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보의 새로운 조건들
    

진리, 장소, 사건 

이 정 우 저 


목 차



서론: 역사에 있어서의 진보


I. 관리사회


II. 실재의 귀환


1. 진리-사건

2. 역사에 있어서의 진리



III. 진리의 장소


1. 장소의 존재론

2. 진리의 장소



IV. 소수자-되기


결론: 진보는 나날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론


미셸 푸코와 사유의 전환




후기

개념 찾기

이름 찾기


저자 : 이정우


  • 최근작 : <전통, 근대, 탈근대>,<사건의 철학>,<객관적 선험철학 시론> … 총 53종 (모두보기)
  • 소개 : 1959년 충청북도 영동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공학, 미학, 철학을 공부했고,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이 시절 『담론의 공간』과 『가로지르기』에서 ‘객관적 선험철학’을 주창했다. 1998년 서강대학교 교수직을 사임한 이후 『시뮬라크르의 시대』와 『삶, 죽음, 운명』, 『인간의 얼굴』, 『접힘과 펼쳐짐』과 『주름, 갈래, 울림』 등의 저작들을 펴냈으며, 객관적 선험철학을 한편으로는 역사와 문화에 관한 이론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과 존재에 관한 이론으로 확장했다. 2000년에는 최초의 대안철학학교인 철학아카데미를 창설해 철학 연구와 시민 강좌에 몰두했으며, 이 시기에 『기술과 운명』, 『개념-뿌리들』, 『탐독』, 『세계의 모든 얼굴』 등의 저작들을 펴냈다. 현재는 2008년에 문을 연 소운서원(逍雲書院) 에서 집필과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아울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PAIDEIA(시민철학대학) 학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 사이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 『천하나의 고원』, 『주체란 무엇인가』 등을 펴냈으며, 현재는 ‘세계철학사 3부작’(『지중해 세계의 철학』, 『아시아세계의 철학』, 『근현대 세계의 철학』) 및 정치철학적 저작들(『진보의 새로운 조건들』, 『소수자 정치학』, 『사건의 정치학』)을 집필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윤릭학과 도덕교육 2 - 개정증보판 -

저 자: 박병기,추병완, 이경원 , 변종헌

가 격: 19,000원

발행일: 2011년 8월 25일

바코드: 978-89-7418-041-6 94190

978-89-7418-040-9 (세트)



CONTENTS


개정증보판 서문 5

초판 서문 11



제1부 도덕교육 방법론과 도덕과 교육과정

1장_ 도덕교육 이론의 최근 동향과 방법론 23

Ⅰ. 도덕교과의 현실과 도덕교육 이론 23

Ⅱ. 도덕교육 이론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의 방법 26

Ⅲ. 우리의 도덕수업과 동양 도덕교육론의 재해석 문제 41

2장_ 도덕교육 방법론과 우리의 도덕수업 45

Ⅰ. 도덕교육학과 윤리학, 도덕교육 방법론 45

Ⅱ. 도덕교육 방법론의 세 영역 47

Ⅲ. 전통 도덕교육 방법론의 새로운 부각 50

Ⅳ. 도덕수업을 시작하기 위한 윤리학적 질문들 53

Ⅴ. 우리 도덕수업의 현실과 도덕교사 60

Ⅵ. 도덕수업에 대한 편견과 올바른 인식 63



3장_ 도덕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69

Ⅰ. 도덕과 교육과정의 의미 69

Ⅱ. 국가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의 역사와 현실 72

Ⅲ. 도덕과 교육의 미래와 도덕과 교육과정의 지향점 89


제2부 도덕과 수업계획과 학습지도안, 평가

4장_ 도덕과 수업계획 95

Ⅰ. 도덕과 수업의 어려움 98

Ⅱ. 도덕과 수업을 잘하기 위한 몇 가지 원리 101

Ⅲ. 도덕수업의 설계 113

5장_ 도덕과 학습지도안 작성 209

Ⅰ. 학습지도안 양식 210

Ⅱ. 도덕과 학습지도안 진단을 위한 체크리스트 214

Ⅲ. 학습지도안 예시 216

6장_ 도덕과 평가 219

Ⅰ. 평가의 개념․기능․유형 220

Ⅱ. 도덕과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23

Ⅲ. 도덕과에서의 수행평가 229


제3부 도덕교육의 교과내용학적 접근과 과제

7장_ 정보윤리학과 도덕교육 263

Ⅰ. 정보의 개념 265



Ⅱ. 정보사회의 개념 269

Ⅲ. 정보기술의 유혹 273

Ⅳ. 컴퓨터 사회의 윤리적 문제 276

Ⅴ. 정보윤리학의 정체성 294

Ⅵ. 정보윤리관 확립을 위한 도덕교육 방안 301

8장_ 환경윤리와 불교윤리, 도덕교육 303

Ⅰ. 환경위기와 환경윤리 303

Ⅱ. 서구중심적 환경윤리 논의의 의미와 한계 306

Ⅲ. 주체적 대안 모색과 불교윤리적 접근가능성 312

Ⅳ. 환경윤리 텍스트로서의 『중론(中論)』에 대한 해석과 현대적 적용 318

Ⅴ.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교육의 새로운 방향 324

9장_ 민주시민교육과 도덕교육 329

Ⅰ. 민주시민과 민주시민교육 329

Ⅱ. 민주시민교육의 의의 333

Ⅲ. 민주시민교육의 기본적 정향 344

Ⅳ.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350

Ⅴ. 민주시민교육의 방법 365

Ⅵ. 민주시민교육의 전망과 과제 370

10장_ 통일교육과 도덕교육 377

Ⅰ. 통일교육의 개념과 영역 377

Ⅱ. 통일교육의 이념과 방향성 381

Ⅲ. 통일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392



Ⅳ. 통일교육의 변천과정 407

Ⅴ. 외국의 통일교육과 시사점 418

Ⅵ. 통일교육의 수업모형과 교수-학습지도 과정 유형 429

Ⅶ. 맺는 말 437


참고문헌 439



저자 소개


박병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불교원전전문학림 삼학원(三學院) 수료(5년제)

서울도봉여자중학교 교사, 전주교육대학교 교수 역임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국가생명윤리위원회 전문위원,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전문위원

〈주요 연구업적〉

『아동인격교육론』(1999, 인간사랑, 역서)

『윤리학과 도덕교육 1․2』(1996, 2000, 인간사랑)

『우리 시대의 문화와 사회윤리』(2003, 인간시랑)

『동양 도덕교육론의 현대적 해석』(2009, 인간사랑)

『도덕수업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인성교육 살리기』(2011, 인간사랑)

외 다수



추병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졸업

동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수료

미국 조지아 대학교 대학원 졸업(철학 박사)

서울사대부속여자중학교 교사 역임

현재 춘천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주요 연구업적〉

『배려교육론』(2002, 다른우리, 역서)

『도덕교육의 이해』(2004, 백의)

『정보윤리교육론』(2005, 울력)

『도덕․가치교육을 위한 100가지 방법』(2006, 울력, 역서)

『도덕 발달과 도덕 교육』(2007, 하우) 외 다수



이경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현재 진주교육대학교 도덕교육과 교수

〈주요 연구업적〉

「콜버그 인지적 도덕성 발달에 관한 조사연구」(1995)

「도덕과 토론식 수업전략에 관한 체계론적 연구」(1997)

「폴란드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에 관한 체계론적 연구」(1998)

『컴퓨터 윤리학』(1997, 한울) 외 다수


변종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서울대학교, 명지대학교, 서원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제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주요 연구업적〉

『정치경제학과 국가론』(1989, 형설출판사, 공저)

『컴퓨터 윤리학』(1997, 한울, 공역)

『비전 2020』(1999, 민음사, 역서)

『현대 사회와 이데올로기』(2000, 인간사랑, 공저) 외 다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미디어와 공론정치

부 제: 정치평론이란 무엇인가?

저 자: 한국정치평론학회

가 격: 20,000원

발행일: 2011년 9월 10일

바코드: 978-89-7418-039-3



CONTENTS


서문 | 문창극(중앙일보) 7


[1부]정치평론과 이론


01.공적 영역으로서의 저널리즘에 관한 사유 | 임상원(고려대) 13

02.말과 정치 | 김홍우(서울대) 23

03.정치평론에서의 lexis와 logos | 이동수(경희대) 35

04.정치평론과 소통 : 쾨슬러의 민감한 판막 | 김대영(동북아역사재단)65


[2부]정치평론과 한국


05.정치평론가 이율곡 | 최진홍(서울산업대) 101

06.근대적 공론장의 등장과 정치권력의 변화 : 《독립신문》 사설을

중심으로 | 장명학(경희대) 135

07.정당 대변인의 󰡐말󰡑과 한국 정치의 관습 | 이현휘(성신여대) 173

08.촛불집회와 한국 사회의 공론장 | 홍성구(강원대) 215


[3부] 정치평론과 세계


09.정파의 대립과 법치 : 데이비드 흄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병택(서울대) 261

10.후쿠자와 유키치의 정치평론 : 《時事新報》 창간호의 평론을

중심으로 | 다카시로 코이치(아주대) 287

11.21세기의 한반도와 미국 외교 | 권용립(경성대) 317

12.변화보다는 답습을 택한 오바마의 대외정책

마이클 H. 헌트(노스캐롤라이나대) 355



저자 소개



임상원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미국 UCLA 언론학 석사, 미국 미주리대학 언론학 박사. 고려대 정경대 학장, 언론대학원 초대원장, 고려대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현). 주요 역서 및 논문으로는 『아레오파지티카』, 『커뮤니케이션 모델』, 󰡒자유언론과 인간의 존엄성󰡓, 󰡒갈등과 전환기의 한국 저널리즘󰡓, 󰡒자유주의와 언론󰡓 등이 있다.


김홍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조지아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명예원장,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활동한다. 주요 저서로는 『현상학과 정치철학』, 『한국 정치의 현상학적 이해』 등이 있다.


이동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희대 공공대학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KBS 객원해설위원,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연수원 겸임교수, 한국정치사상학회 연구이사, 한국정치평론학회 총무이사, 경희대 NGO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대표 저작으로는 『미래와의 소통』, 『탈20세기 대화록』, 󰡒지구화 시대 시민과 시민권󰡓, 󰡒소통정치와 미디어󰡓 등이 있다.


김대영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정치학 석사와 박사를 받았다. 현재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연구교수, 동북아역사재단 홍보교육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최진홍

고려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정치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법과 소통의 정치』가 있으며, 현재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장명학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희대학교 NGO국제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학문적 주요 관심분야는 서양정치사상, NGO와 글로벌 거버넌스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지구화 시대 한국의 공화민주주의󰡓, 󰡒해방정국과 민주공화주의의 분열󰡓, 󰡒제국과 영방의 긴장 속의 신성로마제국 정부󰡓 등이 있다.


이현휘

고려대학교 정치학 박사. 현 성신여대 강사. 주요 역서 및 논문으로는 『파멸의 묵시록 : 과학적 패러다임과 일상의 사유양식』, 󰡒소명으로서의 전쟁 : 미국 대외정책 정신과 신의 눈물󰡓, 󰡒미국 대외정책의 관습과 21세기 미중관계의 전망󰡓, 󰡒화이트헤드와 근대 세계관의 철학적 성찰󰡓 등이 있다.


홍성구

강원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와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방송통신심의위원회 보도 교양 특위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밀턴의 아레오파지티카에 나타난 공화주의와 언론자유󰡓, 󰡒숙의민주주의의 이론적 보완 : 공화주의적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병택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럿거스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 연구원으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흄의 법사상󰡓, 󰡒정파의 대립과 법치󰡓, 󰡒고대 아테네의 발전과 공동성(the common)의 변천-『아테네 헌정』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다카시로 코이치

일본 주오(中央)대학 경제학과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음. 아주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를 역임한 후 현재는 일본에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일본의 이중권력, 쇼군과 천황이 있으며 정치평론가 후쿠자와 유키치 관련 논문들이 있다.


권용립

서울대학교 외교학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성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미국의 정치 문명』과 『미국 외교의 역사』가 있다.


마이클 H. 헌트

예일대학교 역사학 박사. 현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역사학과 󰡐에버렛 에머슨󰡑 명예교수. 주요 저서로는 『베트남 전쟁 독본』(A Vietnam War Reader : A Documentary History from American and Vietnamese Perspectives, 2010), 『미국의 패권』(The American Ascendancy : How the United States Gained and Wield Global Domi-nance, 2007), 『린든 존슨의 전쟁』(Lyndon Johnson's War : America's Cold War Crusade in Vietnam, 1945-1968, 1996), 『이데올로기와 미국 외교』(Ideology and U.S.Foreign Policy, 1987, 2009 재판.권용립과 이현휘가 2007년 산지니출판사에서 초판 번역 출간)가 있다. 정치평론 웹사이트, 󰡒워싱턴과 세계에 관해서󰡓(On Washington and the World) 운영. http://www.unc.edu/~mhhunt/washworld.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