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한비자

부 제: 난세 리더십의 보고 한비자

ISBN : 978-89-7418-733-0

부가기호: 03100

가 격: 59,000원

저 자: 신동준

발행일: 2012년9월30일

페이지: 1447페이지

입고예정일: 2012년 9월 30일

분 야: 동양철학

저자 신동준

학오學吾 신동준申東埈은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역사문화평론가다.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안목을 바탕으로 이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의 저서는 독자들에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경기고 재학시절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학의 대가인 청명 임창순 선생 밑에서 사서삼경과 『춘추좌전』, 『조선왕조실록』 등의 고전을 배웠다. 서울대 정치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뒤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등에서 10여 년 간 정치부 기자로 활약했다. 1994년에 다시 모교 박사과정에 들어가 동양 정치사상을 전공했고, 이후 일본의 도쿄대 동양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을 거쳐 「춘추전국시대 정치사상 비교연구」로 모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21세기 정경연구소 소장으로 있는 그는 격동하는 21세기 동북아시대를 슬기롭게 헤쳐나가기 위해 동양고전의 지혜를 담은 한국의 비전을 꾸준히 제시하고 있으며, 서울대 ·고려대 · 한국외국어대 등에서 학생들에게 동양3국의 역사문화와 정치사상 등을 가르치고 있다. 동양3국의 역대 사건과 인물에 관한 바른 해석을 대중화하기 위해 『월간조선』, 『주간동아』, 『위클리경향』, 『이코노믹리뷰』 등 다양한 매체에 꾸준히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조선일보》 주말판 경제 섹션 〈위클리비즈〉의 인기 칼럼 ‘동양학 산책’을 연재 중이다.

저자 및 역서

『후흑학』, 『조선국왕 vs 중국황제』, 『인물로 읽는 중국 현대사』, 『삼국지 군웅과 치도를 논하다』, 『조조 사람혁명』, 『팍스 시니카』, 『열국지 교양강의』, 『춘추전국의 영웅들』(전3권), 『실록 초한지』, 『CEO의 삼국지』, 『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연산군을 위한 변명』, 『자치통감 삼국지』, 『춘추좌전』 등이 있다.지》,《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연산군을 위한 변명》,《자치통감 삼국지》, 《춘추좌전》등이 있다.

| 차례 |

들어가는 글5

제1부 한비론

제1편 생애론17

제2편 사상론49

제1장 한비사상의 특징49

제2장 한비사상의 구성73

제1절 도치주의(道治主義)73

제2절 법치주의(法治主義) 93

제3절 군치주의(君治主義) 112

제3장 한비사상의 전개137

제2부 『한비자』론

제1편 편제론167

제2편 주석론185

권 1

제1장 초견진(初見秦)193

제2장 존한(存韓)213

제3장 난언(難言)228

제4장 애신(愛臣)245

제5장 주도(主道)250

권 2

제6장 유도(有度)261

제7장 이병(二柄)279

제8장 양각(揚)293

제9장 팔간(八姦)315

권 3

제10장 십과(十過)325

권 4

제11장 고분(孤憤)372

제12장 세난(說難)385

제13장 화씨(和氏)398

제14장 간겁시신(姦劫弑臣)408

권 5

제15장 망징(亡徵)437

제16장 삼수(三守)448

제17장 비내(備內)453

제18장 남면(南面)462

제19장 칙사(飾邪)472

권 6

제20장 해로(解老)494

권 7

제21장 유로(喩老)552

제22장 설림(說林) 상590

권 8

제23장 설림(說林) 하629

제24장 관행(觀行)670

제25장 안위(安危)674

제26장 수도(守道)684

제27장 용인(用人)692

제28장 공명(功名)703

제29장 대체(大體)708

권 9

제30장 내저설(內儲說) 상715

권 10

제31장 내저설(內儲說) 하778

권 11

제32장 외저설(外儲說) 좌상841

권 12

제33장 외저설(外儲說) 좌하918

권 13

제34장 외저설(外儲說) 우상968

권 14

제35장 외저설(外儲說) 우하1026

권 15

제36장 난일(難一)1073

제37장 난이(難二)1106

권 16

제38장 난삼(難三)1130

제39장 난사(難四)1161

권 17

제40장 난세(難勢)1183

제41장 문변(問辯)1195

제42장 문전(問田)1199

제43장 정법(定法)1204

제44장 설의(說疑)1214

제45장 궤사(詭使)1239

권 18

제46장 육반(六反)1252

제47장 팔설(八說)1271

제48장 팔경(八經)1289

권 19

제49장 오두(五)1315

제50장 현학(顯學)1352

권 20

제51장 충효(忠孝)1375

제52장 인주(人主)1388

제53장 칙령(飭令)1394

제54장 심도(心度)1401

제55장 제분(制分)1407

부록

1. 왕충王充의 『논형論衡』 「비한非韓」1414

2. 한비연표1437

참고문헌1439

책소개:

21세기의 관점에서 볼 때 『한비자』는 동서고금을 통틀어 난세 리더십의 압권에 해당한다. 실제로 진시황은 『한비자』를 읽고 5백여 년에 달하는 춘추전국시대의 난세상황을 일거에 종식시켰다. 삼국시대 당시 천하의 재사 제갈량도 죽기 직전 후주 유선에게 올린 글에서 반드시 『한비자』를 숙독할 것을 권한 바 있다. <신 중화제국>의 창업주인 모택동 역시 『한비자』의 애독자였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한비자』가 난세 리더십의 정수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난세에는 인간의 비도덕적이고 이기적인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날 수밖에 없다. 한비韓非는 이를 통찰했다. 이익을 향해 달려가는 인간의 호리지성好利之性은 한비의 성악설을 달리 표현한 것이다. 맹자의 성선설과 극명하게 대립하는 성악설의 장본인은 순자가 아닌 한비였다. 그는 유가에서 천심天心으로 비유하는 민심조차 호리지성의 표현에 불과한 것으로 보았다. 『한비자』 「현학」의 해당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법과 정치

부 제: 보통법의 길

ISBN : 978-89-7418-066-9

부가기호: 93340

가 격: 25,000원

저 자: 김홍우

발행일: 2012년9월20일

페이지: 623페이지

입고예정일: 2012년 9월 20일

분 야: 정치학/ 법학

저자 약력:

김홍우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석사

미국 조지아 대학 정치학 박사

공군사관학교 교관

경희대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교수

미국 프린스톤 대학 객원교수

미국 노틀담 대학 객원교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동양정치사상학회 회장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명예원장

대한민국 학술원 위원

차례

저자의 말 4

Ⅰ. 머리말을 대신하여 9

Ⅱ. 강의개요 75

Ⅲ. 보통법 개관101

Ⅳ. 홈즈 명제139

Ⅴ. 시민적 사고의 사례들183

Ⅵ. ‘생활세계’와 법215

Ⅶ. 법과 정치의 대화: 『홈즈-라스키 서한집』에서295

Ⅷ. 『보통법』 특강 333

Ⅸ. 맺는말365

부록_자료목록 1-17383

책소개:

보통법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법적 토대를 보통사람들의 “편리”(convenience)에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에서 보통법은 한편으로는 강자의 “힘” 에 토대를 둔 실정법과, 다른 한편으로는 “이성” 에 토대를 둔 자연법과 대비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명: 근대 탈근대 정치의 이해

ISBN : 978-89-7418-065-2

부가기호: 93340

가 격: 19,000원

저 자: 백창재 외

발행일: 2012년9월20일

페이지: 435페이지

입고예정일: 2012년 9월 20일

저자 약력:

유홍림(柳弘林) honglim@snu.ac.kr

Rutgers University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현대 정치사상 연구』(인간사랑, 2003), 『현대 정치와 사상(역사』(인간사랑, 2005), 『전쟁과 정의(역사』(인간사랑, 2009) 등

임경훈(林炅勳)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러시아 기업 지배구조의 형성』(세종연구소, 1999), “비교민주화 이행론과 러시아의 탈공산주의 이행,” 『국제정치논총』(2003) 등

정병기(鄭柄基) byungkee@ynu.ac.kr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주요 저술_『기초 자료로 본 독일 통일 20년』(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제3의 길과 신자유주의』(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등 다수

김남국(金南局)nkim98@gmail.com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주요 저술_Deliberative Multiculturalism in Britain(2011, Peter Lang), Globaliz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and Asia(2009, Ashgate) 등 다수.

임혜란(林惠蘭) hrlim@snu.ac.kr

UC 데이비스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한국과 국제정치』 2012, 28권 1호,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al States : Political Economy of Economic Reform in Korea,”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May 2010, 40(2) 등 다수

홍태영(洪泰永) tyghong@hanmail.net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정치학 박사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부 부교수

주요 저술_『국민국가의 정치학』(후마니타스, 2008), 『정체성의 정치학』(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등 다수

이병택(李秉澤) caute@snu.ac.kr

Rutgers University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BK사업단 연구교수

주요 논문_“자유주의와 공동성”,“정파의 대립과 법치”등

김범수(金範洙) bramhs@snu.ac.k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주요 저술_『인권의 정치사상』(이학사, 2010), 『전후 일본의 보수와 표상』(서울대학교 출판부, 2010) 등 다수

류석진(柳錫津) sjlew@sogang.ac.kr

예일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주요 저술_『스마트-소셜 시대의 민주주의와 거버넌스』(서울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세계경제위기와 한국형 자본주의 모델 : 발전국가, 자본주의 모델 그리고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28권 1호(2012) 등 다수

이상신(李相信) sslee2310@gmail.com

아이오와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BK21사업단 연수연구원

주요 저술_“정치심리학 : 역사와 현황,” 『현상과 인식』(2009), “정부신뢰의 위기 :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2010) 등 다수

구갑우(具甲祐) kwkoo@kyungnam.ac.kr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주요 저술_『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후마니타스, 2007), 『국제관계학 비판 :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후마니타스, 2008) 등 다수

백창재(白昌宰) cjbaik@snu.ac.kr

UC 버클리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미국 패권 연구』(인간사랑, 2009), 『현대 미국 정치의 이해』(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등 다수

차례

책머리에 … 5

1장 /현대 사회의 특징과 정치의 역할 11

2장/대의민주주의의 원리와 대안 43

3장 /계급과 정치 79

4장 /지구화시대의 시민권 107

5장 /성 평등의 정치 143

6장 /문화와 정치 173

7장 /종교와 정치 209

8장 /환경과 정치 237

9장 /정보사회의 정치 299

10장 /과학과 기술의 정치 319

11장/지구화 시대의 국제정치 비판 349

12장 /세계화의 도전 397

책소개:

정치학 개론서들 대부분은 정치의 개념을 규정하면서 시작한다. “정치란 무엇인가” 많은 교과서들이 애용하는 정의는 반세기도 전에 이스턴이 규정한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이다. 이스턴의 정의는 사회과학의 핵심 개념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무언가 모자란다. 이론적 편향도 문제이고, 분배가 정치의 모두도 아닐뿐더러 정당성을 당연시하고 있는 가치편향도 깔려 있다. 무엇보다도 정치에 대한 상식적이고 직관적인 이해를 담아내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정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시각에서 이해되어 왔다. 하나는 정치의 본질을 권력 현상에서 찾는다. 정치란 권력을 추구, 획득, 행사, 유지하는 모든 현상인 것이다. 반면 다른 하나의 시각은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개체성을 구성하고 표현하는 과정으로 정치를 이해한다. 전자가 마키아벨리와 홉스로부터 현대 국제정치학자들로 이어지는 현실주의의 입장이라면, 후자는 고대 그리스로부터 아렌트와 현대 참여민주주의자들로 이어지는 전통이다.

현대 정치는 이처럼 근대 민주주의가 급속히 확대·심화·변형되는 과정에 있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