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근대 탈근대 정치의 이해

ISBN : 978-89-7418-065-2

부가기호: 93340

가 격: 19,000원

저 자: 백창재 외

발행일: 2012년9월20일

페이지: 435페이지

입고예정일: 2012년 9월 20일

저자 약력:

유홍림(柳弘林) honglim@snu.ac.kr

Rutgers University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현대 정치사상 연구』(인간사랑, 2003), 『현대 정치와 사상(역사』(인간사랑, 2005), 『전쟁과 정의(역사』(인간사랑, 2009) 등

임경훈(林炅勳)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러시아 기업 지배구조의 형성』(세종연구소, 1999), “비교민주화 이행론과 러시아의 탈공산주의 이행,” 『국제정치논총』(2003) 등

정병기(鄭柄基) byungkee@ynu.ac.kr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주요 저술_『기초 자료로 본 독일 통일 20년』(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제3의 길과 신자유주의』(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등 다수

김남국(金南局)nkim98@gmail.com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주요 저술_Deliberative Multiculturalism in Britain(2011, Peter Lang), Globaliz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and Asia(2009, Ashgate) 등 다수.

임혜란(林惠蘭) hrlim@snu.ac.kr

UC 데이비스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대변환기의 국제정치경제질서: 패권과 신자유주의 질서의 변환,” 『한국과 국제정치』 2012, 28권 1호,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al States : Political Economy of Economic Reform in Korea,”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May 2010, 40(2) 등 다수

홍태영(洪泰永) tyghong@hanmail.net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정치학 박사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부 부교수

주요 저술_『국민국가의 정치학』(후마니타스, 2008), 『정체성의 정치학』(서강대학교 출판부, 2011) 등 다수

이병택(李秉澤) caute@snu.ac.kr

Rutgers University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BK사업단 연구교수

주요 논문_“자유주의와 공동성”,“정파의 대립과 법치”등

김범수(金範洙) bramhs@snu.ac.k

시카고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주요 저술_『인권의 정치사상』(이학사, 2010), 『전후 일본의 보수와 표상』(서울대학교 출판부, 2010) 등 다수

류석진(柳錫津) sjlew@sogang.ac.kr

예일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주요 저술_『스마트-소셜 시대의 민주주의와 거버넌스』(서울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세계경제위기와 한국형 자본주의 모델 : 발전국가, 자본주의 모델 그리고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28권 1호(2012) 등 다수

이상신(李相信) sslee2310@gmail.com

아이오와대학교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BK21사업단 연수연구원

주요 저술_“정치심리학 : 역사와 현황,” 『현상과 인식』(2009), “정부신뢰의 위기 :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2010) 등 다수

구갑우(具甲祐) kwkoo@kyungnam.ac.kr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주요 저술_『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후마니타스, 2007), 『국제관계학 비판 :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후마니타스, 2008) 등 다수

백창재(白昌宰) cjbaik@snu.ac.kr

UC 버클리 정치학 박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주요 저술_『미국 패권 연구』(인간사랑, 2009), 『현대 미국 정치의 이해』(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등 다수

차례

책머리에 … 5

1장 /현대 사회의 특징과 정치의 역할 11

2장/대의민주주의의 원리와 대안 43

3장 /계급과 정치 79

4장 /지구화시대의 시민권 107

5장 /성 평등의 정치 143

6장 /문화와 정치 173

7장 /종교와 정치 209

8장 /환경과 정치 237

9장 /정보사회의 정치 299

10장 /과학과 기술의 정치 319

11장/지구화 시대의 국제정치 비판 349

12장 /세계화의 도전 397

책소개:

정치학 개론서들 대부분은 정치의 개념을 규정하면서 시작한다. “정치란 무엇인가” 많은 교과서들이 애용하는 정의는 반세기도 전에 이스턴이 규정한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이다. 이스턴의 정의는 사회과학의 핵심 개념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무언가 모자란다. 이론적 편향도 문제이고, 분배가 정치의 모두도 아닐뿐더러 정당성을 당연시하고 있는 가치편향도 깔려 있다. 무엇보다도 정치에 대한 상식적이고 직관적인 이해를 담아내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정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시각에서 이해되어 왔다. 하나는 정치의 본질을 권력 현상에서 찾는다. 정치란 권력을 추구, 획득, 행사, 유지하는 모든 현상인 것이다. 반면 다른 하나의 시각은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개체성을 구성하고 표현하는 과정으로 정치를 이해한다. 전자가 마키아벨리와 홉스로부터 현대 국제정치학자들로 이어지는 현실주의의 입장이라면, 후자는 고대 그리스로부터 아렌트와 현대 참여민주주의자들로 이어지는 전통이다.

현대 정치는 이처럼 근대 민주주의가 급속히 확대·심화·변형되는 과정에 있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