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전출처 : 플라시보 > 동네친구

어제밤. 프링글스를 먹으며 책을 보고 있는데 아는 후배 소양에게서 전화가 왔다. 소양은 최근 혼자 독립을 해서 살기 시작했는데 외로움에 몸을 떨며 날이면 날마다 전화질을 하더니만 요 며칠 잠잠하다 싶었더니 또 전화질을 해댄것. 소양은 외로움에 뼈가 녹는듯 하여 며칠전 홀연히 게임을 하며 챗질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때 우연히 나이도 비슷하고 사는 동네도 같은 사람과 채팅을 하게 되었다. 안그래도 외로웠던 참에 너 잘걸렸다 싶어서 소양은 자신의 지긋한 나이를 잊은채 '우리 같은 동네인데 얼굴이나 볼까요?' 따위의 글을 날렸다. 그런데 이게 왠일. 일이 되려고 그랬던지 상대방도 '그럴까요?' 로 응수. 결국 그들은 서로 동네친구가 되기로 합의를 하고 그 동네에 산다면 누구나 아는 편의점 앞에서 만나자고 했단다.나는 그냥 친구랑 동네친구가 뭐가 다르냐고 했더니 소양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동네친구는 세수를 하지 않고 머리를 감지 않아도 만날 수 있으며, 무릎나온 추리닝에 쓰레빠 차림으로도 만날 수 있으며, 만나자고 마음을 먹으면 최대한 10분 이내에 만날 수 있는 친구가 동네친구라고 했다. (나는 그렇게나 한동네 사는 지인이 필요하다면 반상회나 나가보라고 했지만 그녀는 들은척도 하지 않았다.) 아무튼 그녀는 부담없는 동네친구를 만들었다는 기쁨에 젖어 동네 편의점으로 갔다고 한다. 여기서 잠깐 그녀의 차림새를 살펴보자. 일단 머리는 산발을 하고 있었으며 무릎나온 추리닝에 입으면 럭비선수 같아지는 오리털 파카를 입고 있었다. 그런데 두둥. 소양의 동네친구는 쫙 빼입고 나왔던 것이다. 추우니까 어디가서 오뎅이라도 먹지 라고 말 하려는 순간. 그녀의 동네친구는 이 근처 스타벅스가 있으니 그곳으로 가자고 했다. 소양은 쪽팔림을 무릎쓰고 동네친구와 함께 구질구질한 몰골로 별다방을 들어섰다.

소양의 동네친구는 키가크고 매우 잘 생긴 남자였다. 소양은 그저 키도 고만고만하고 생긴것도 부담없어서 그야말로 가끔 동네어귀에서 몰골 신경쓰지 않고 만나서 떡볶이나 한접시 할 수 있는 사람을 원했으나 그는 전혀 그런 부류의 인간이 아니었다. 일단 직업이 모델이었으며 (동네친구의 직업치곤 참 안어울리지 않는가? 동네친구란 자고로 전파상집 아들이라던가 수퍼집 둘째아들 정도가 딱 좋다.) 날씨가 추운것에 비해 옷을 허술하게 입었길래 춥지않냐고 물었더니 자긴 간지가 살지 않기 때문에 옷을 두텁게 입지 않는다고 했다. 거기다 큰 가방을 둘러매고 나왔길래 동네에 나오면서 뭘 가방씩이나 가지고 나오냐고 했더니. 그 모델 동네친구는 주머니에 이것저것 넣으면 간지가 살지 않기 때문에 자긴 꼭 가방에다 소지품들을 넣어 다닌다고 했으며, 오늘은 의상의 특성상 큰 가방을 메어줘야 어울리기 때문에 별로 넣을건 없었지만 조금 큰 가방을 가지고 나왔다고 했다. 이쯤되니 소양은 슬슬 동네친구가 부담스러워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웬걸. 이 잘생긴 모델 동네친구는 소양을 너무나 마음에 들어했다. 자기도 혼자 산지 얼마 안되었고 심심했던 찰나에 동네친구가 있었으면 했었다며 소양과 앞으로 친하게 지내자며 해맑게 웃었다. 그 이후 소양의 부담은 시작되었다.

동네친구는 동네친구 답게 저녁에 자주 연락이 왔다. 소양은 핑계를 대고 나가지 말까 싶다가도 자기를 너무나 서스름없이 대하는 동네친구이기에 마음을 고쳐먹었다. 그래 동네친구가 직업이 모델일수도 있지 뭐, 그래 동네친구가 간지에 목숨을 걸수도 있지 뭐 하면서 말이다. 허나 만나면 만날수록 동네 친구는 부담스러웠다. 대체 옷이 몇벌인지 몰라도 만날때마다 다른 옷차림이었으며 (집구석 웨어이긴 했지만 그건 잡지에서나 나오는 느낌의 옷들이었다.) 목도리도 매번 바뀌었고 (거기다 목도리를 메는 방법도 매번 바뀌어서 소양은 세상에 그렇게 다양한 목도리 메는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미처 몰랐었다고 했다.) 어떤 상황에서고 모델스런 포즈와 모델스런 웃음을 날린다고 했다. 성격도 좋고, 착하며, 동네도 같고. 등등 동네친구로써의 자격을 다 같추었긴 하지만 어딘가 모르게 그 동네친구는 좀 거시기했다. 그렇게 동네친구를 만나다가 어제 문득 소양은 변해가는 자신을 발견했다고 한다. 동네친구를 만나러 가는데 회사갈때보다 더 열심히 메이컵을 하고, 입고나갈 옷을 고르기 위해 몇번이나 거울 앞에서 옷을 입었다 벗었다 했으며, 심지어는 동네친구 만나기 두 시간 전에 때목욕까지 갔다가 왔다고 했다. 그제서야 그녀는 이건 아니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꾸질꾸질한 차림으로 만나서도 같이 과자를 씹으며 동네어귀를 어슬렁 거릴 수 있고, 집에서 뒹굴다가도 만나서 붕어빵을 함께 사 먹을 수 있는 편한 동네친구를 원했건만. 이건 한동네에 산다는 것을 빼고는 아무것도 동네친구스럽지가 않은 것이었다. 모델이 직업인 동네친구는 날마다 화보촬영장에서 트레이닝 웨어 지면광고 촬영을 하다가 막 튀어나온것 같은, 이지하되 패셔너블함을 결코 잃지 않는 차림으로 기어나오고. 떡볶이와 오뎅과 풀빵을 동네친구와 함께 먹고팠던 소양의 소박한 바램과는 달리 오직 별다방만을 사모하며 어쩌다 군것질을 하더라도 조각케잌이나 던킨도넛이 그 모델 친구의 최대한 널널하면서도 편한 간식꺼리였다. (그 앞에서는 오뎅이나 닭꼬지라는 말을 하는것 조차 불경스러울것 같았다나 어쩐다나..)

그래서 그녀는 어제 결심했단다. 동네친구를 그만 만나기로. 비록 조인성을 닮아서 보는 즐거움은 무엇에 비교할 수 없이 크고, 자기에게 참 잘해주는 동네친구였지만 도저히 부담스러워서 더이상은 안되겠다고 했다. 무엇보다 혹시나 동네친구가 만나자고 할까봐 회사를 마치고 집에 도착해서도 결코 일정기준 이상은 흐트러진 차림새를 하지 못하는 것이 너무나도 피로하다고 했다. 좀 아쉽지만 이쯤에서 동네친구에게 이별을 고할것이며 그 잘생긴 모델 동네친구가 자기보다 훨씬 더 근사한 동네친구를 만나서 여전히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작은 바램을 말했다.

그동안 다소 부담스럽긴 했으나 잘 만나왔던 동네친구와 이별을 해야하는 소양은 많이 아쉬운듯 했다. 허나 한편으로는 이제야 비로서 마음이 홀가분하다고도 했다. 세상은 참 다양한 사건이 일어나는 곳이다. 대략 10년을 혼자 살면서도 동네친구 같은건 생각도 안해본 나는. 동네친구를 만들려고 노력을 하고, 동네친구를 사귀고, 그 동네친구로 인해 부담스러워서 아쉽지만 작별을 고하는 소양이 신기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바람구두 > 책의 판형

책(문서)의 판형을 결정하려면 종이규격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ISO/JIS 규격

ISO 규격은 A, B, C 세 종류가 있다.
cf.
[WWW]International Standard Paper Sizes
JIS 규격은 A 규격은 ISO와 같고 B 규격이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B사이즈를 지칭하면 일반적으로 JIS 규격이다.

A B C JIS B
0 841x1189 1000x1414 917x1297 1030x1456
1 594x841 707x1000 648x917 728x1030
2 420x594 500x707 458x648 515x728
3 297x420 353x500 324x458 364x515
4 210x297 250x353 229x324 257x364
5 148x210 176x250 162x229 182x257
6 105x148 125x176 114x162 128x182
7 74x105 88x125 81x114 91x128

우리나라에서 흔히 쓰이는 종이 규격

우리나라에서는 46전지(788x1090)와 국전지(939x636)를 가장 많이 쓴다고 한다. 46전지의 크기는 JIS B1 사이즈와 유사하고 국전지는 ISO A1 사이즈보다 조금 크기 때문에, A 사이즈로 작업한 것은 대부분 국전지를, B 사이즈로 작업한 것은 46전지를 얹게 된다.
1연의 종이에서 전지 500장, 2절 1000장을 얻을 수 있다.

4x6판/국판

4x6판 국판
전지 788x1090 636x939
2절 545x788 468x636
4절 394x545 318x468
8절 272x394 234x318
16절 197x272 159x234
32절 136x197 117x158

책의 판형

종이를 이와 같이 사용하더라도 책의 판형은 관행상 다음과 같이 불린다. 종이를 자르는 방법이 다양하므로 변형판도 최근 많아지고 있다.

판형명칭 크기 대응판형 사용종이 전지1매당페이지수
국판 148x210 A5 국전지 32 교과서, 단행본
국배판 210x297 A4 국전지 16 잡지
국반판 105x148 A6 국전지 64 문고
타블로이드 257x364 B4 4x6전지 16 정보신문
사륙판 128x182 B6 4x6전지 64 문고
사륙배판 182x257 B5 4x6전지 32 참고서
신국판 152x225 * 국전지 32 단행본
크라운판 176x248 * 4x6전지 36 사진집
30절판 125x205 * 4x6전지 60 단행본
3x6판 103x182 * 4x6전지 80 문고

일반적인 전지에는 국전지(A전지)와 4X6전지(B전지)가 있다.
현재 시중에서 통용되고 있는 국전지는 (636X939mm)이며, 4X6전지는 (788X1,090mm)이다.
전지 500매를 1연(ream)이라고 하는데, 이를 흔히 영문의 첫글자를 따서 : R"로 표기하기도 한다.
즉 1연을"1(R)"로도 쓴다.
판형이란 책의 크기를 말하는데 크게 표준판형과 변형판형으로 나눈다.
여기서 표준판형은 국전지, 혹은 4X6전지를 종이의 낭비없이 출판하고자 규격화 시킨것이다.


국배판형
국전지를 8절 크기로 잘라 만든 판형으로 크기는 210X297mm이다.
크기가 커서 소지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르나 지면이 커서 시원한 느낌을 준다.
여성지나 종합잡지들이 이 판형을 선호한다.


국판형[A5판형]
국전지의 16절 크기로 잘라 만든것을 국판형, 혹은5x7판형이라하며, 그 크기는 148x210mm이다.
이판형으로 만들어진 책은 갖고 다니기에 적절하다. 문예물잡지들이 주로 사용한다.


국반판형[A6판형]
국판형을 2등분(32절)하여 만든 책의 판형을 말하며, 크기는 105X148mm이다.
소지가 간편하여 가볍게 읽을 책의 판형으로 알맞다.


타블로이드판형[B4판형]
4X6전지를 8절로 잘라 만든 책을 타블로이드판이라고 하며 크기는 257x364mm 이다.
신문이나 혹은 화보위주의 잡지를 제작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4X6배판형
타블로이드판의 반(4X6전지의 16절 크기)만한 규격의 책인데 크기는 188X257mm이다.
대부분 이 판형으로 제작되고 있을 정도로 널리 사용되는 판형이다.


4X6판형
4X6배판형 크기의 반, 즉 4X6전지를 32절 크기로 잘라 만든크기로(128X188mm)이다.
가볍게 읽을 책이나 잡지, 혹은 각종도서 목록집에서도 이 판형을 선호하고 있다.
예로서 월간지인 "샘터"나 "리더스다이제스트"가 이에 속한다.


4X6반판형
4X6판형에 비해 반만한 크기의 책을 4X6반판형이라고 하는데 그 크기는 91X128mm이다.
단어 암기장이나 간단한 물품안내 책자 등에 사용된다.


신국판형
표준판형 이 외에 자주사용하고 있는 변형판형을 보면, 국판과 같은 절수(국전지16절)로
만들어 내는 "신국판형"이 있는데 크기는 국판형에 비해 가로의 길이는 똑같으나
세로의 길이가 큰것으로 148X225mm이다. 일반소설류 출판물은 물론 사회과학 도서,
각종 전문 도서에서 흔히 볼수 있는 판형으로 4X6배판형과 함께 대단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판형이다.


그밖에도 크라운판/신서판형(3X6판형)/다이아몬드판형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mannerist > 파격이란 - 명연의 독이 철철 흘러넘치는 위험한 연주

경고: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처음 듣는 사람이라면 가능한 한 피할 것. 골드베르크 변주곡이 어떤 곡인지 모르고 이 음반부터 접한다면 이 연주의 파격과 그 충격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 곡에 대한 잘못된 편견에 빠지기 딱 좋다.

참 여러번 재발매되는 연주다. 글렌 굴드 에디션으로 한 번, 재작년 글렌 굴드 서거 20주년 기념 the states of wonder라는 제목으로 리마스터링을 거쳐 두번째 녹음과 같이 낸 게 두 번, 아직도 이 두 판본이 계속 팔리고 있는 와중에 또 이걸 찍어내다니. 양심에 찔리긴 하는지 보너스 트랙을 좀 넣고 - 사실 전체 연주시간은 38분 내외이다 - 예전의 멋진 LP자켓을 되살렸다. 하긴. 글렌 굴드 에디션의 지나치게 깔끔한 자켓보다, the states of wonder의 몰아지경에 빠진 굴드의 할랑한 차림보다, 서른 장의 굴드 사진으로 서른 개의 변주를 묘사하고 있는 원본 LP 자켓이 몇배 멋져보이긴 하다. 저 원본 LP자켓 사진을 가리켜, '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의 저자 미셀 슈나이더는 바이런적 영웅의 모습이라 극찬하기도 했으니까. 이미 글렌 굴드 에디션으로 이 연주를 가지고 있지만 저 원본 LP자켓을 되살린 걸 보자마자 가지고 있던 CD를 지인들에게 선물로 주고 이걸 살까 심각하게 고민하기도 했으니까. 가장 컬트-이 형용사를 붙이기에 그의 인기가 너무 좋긴 하지만-적인 연주자 굴드 팬의 성향을 정확히 꿰뚫긴 했다.

골드베르크 변주곡. 아래 리뷰를 쓰신 분이 지적하셨듯이 작곡 의도는 '자장가'라고 한다. 불면증에 시달리던 카이젤베르크 백작은 바흐의 제자이자 자신 휘하에 있는 쳄발로 연주자 골드베르크를 통해 불면증을 위한 곡을 하나 지어달라는 의뢰를 하고 이를 통해 탄생한 것이 골드베르크 변주곡이다. 골드베르크는 매일 밤 이를 연주했고 백작은 크게 흡족해하며 바흐에게 큰 잔 가득 금화를 주었다고 한다. 이게 바흐의 인생에서 받은 최대의 작곡 보수였다.  바흐의 제자 골드베르크의 나이와 생몰연도, 무서울 정도로 엄밀한 수학적 구조를 가진 곡의 성격 등을 들며 이게 과연 자장가가 맞는지, 저 에피소드가 사실인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음악학자들도 있다고 한다. 그럼 이게 자장가가 아니라고? 그들은 골드베르크 변주곡이 '불면증'을 위해 작곡되었다는 말에 주목한다. 그거 들으면서 잠들라는 얘기가 아니라, 잠이 안올때 들으면서 마음 편히 지내고, 다른 일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해 주는 의미가 아닐까. 그렇게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느 게 맞을까? 자장가? 아니면 잠안올때 마음편히 듣는 곡? 여러 연주에 따라 그 답은 달라질 수 있겠다. 가장 완벽히 곡의 구조를 재현해 낸 로잘린 투렉 여사의 연주나, 절제되고 나즈막한 울림을 전해 주는 안젤라 휴이트 여사의 연주, 모나지 않고 둥글둥글한 범생이 안드라스 쉬프의 연주를 들으면 자장가라는 말이 맞는 거 같기도 하다. 깃털처럼 가볍고 챙강챙강 파열음을 내는 굴드의 두번째 연주를 들으면 잠을 청하는데 도움이 되진 않아도 마음을 편안히 하는데 도움되는거 같기도 하고. 그럼 이 굴드의 첫번째 연주는 어느 쪽에 기울어져있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어느쪽도 아니다. 이 연주 들으면서 잠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의 신경 굵기를 난 상상할 수 없고, 이 연주를 들으며 딴짓을 할 수 있는 사람의 산만함을 떠올릴 수 없다. 가장 짧은 말로 이 연주를 평하자면, '미친듯한 집중력과 몰입'이 아닐까?

첫번째 아리아부터 무언가에 쫓기는 듯 빠르게 처리해나갈때부터 심상찮은 분위기를 내비친다. 길지 않은 아리아 마지막 음의 여운이 끝나기도 전, 그야말로 질주하는 듯한 첫번째 변주가 이어진다. 반복구, 도돌이표를 거의 지키지 않는다. 각 변주의 핵심부만 건드리고 나면 그다음 바로 다음 변주로 미친듯이 내달린다. 조화와 균형, 바흐의 전 작품을 통해 추구하려고 했던 곡의 내적 질서와 균형보다는 악보의 지시사항이 전혀 없던 시대, 연주자의 재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자유를 굴드는 만끽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 굴드의 연주는 맹독을 품고 있다. 고전주의 시대의 음악상이 어떠하였는가,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그당시 어떤 모습이었는가에 대해서 굴드는 일절 관심도 없다. 그 음표 하나하나를 몸으로 받아들여 자유롭게 창조해내는, 바흐가 아닌 굴드의 골드베르크변주곡인 것이다. 이를 소름끼칠정도의 속도감과 가벼운 터치를 통해 자신만의 해석을 빚어내었다. 바흐에게 그가 빌린 것은 음표뿐이었다. 작곡자의 의도 대신 자신의 자유로운 의식을, 음과 음 사이의 빈자리, 피아노 소리가 커버하지 못하는 공간마저 자신의 허밍으로 채우고 만다. 이 강렬한 곡에 대한 지배의식. 전곡이 연주되는 38분여는, 굴드를 제외한 그 누구도 이 사이에 들어갈 수 없다. 그곳엔 작곡자 바흐의 자리도, 듣고있는 당신의 자리도 없다(굴드는 청중에 대한 혐오를 죽을 때까지 버리지 않았음을 기억하라). 오로지 피아노와 굴드만 있을 뿐이다. 그의 전기를 골드베르크 변주곡의 구조에 맞추어 서술한 미셀 슈나이더가 그 제목을 Glenn Gould, piano solo라 한 건 정말 탁월한 통찰력을 보여준 것이다.

난 그래서 이 음반을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처음 듣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지 않다. 파격을 제대로 소화해내기 위해선 그만한 기반이 그 사람안에 쌓여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굴드의 이 연주가 얼마나 파격적이고 충격적이었는지 알 수 있고, 골드베르크 변주곡 자체의 매력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이 강렬한 연주를 접했다면 로잘린 투렉 여사의 잔잔하고 탄탄한 연주의 매력을 쉽게 느낄 수 없을게다. 연주의 질 자체는 최상급이지만 섣부르게 들어볼 음반은 결코 아니란거다. 글렌 굴드를,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궁금해하는 분들이라면 굴드의 두번째 1982년 녹음이나, 투렉 여사의 음반 등 보다 보편적인 연주를 먼저 듣고 기반을 쌓은 다음 반.드.시. 들어보시기 바란다. 이만한 파격은 서양고전음악 역사상 없었으니까. 게다가, 예전에 발매된 CD와는 달리, 38분의 본 연주 말고 쉽게 들을 수 없는 보너스 트랙이 여러 개 추가된데다, 오리지널 LP자켓을 복원한것도 장점이고. 게.다.가. 가격도 mid아닌가.  오죽하면 이런 말이 서양고전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 돌아다닐까. "굴드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그건 골드베르크 변주곡이 아니라 굴드베르크 변주곡이지."

그가 말한 예술에 대한 정의를 덧붙이며 모자란 리뷰 닫는다.

The purpose of art is not the release of a momentary ejection of adrenaline, but rather the gradual lifelong construction of a state of wonder and serenity.

예술의 목적은 순간적인 아드레날린의 분출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점진적인 경이와 평정의 상태를 구축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