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한국 민주주의 어디까지 왔나

부 제: 성과와 과제

ISBN : 978-89-7418-059-1

부가기호: 93340

가 격: 25,000원

저 자: 조기숙/정태호 외

발행일: 2012년 6월 30일

페이지: 539페이지

제본형태: 반양장본

입고예정일: 2012년 6월 10일

분 야: 사회과학

[저자약력]

김종철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하열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박용수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연구교수

박호성

국제평화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서보학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소순창

건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안병진

경희사이버대학 미국학과 교수

전재호

서강대학교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단 전임연구원

정태호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조진만

덕성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채진원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전담교수

차례

서문_ 조기숙

Chapter 1. 어떤 민주주의인가?_ 조기숙

Part 1 민주주의 제도

Chapter 2. 한국의 국회 제도적 발전과 파행적 운영_ 조진만

Chapter 3. 대통령제의 특성과 민주화 이후 한국 대통령에 대한 비교 평가_ 박용수

Chapter 4. 민주화 이후 한국의 정당 발전 정당개혁의 한계와 대안_ 채진원․조기숙

Chapter 5. 선거제도 한국의 민주주의 공고화의 최대 걸림돌_ 조기숙

Part 2 법치주의

Chapter 6. 정부형태 최근의 개헌논의를 중심으로_ 김종철

Chapter 7. 민주화 이후의 󰡐검찰개혁󰡑에 대한 반추와 검찰개혁 방안에 대한 평가_ 정태호

Chapter 8. 법원개혁의 현주소와 과제 참여정부의 사법부 개혁성과와

향후의 과제를 중심으로_ 서보학

Chapter 9. 헌법재판의 역할과 과제_ 김하열

Part 3 자치와 시민사회

Chapter 10. 미완의 분권형 선진국가 건설 새로운 방향 모색_ 소순창

Chapter 11. 시민주권론_ 안병진

Chapter 12. 민주화 이후 한국 민족주의의 변화 통일, 북한, 미국, 외국인,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_ 전재호

Chapter 13. 한국 민주주의의 전개와 평가_ 박호성

편집 후기_ 정태호

이책은:

한국 민주주의가 어디까지 왔는가 하는 문제에 천착하게 되었다. 각 분야마다 1987년 이후 우리 사회가 이룬 것은 무엇이고 이루지 못한 것은 무엇인지, 왜 실패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했다. 가능하면 외국의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우리가 앞으로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하는지 그 대안에 대해서도 고민했다. 그 결과 우리 필진 모두는 놀랍게도 유사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민주정부 10년간 한국의 민주주의에 엄청난 발전이 있었지만 질적으로 성숙한 민주주의는 아니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민주정부 10년 동안 민생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이유도 결국은 시민주권이 뿌리 내리지 못하고 국가의 권력이 약화된 공백을 사법, 검찰, 언론, 재벌 등의 특권층이 비집고 들어왔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길 닦아놓으니 누가 먼저 달린다고, 독재권력의 하수인이었던 자들이 독재정부가 사라지자 새로운 독재자가 되어 국민을 도탄에 빠뜨렸던 것이다.

특권층과 자본에 대한 문민통제를 강화하지 못한 가장 큰 책임이 김대중, 노무현 두 정부에 있다고 비판한다면 그 사람은 민주주의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제왕적 대통령론자라고 말하고 싶다. 시민사회의 질적인 성장 없이 민주주의는 불가능하다. 각 부문의 특권권력을 대통령의 권력으로만 견제하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헌법을 준수하겠다고 선서한 민주적 대통령에게 비민주적 방법으로 특권층을 제어하라고 요구하는 건 논리적 모순이기도 하다. 결국 한국 민주주의가 질적 성숙을 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미발달된 시민사회, 민주주의적 문화와 관행 및 전통의 부족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많은 이들이 한국 정치를 개혁하기 위해 개헌을 언급하거나 법과 제도의 개혁을 많이 이야기한다.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것은 물론 꼭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민주적인 법을 만들고 지키는 것도 민주적 문화와 규범에서 비롯된다. 우리 민주주의의 가장 큰 문제는 민주주의 문화와 규범이 공동체 구성원 모두에게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아무리 좋은 제도가 있어도 구성원들이 민주주의 문화를 내면화하지 않으면 성숙한 민주주의의 작동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즉 이명박 정부 들어와 한국 민주주의가 후퇴하게 된 건 아직도 우리 민주주의가 법과 제도로 정비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민주주의 문화가 국민들의 마음속에 내면화하지 못한 것이다. 다시 말해 지난 10년의 민주주의는 김대중, 노무현이라는 선의의 지도자에 의해 꽃을 피웠다.

이 책의 공저자들은 2008년 한국미래발전연구원(이하 미래연)의 탄생 이후 함께 해온 민주주의 연구회 소속 회원들이다. 미래연은 노무현 대통령이 재임 중 마음껏 진보정책을 펼치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참모들과 함께 설립한 싱크탱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장자

ISBN : 978-89-7418-732-3

부가기호: 03100

가 격: 49,000원

저 자: 신동준

발행일: 2012년 5월 25일

페이지: 1,087페이지

제본형태: 양장본

입고예정일: 2012년 5월 25일

분 야: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사상 > 기타 동양고전사상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이책은:

21세기는 풍부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소프트웨어의 콘텐츠가 국력을 좌우하는 시대이다. 『장자』는 그 보고에 해당한다. 『장자』의 보물창고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도 대부분 문예와 철학의 창고만 뒤지고 있다. 본서는 리더십 분야 창고의 문을 여는 첫 시도에 해당한다. 위정자와 기업 CEO 등의 리더십은 문예와 자연과학 분야 못지않게 창조적인 상상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분야이다. 본서가 척박한 한국의 리더십 풍토에 천공을 자유로이 넘나드는 장자의 상상력이 적극 유입되는 계기로 작용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자약력]

|신동준|

학오學吾 신동준申東埈은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역사문화 평론가다.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안목을 바탕으로 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의 저서는 독자들에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경기고 재학시절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의 대가인 청명 임창순 선생 밑에서 사서삼경과 《춘추좌전》, 《조선왕조실록》 등의 고전을 배웠다. 서울대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등에서 10여 년 간 정치부기자로 활약했다. 1994년에 다시 모교 박사과정에 들어가 동양정치사상을 전공했고, 이후 일본의 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을 거쳐 〈춘추전국시대 정치사상 비교연구〉로 모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21세기 정경연구소 소장으로 있는 그는 격동하는 21세기 동북아시대를 슬기롭게 헤쳐 나가기 위해 동양고전의 지혜를 담은 한국의 비전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으며, 서울대․고려대․한국외국어대 등에서 학생들에게 동양3국의 역사문화와 정치사상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동양3국의 역대 사건과 인물에 관한 바른 해석을 대중화하기 위해 《월간조선》, 《주간동아》, 《위클리경향》, 《이코노믹리뷰》 등 다양한 매체에 꾸준히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조선일보》 주말 판 경제섹션 〈위클리비즈〉의 인기칼럼 󰡐동양학산책󰡑을 연재 중이다.

저서 및 역서로는 《후흑학》, 《조선국왕 vs 중국황제》, 《인물로 읽는 중국 현대사》, 《삼국지 군웅과 치도를 논하다》, 《조조 사람혁명》, 《팍스 시니카》, 《열국지 교양강의》, 《춘추전국의 영웅들》(전 3권), 《실록 초한지》, 《CEO의 삼국지》,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연산군을 위한 변명》,《자치통감 삼국지》, 《춘추좌전》 등이 있다.

차례

들어가는 글

제1부 장주론

제1편 생장론

제2편 사상론

제1장 장자사상의 특징

제2장 장자사상의 구성

제1절 자연주의

제2절 문예주의

제3절 자유주의

제3장 장자사상의 전개

제2부 『장자』론

제1편 편제론

제2편 주석론

1. 내편

제1장 소요유(逍遙遊)

제2장 제물론(齊物論)

제3장 양생주(養生主)

제4장 인간세(人間世)

제5장 덕충부(德充符)

제6장 대종사(大宗師)

제7장 응제왕(應帝王)

2. 외편

제1장 변무(騈拇)

제2장 마제(馬蹄)

제3장 거협(胠篋)

제4장 재유(在宥)

제5장 천지(天地)

제6장 천도(天道)

제7장 천운(天運)

제8장 각의(刻意)

제9장 선성(繕性)

제10장 추수(秋水)

제11장 지락(至樂)

제12장 달생(達生)

제13장 산목(山木)

제14장 전자방(田子方)

제15장 지북유(知北遊)

3. 잡편

제1장 경상초(庚桑楚)

제2장 서무귀(徐无鬼)

제3장 칙양(則陽)

제4장 외물(外物)

제6장 양왕(讓王)

제7장 도척(盜)

제8장 설검(說劍)

제9장 어부(漁父)

제10장 열어구(列御寇)

제11장 천하(天下)

역자 후기

부록

1. 왕안석의 장주론

2. 장자연표

참고문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싱글라리티

ISBN : 978-89-7418-058-4

부가기호: 93320

가 격: 20,000원

저 자: 홍정

발행일: 2012년 5월 20일

페이지: 351페이지

제본형태: 반양장본

입고예정일: 2012년 5월 20일

분 야: 사회과학/광고·마케팅

[저자약력]

홍정:

한양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했고, 대홍기획, 맥켄에릭슨 등 광고대행사에서 AE와 카피라이터 및 컨셉 플래너로 일했다. 현재는 학창시절과 현업에 종사하면서 틈틈이 관심을 가져왔던 인문학에 대한 활자 유랑을 하면서 집필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관점과 논술』(2006)이 있다.

차례

■ 프롤로그 04

PART 01 _ 수레 자체를 도둑질하라!

닭도 제가 사람이라는 것을 알까요? 16

부정의 부정 19 | 냉소적 소비자 22

페티시 소비자와 환상 24 | 우울증과 마케팅 29

PART 02 _ 싱글라리티로 컨셉 플래닝하라!!

『마케팅 불변의 법칙』 34

마케팅 불변의 법칙은 없다 43

『블루오션 전략』 47

<톰과 제리>, 이것은 바로 싱글라리티 55

X, 이것은 바로 싱글라리티 58

영(Zero)-제도와 이분적 경쟁 60

모든 규정은 부정이다 62 | 제욱시스의 포도 65

파라시오스의 베일 67 | <블루 벨벳> 69

눈(目) 컨셉 플래닝 72 | 시선(視線) 컨셉 플래닝 77 싱글라리티 컨셉 플래닝 1 86

스티브 잡스와 롤랑바르트의 ‘신화’ 91

멘토는 타자의 시선 즐기기이다 95

To see is to believe 97

포지셔닝 컨셉 플래닝 99 | 마들렌 과자(기호) 107 싱글라리티 컨셉 플래닝 2 111

PART 03 _ 빨간 약을 찾아라!!!

상징계라는 브랜드들의 장 124

<나는 가수다>와 틈(공백) 127

외설적 보충항의 양가성(兩價性) 130

남성과 여성의 성차(性差)공식 135

주인기표와 벌거벗은 임금님 137

대표 브랜드 마케팅 141 | 후발 브랜드 마케팅 144

히스테리 브랜드 마케팅 148 | 진리는 여성이다 155

고흐의 <구두> 157

포틀래치와 <도둑맞은 편지> 160

<매트릭스>와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 162

반자 도지동(反者 道之動) 167

외부 마케팅의 브랜드 광고 컨셉 170

<인셉션>은 마케팅이다 179

싱글라리티 컨셉 플래닝 3 181

유명 모델 캐스팅 188 | 응시와 베네통 190

회상과 재인 193

과시(誇示)와 응시(凝視)는 다르다 196

<바르샤바에 있는 레닌> 199

본질은 외양의 외양 206

PART 04 _ 존재품에서 사유품으로

존재품과 사유품 212

네트크래트와 컨슘타리아트 215

카페인 없는 커피와 광고 218 | 몸과 생체정보 222

서울 스노우잼 2009와 독일 베를린 장벽 붕괴

20주년 기념 축제 226

PART 05 _ 전통 마케팅 VS 싱글라리티 마케팅

인문학적 상상력과 마케팅 234

마케팅 없는 마케팅 240 | 문화읽기는 마케팅이다 244

날것, 구운 것, 끓인 것 그리고… 247

자기 관리는 마케팅이다 250

유대인 치부(致富)의 비밀 253

홀바인의 <대사들>과 마케팅 255

『무지한 스승』 258

생각대로 261 | 쇼를 하라 263

아메리카, 이것은 바로 코카! 264

또 하나의 가족 266 | 칸트의 숭고함 268

아버지, 제가 불타는 것이 안 보이세요? 271

젖빨기 그 자체를 즐기는 충동, 이것은 바로 싱글라리티 274

의식은 시계소리를 패턴으로 지각한다 278

대처보다 더한 대처, 토니 블레어 281

전통적 컨셉 추출 288

싱글라리티 (불쾌) 컨셉과 아이폰 297

상상적 동일시와 상징적 동일시 302

신화적 허구의 전통 마케팅 309

어두운 곳에서는 모든 소가 검다 314

불쾌 마케팅(마케팅 없는 마케팅 : 싱글라리티 마케팅) 316

차이와 반복 마케팅 319

여기가 로두스다, 여기서 뛰어라 326

정신은 뼈다 328 |

악무한과 시간점유율 331 | 『디퍼런트』 335

진리는 허구의 구조를 갖는다 342

■ 에필로그 347

이책은:

『싱글라리티』는 도발적이고 불온한 광고·마케팅 책이다. 왜냐하면 기존 광고·마케팅인 우리 브랜드 자리매김시키기를 과감하게 버리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습관적으로 맵을 그리는 것을 그만두라는 것이다.

그 대신에 소비자가 불쾌할 정도로 우리 브랜드를 좋아하게 만들려면 어떻게 할지를 먼저 생각하라는 것이다. 불쾌까지도 좋아하도록 만들까를 먼저 고민하라는 것이다.

여기서 불쾌까지를 고려한다는 것은 예를 들자면 경제학의 한계효용 법칙을 허문다는 의미이다. 효용이 한계에 달한 상품은 폐기되어야 하는데도 그렇지 않고 더욱 각광받는 현상을 한계효용의 법칙은 설명할 수 없다. 아이폰 4는 수신불량의 치명적 약점이 있는데, 그렇다면 이 제품은 그 효용이 한계에 달해서 폐기되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소비자가 선택한다는 점을 한계효용의 법칙은 설명하지 못한다. 이것은 한계효용의 법칙이 쾌의 욕구충족 차원만을 고려하고 욕구충족 너머에 있는 불쾌 충동의 향유의 차원을 배제한 데서 비롯한다. 따라서 『싱글라리티』에서 말하는 ‘싱글라리티’란 기존 광고·마케팅의 맹점인 불쾌의 충동의 차원을 광고·마케팅에 적용한 개념이다.

싱글라리티, 자기 분야인 광고·마케팅을 허무는 것이 곧 다른 분야의 창조인 뫼비우스 띠의 구조를 갖는 불온한 광고·마케팅 전략

그 문제제기와 탐색의 방법이 인문학과 정신분석학이다. 따라서 『싱글라리티』는 인문학과 정신분석학으로 기존 광고·마케팅의 아성을 허무는 것과 동시에 ‘싱글라리티’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자약력]

최고원:

 

한국 외국어 대학교에서 문학, 역사, 철학 등을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그 후 독일로 건너가 마인츠(Mainz)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하고 나서 몇몇 대학교에서 강의를 했으며, 현재는 아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해석학, 사회이론, 문화이론, 정신분석에 관련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은 학생들과 더불어 ‘서양으로부터 나온 다양한 이론들을 어떻게 하면 우리 사회에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C·O·N·T·E·N·T·S

 

이야기를 시작하며 6

 

chapter 01 _ 학문과 진리 13

1. 학문의 영역에서 객관성 문제 13

2. 대상과 현상 사이에 선 객관성 20

3. 현상, 의식, 그리고 생활세계 29

4. 존재와 현존재 35

5. 현존재의 역사성 38

6. 현존재의 역사성과 선입견 43

7. 선입견과 존재의 진리 47

 

chapter 02 _ 진리와 비판 55

1. 이해와 지평융합 55

2. 존재와 해석학 61

3. 비판적 사회이론과 합리성 68

4. 언어의 사회성과 비판적 반성 76

5. 비판적 반성과 정당한 선입견 81

6. 영향사적 의식과 이해함의 지평 88

 

chapter 03 _ 정신분석과 의사소통 95

1. 이해의 역사성과 비판적 반성의 대립 95

2. 비판적 반성과 선입견의 극복 가능성 103

3. 일상언어와 이론언어 108

4. 정신분석과 (일반) 심리학 114

5. 무의식이 만드는 실수와 꿈 120

6. 노이로제와 집단적 무의식 128

7. 일상언어 체계와 선(先)언어적 원형상징 137

8. 이상적인 의사소통 상황과 의사소통 공동체 146

 

chapter 04 _ 놀이와 문화 153

1. 전이상황의 성격과 의미 153

2. 놀이에의 참여와 관찰 158

3. 놀이의 이론과 놀이의 본질 164

4. 호이징어의 ‘놀이’ 개념과 문화 169

5. 카이와의 ‘놀이하는 인간’과 인간의 문화 174

6. 카이와의 이론과 문화의 분석 (1) 178

7. 카이와의 이론과 문화의 분석 (2) 183

8. 놀이에서의 ‘몰입’ 개념 188

9. 놀이에서의 ‘거리두기’ 개념 199

 

chapter 05 _ 역사와 의식 215

1. 로렌쩌의 ‘장면적으로 이해하기’ 215

2. 전이상황의 제한조건들 226

3. 전이상황과 일상언어 232

4. 하버마스의 성공과 실패 237

5. 가다머와 하버마스 공통의 딜레마 243

6. 언어와 사회 250

7. 영향사적 의식과 역사적 의식 256

 

이야기를 마치며 264

참고문헌 270

 

 

이책은:

 

이 책은 사실 전문가 선생님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나 대학생들이 교양서적 정도로 읽을 수 있도록 만든 책이다. 다시 말해서 학술적인 가치보다는 교육적인 가치에 비중을 두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학술적인 느낌이 나지 않도록 최대한 애를 썼으며, 어려운 이야기들을 쉽게 풀어놓았고, 가능한 한 자세한 설명을 곁들였다. 그러다 보니 경우에 따라서는 이야기를 과감하게 단순화한 곳도 있었고, 전체적인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서 조금은 무리하게 끼워 맞춘 곳도 있었다. 아마도 전문가 선생님들이 이 책을 보게 되면 나름대로 하고 싶은 말씀들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를 잘 살피셔서 가능하면 너그러이 양해해 주시기 부탁드린다. 말씀드렸다시피 저자는 이 책을 학술적인 목적으로 전문가 선생님들께 드리기 위해 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철학을 공부하기로 마음을 굳히고 나서 가장 곤란했던 것은 어떤 책부터 읽기 시작해야 할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았다는 것이다. 몇 분 선생님들께서 추천해 주신 책들을 읽어보기는 했지만 저자가 아둔한 탓이었는지 익숙해지는 데 너무나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 책은 바로 그런 분들을 위한 것이다. 관심은 있는데 엄두가 나지 않거나 시작할 적당한 책을 찾지 못해서 망설이고 있는, 그때의 저자와 같은 분들. 그분들이 이 책의 내용에 익숙해지고 그것을 기준으로 다른 책들을 읽어나간다면 넓고 깊은 철학의 세계를 조금 더 수월하게 여행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