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와 게의 전쟁]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원숭이와 게의 전쟁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 처음 이 소설이 재미있겠다고 생각한 이유는 띠지와 이 책의 선전문구 때문이었다. '바텐더 vs 5선 의원'이나, 책 뒷표지에 적힌 '착한 사람이 손해 보는 세상이어서는 안 돼!'라는 문구는 내 호기심을 제대로 자극했었다. 나 역시 착한 사람이 손해보는 세상은 싫다. 그러나 실제 세상에서는 착한 사람들은 대부분 손해를 본다. 적어도 소설 속에서만이라도 좋으니까 통쾌한 소설을 보고 싶었다. 박씨부인전같은 거 말이다. 책 후미를 보면 작가도 그런 작품을 쓰려고 한 것 같은데, 다 읽고 난 뒤의 이 찝찝함은 뭘까.

  나는 애초에 이 소설을 읽을 때 어떤 기대같은 것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니까 소시민 판타지 같은 거 말이다. 아무것도 아닌 사람들이 모여서 만들어내는 '보통 사람드르이 복수극'이라니 얼마나 구미 당기는 말인가! 차마 대적해보기도 힘들 것 같은 거대한 조직이라거나 세력에 맞서는 개인의 승리같은 거 말이다. 그래, 그러니까 '에린 브로코비치' 같은 거.

  그런데 이 소설은 그런 나의 기대에 제대로 어긋난다. 물론, 나는 소심한 소인배지만, 작품이 내 기대와 다르다고 화를 내는 그런 종류의 소인배는 아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이 작품은 영 찝찝하다. 애초에 사건의 시작부터가 잘못되었다. 이 소설의 실질적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준페이는 어느 날, 뺑소니 사건을 우연히 목격하게 된다. 그런데 다음 날 그 뺑소니 사건의 범인이라 자수한 사람은 자신이 목격한 사람과 완전히 다른 사람이었다. 그래서 준페이는 이 사건의 진범을 찾아 협박할 계획을 세우게 되고, 이 덕(?)에 여기 등장하는 사람들이 얽히고 섥힌다. 잠깐, 준페이의 행동 역시 범죄 아냐? 소설 속에서 준페이 스스로 '우리의 행동도 범죄 아니냐'는 말을 언급한다만, 그럼에도 준페이는 이 사건에 대해 어떠한 벌도 받지 않는다. 도리어 뺑소니 사건의 진범의 처지를 알게 된 준페이는 그를 감싸주려는 듯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나중에 그 사람은 준페이를 도와주기도 하고... 이야기가 뭐 이래 싶게, 여기 등장하는 사람들은 모두 해피엔딩을 맞이하게 되는데, 나는 그게 참 마음에 들지 않더랬다.

  좋은 게 좋은 거지

  내가 가장 싫어하는 말 중 하나가 저거다. '좋은 게 좋은 거다'라는 말로 사람들은 내가 보기에는 불합리하기 짝이 없는 일을 강요한다. 저 말로 작은 비리를 덮고, 저 말로 작은 부정에는 눈을 감아야 하고, 상사의 부당한 요구를 받아들여야 하고... 지금은 나도 사회 물이 적잖이 들었는지, 어느 정도 포기를 하고 아무렇지 않게 눈 감고 귀 막고 일하고 있다만, 아직도 머리까지 다 바꾸지 못했는지 덜 막힌 입에서는 불평불만이 궁시렁궁시렁 새어나오곤 한다. 그런데 소설 속에서까지 내가 이런 '좋은 게 좋은 거'를 봐야 해? 준페이와 도모키의 협박은 유야무야 없던 일처럼 되는 거고, 결국 미나토 게이지의 형은 (본인이 선택한 거라고는 해도) 아무런 죄도 없이 교도소에 있고, 미나토 게이지 본인은 부활 무대를 제대로 치뤄내고, 이런 사정에도 불구하고 도모카는 미나토를 미워하지도 않고? 뭐가 이래. 이것이 현실이었다면, 저렇게 덮어놓은 사건들은 나중에 곪아들어가 악취를 뿜으며 터져나올 것이다. 결국, 죄를 만드는 것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변하지 않았다. 순간적인 축제에 휩쓸려 취한 것일 뿐이다.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언젠가 같은 죄는 반복된다. 뺑소니를 보고 순간적으로 협박할 생각을 가진 그 사람. 생각 뿐이 아니라 그걸 실제로 옮기기까지 한 그 사람 말이다. 세상은 자신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옳게 된다고, 오히려 자신이 옳지 못할지도 모른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실제적으로 그 사람이 더 옳은 사람이겠지만, 옳지 못한 사람이 된다며, '그래서' 여기 나오는 사람들은 '바로 그래서' 그 의심을 멈추고 옳다고 주장하며 전진할 뿐이다.

  .....후련한 이야기에는 독도 들어있는디(p.545)

  새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억울할지 몰라도 아주 작은 것까지 꼬투리를 잡힐 게 없을 정도로 도덕적으로 결백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그 사람이 만드는 세상은 이전과 같은 세상일 뿐이다. 오히려 이 책에서 가장 기억남는 사건은 야쿠자가 운영하던 건설회사가 도산하자 그 회사를 또 다른 야쿠자 그룹이 싸게 인수한 사건, 아주 작은 그 사건이다. 착한 사람이 손해보는 세상이어서는 안 된다고 하지만, 이 책에는 착한 사람이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그 착하지 않은 사람들은 손해를 보지 않더라. 아니, 착하지 않아서 손해보지 않는 것 같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