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시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오코의 '존재성'과 미도리의 '생존성'
(...여기서 '생존성'이라함은 '생동감'일수도 있겠다.)
너무 어렵게 다가오는 느낌이라 한참을 읽었다.
무엇이라고, 무엇때문이라고 감히 말할 수 없는 어떤 느낌으로 마지막 장을 덮는다.
아주 통속적인 그래서 어쩌면 너절하기까지 했던 표현법이라고 생각했는데
평론가들은 말한다. 너무나 슬프고도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라고.
내게는 처절하도록 슬픈 이야기였음을 누가 알까.
나의 위선을 떠올린다. 어쩌면 그리도 가식적으로 살아왔는지.
어쩌면 늘 머리속에 그리고 가슴속에 그 너절한 말과 행동을 품고 살면서
밖으로는 어떤 알지못하는 의미를 부여한채 가식적으로 쏟아내고 있었던건 아닌가.
나오코의 존재하기 위해 애쓰는 아픔이 내게로 전해져 오면서
어쩌면 스스로가 삶의 마지막을 결정짓는건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결국 그렇게 되었지만.

우리는 누구도 존재성만으로 곁에 머물기를 바라지 않지.
그래서 결국 살아 움직이는 생존성을 찾아 헤매게 되는 건 아닐까?
어쩌면 모두가 나오코가 앓고 있었던 존재성의 병을
누구나 할 것 없이 다 앓고 있는 건 아닐까?
그러면서도 비추어지는 모습만큼은 생존성이길 바라는 건 아닐까?
끝도 없이 자기자신을 잃지 않기위해 애를 쓰던 나오코를 보내고
예상치 못한 상실감에 그만 마음을 놓아버리고 마는 주인공의 허무감.
여기가 어딘가?
나는 어디에 있는가?
둘러보아도 알 수 없는 위치에 자신을 표시해 놓고는
끝없이 미도리를 외쳐대던 마지막 장면이 핏빛처럼 다가온다.
진정 미도리에게 돌아갔을까?
혼돈과 미궁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미도리가 찾아내기만을 바라지 않았으면 좋겠다.
미도리는 그를 찾아내었을까?


나무 하나가 흔들린다.
나무 하나가 흔들리면
나무 둘도 흔들린다
나무 둘이 흔들리면
나무 셋도 흔들린다.

이렇게 이렇게

나무 하나의 꿈은
나무 둘의 꿈
나무 둘의 꿈은
나무 셋의 꿈

-------강은교    '숲'


너무 많아 외로운 건 아닐까 돌아본다.
처음부터 곁에 머무는 게 너무 많아서 그곳으로부터 탈출하고 싶어지는 게
어쩌면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한다.
외롭다는 건 나오코가 안고 있었던 존재성에 불과하지.
그래서 늘 주변에 주변에 묻히고 싶어하고 어울어지고 싶어하고
주변에 속한 그 무엇이 되고 싶어하는게 아닐까?
그래서 나도 너의 곁에서 이렇게 머무르고 있지 않느냐고 외치고 싶은 건 아닐까?

주변이 내게로 와 살아 준다는 건, 살아지고 있다는 건, 살아 있다는 건,
어쩌면 .... 필요악인지도 모를 일이다. /아이비생각


## 첫장을 넘기는 게 참으로 무거웠었다.
습관처럼 첫장을 다시 넘기기에는 너무도 멀리 와버린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