 까닭이다.
그런 까닭에 젊은 시절의 꿈은 아름답다는 말일까?
 
"지금 네가 뛰어들고 있는 타락은 일종의 특수한 타락인데, 그건 무서운 거다.
 타락해가는 인간에게는 감촉할 수 있다든가 부딪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그런 바닥이 있는 것이 아니다. 장본인은 자꾸 타락해가기만 할 뿐이야.
 이 세상에는 인생의 어느 시기에는 자신의 환경이 도저히 제공할 수 없는 어떤 것을
 찾는 사람들이 있는데, 네가 바로 그런 사람이야.
 그런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환경이 자기가 바라는 걸 도저히 제공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
 그래서 단념해버리는 거야. 실제로는 찾으려는 시도도 해보지 않고 단념해버리는 거야.
 내 말 알겠니?"<276쪽>

방황하는 홀든 콜필드에게 앤톨리니 선생이 들려준 말이다.
듣고 있는 콜필드는 무조건 네,네, 알겠습니다로만 응대를 하고.
참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말이 아니었나 싶다.
떠나야겠다고 마음먹었던 콜필드의 마음을 붙잡아 준 것은 부모님도 아니고 선생님도 아닌
어린 동생의 마음이었다.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나름대로는 힘겨운 오빠를 이해해 주었던 그 순수함에
끝없는 타락의 세상속으로 발을 디딜뻔하던 콜필드는 다시 자신의 세상속으로 돌아와 웃음짓는다.
純粹... 그것은 무엇일까?
아마도 자신의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여지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마음이 아닐까 싶다.
 
학창시절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이게 몇번째지?
늘 그렇다. 어른이 되었다고 생각하면서도 늘 이렇게 아이처럼 군다.
생각뿐인 일들이 너무나 많다. 그리고는 핑게를 대지. 무엇무엇때문이라고.
책장을 덮고 느끼는 이 나른함은 무엇일까?
그냥 부드러운 이불을 덮고 한숨 자고 싶어진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