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 다락원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읽기를 시작한 후 정말로 힘겨운 싸움이 아니었나 싶다.
학창시절에 한번쯤은 읽어보았을텐데 도무지 아무런 느낌을 찾아낼 수가 없었던 까닭이다.
초입부분에서부터 종교적인 냄새가 심한 듯 하여 진도가 나가지 않았었다.
그런데 뭐랄까... 이건 종교적인 것과는 좀 다른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남자의 세 아들.
첫번째 부인에게서 얻었으나 그 존재성마져 기억하지 못하는 첫째 드미트리와
두번째 부인에게서 태어난 둘째 이반과 셋째 알로샤.
그리고 그 아버지의 아들일것이라고 추정되어지는 또하나의 아들 스메르쟈코프.
그 아버지가 살해되고 살인죄로 또는 증인으로 법정에 서게 되는 네 아들의 모습.
거기에 얽혀드는 두 여자가 이야기의 축으로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읽어가면서 형제들의 각기 다른 사상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의 서로 다름이
나의 눈길을 끌기 시작했다. 흥미로웠다.
겉으로는 다분히 파괴적이고 정열적인 드미트리는 그야말로 감성이 시키는대로 움직인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자기자신에게 퍽이나 충실한 사람이 아니었나 싶다.
그러나 치밀하고 이성적인 듯 보이지만 무신론자로 그려지며 허무주의를 내세우고 있는
이반에게 나는 왠지 끌려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뭔가 비밀을 숨기고 있는듯한 사람에게 끌리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그 감성과 이성사이에서 조율사로 등장하는 사람이 아마도 셋째 알료사가 아닌가 싶다.
수사가 되고자 했으나 수사가 되지 못하고 이곳저곳에 자신만의 사랑과 믿음을 심으며
선과 악의 중심세계에 서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알료사의 모습.
문득 얼마전에 읽었던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이 생각났다.
무인도에 떨어져 아무것도 없이 시작되는 생활속에서 갈라지던 한무리의 소년들속에서도
이성과 감정은 항상 대립을 이루고 그 사이를 방황하는 알수없는 중도의 힘이 있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씁쓸하게 내려지는 결론들은 하나같이 현실속에서는 이론적인 정의로움과 진실이
반드시 이기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같은 공간속에서 같은 상황을 바라다보는 사람들은 모두 같은 생각을 할까?
대답은 그렇지 않다,가 맞는 말인듯하다.
왜냐하면 사람마다 제각각의 성격과 살아가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책속에서 등장하는 주인공들 역시 그렇다.
나름대로는 진실에 가까이 다가가고 싶으나 조금더 자신에게 유리하거나 자신에게 좋은 쪽으로
결론을 내리고자 애쓰고 있다. 그런 내면적인 심리묘사가 참 절묘하게 표현되어져 있음이다.
나였더라도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누가 살인을 하였는가보다는 그 결과로 인하여 자기자신에게 미칠 일들을 더 많이 생각하는듯한
상황을 눈에 보는 것만 같다.

한마디로 이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나는 한편의 연극을 보고 나온 느낌을 받았다.
막장마다 어둠속에서 혹은 이미 등장한채로 불이 켜지기를 기다렸다가 저 뒷좌석까지 들리도록
커다란 목소리로 대사를 읊조리는 배우 한명 한명을 본듯한 그런 착각에 빠지기도 했다.
물론 그 연극의 관객은 나혼자뿐이었지만 왠지 나혼자만이 그 객석에 앉아있었던 건 아니라는
그런 생각이 들었던 것은 왜일까? 참으로 알 수 없는 느낌이다.
이반과 알로샤 그리고 아버지가 서로 대화를 나누는 장면과
중간중간에 적절하게 섞여 내게 보여지던 인간의 속성들은 내게 깊은 의미로 다가왔다.

성경을 배우던 소년이 두번짼가 세번째 시간에 갑자기 피식 웃고 말았다.
"왜 웃는거냐?"
"아무것도 아니예요. 하느님은 첫째 날에 세상을 만드시고,
 넷째 날이 돼서야 비로소 달과 별을 만드셨다는데,
 그럼 첫째 날은 어디서부터 빛이 비쳤을까 해서요"

고전읽기에 재도전을 시도한 것은 참 잘한일이지 싶었다.
자꾸만 잠들려 하는 나의 감성을 깨워주고 나를 또한 바쁘게 하니 얼마나 좋은일인지...
가볍게 한번 읽고 넘어가는 책보다는 나에게 요구하는 것들이 더 많은듯하다.
조금은 힘겨운 싸움이 될런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서두르지 않고 하나씩 하나씩
재도전을 해 볼 것이다. 갈 길이 멀다. /아이비생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