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지음, 박은정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년 챙겨보는 것도 아니지만 매년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될 때마다 그래도 그 작가의 작품을 한 번씩 찾아보기는 한다. 아니, 정확히는 내가 굳이 일부러 찾지 않아도 온라인 서점에서 수상자 발표가 나면 선전을 빵빵 해 주니 자연스럽게 작품을 찾아보게 되는 것에 가깝달까.


 어쨌거나 올해 수상자인 스베클라나 알레시예비치의 작품이라기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 바로 이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이다. 제목 자체로도 흥미롭고, 내용 소개를 보니 더 흥미로웠다. 이 작품은 제 2차 세계대전에 참가한 여자들, 하지만 기억되지 못한 여자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여성들은 참전하여 저격수가 되거나 탱크를 몰기도 했고, 병원에서 일을 했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전쟁의 일부가 되지 못한다. 전쟁을 겪은 여성들에겐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그들은 전쟁 이후 어떻게 변했으며, 사람을 죽이는 법을 배우는 건 어떤 체험이었나? 이 책에서 입을 연 여성들은 거의 대부분 생애 처음으로 자신의 전쟁 가담 경험을 털어놓는다. 여성이 털어놓는 전쟁 회고담은 전쟁 베테랑 군인이나 남성이 털어놓는 전쟁 회고담에서는 철저히 배제되어온 이야기이다. (출판사의 책 소개 중에서)

 초반에 '어떻게 이 책이 세상에 나왔나'를 운운하는 부분은 조금 힘겨울 수도 있지만, 일단 이 부분을 넘어 각종 인터뷰들이 본격적으로 나오는 부분들이 시작되면 그 때부터 책장은 쉼없이 넘어간다. 그리고 그 기록들은 정말이지 읽어볼 가치가 충분하다.

 이 책의 독특한 점은 전쟁의 참상을 이야기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 책이 말 그대로 '여성'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전쟁이 나면 아이들과 여자들이 제일 불쌍하지' 식의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내게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전쟁의 참상에 대해 말하는 부분들이 아니었다. 그들의 이야기 중에 문득 문득 드러나는 이야기들, 그리고 그 이후 그녀들의 삶 자체에서 짙게 공감할 수 밖에 없는 짙은 감성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런 거다. 지금은 책을 반납해버려서 정확히 인용하기는 어렵지만, 에피소드 중에 이런 이야기가 있었다. 한 여성이 행군 중인가 제비꽃을 보고 그것을 꺾어 총에 꽂아두었다가 깜빡 그것을 빼는 걸 잊었다. 그걸 본 상관은 화를 내며 당장 빼라고 하며 벌로 3일 간 밤샘 경계 근무인가를 서라고 하는데 자신은 그 꽃을 주머니에 간직하고서는 기쁘게 근무를 서며 새벽의 고요함과 아름다움을 느꼈단다. 아, 그렇지. 그리고 자신이 아끼는 빨간 목도리에 집착하다가 그 목도리때문에 죽게 된 동료의 이야기를 하는데, 그 이야기를 해 주는 여자는 안타까움을 보일 지언정 그 친구를 보고 참 바보같았다는 말은 하지 않는다. 나 역시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 오히려 왜 그랬는지 굳이 설명이 필요하지도 않았다. 나 역시 그랬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아무리 적군이라도 '사람'을 죽일 수가 없어서 친구와 함께 네가 먼저 하라고 미뤘다는 이야기에는 웃음과 눈물이 동시에 나올 것 같았다. 이들에게 누가 어리석다고 할 수 있을까. 이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가득하다. 가방을 잘라서 치마같은 군복을 만들었다거나, 여자 속옷에 감격한 이야기들(이건 정말 많다), 그리고 전쟁 중에 노래를 부르고 시를 읊었던 이야기들. 하지만 그렇게 전쟁 중에 목숨바쳐 싸웠으면서도 기억되지 못하고, 배척받고, 입을 봉하고 살아야 했던 나날들에 대한 이야기들도. 단지 여자라는 이유로 말이다.

 내가 정말 놀라며 이해되지 않았던 건 이들이 전쟁에서 무엇을 겪었고 무엇을 느꼈느냐가 아니었다. 먼저 놀란 건 이렇게 전쟁에 참가한 여성들이 생각보다 너무 어렸다는 점이다. 스무살, 서른살의 여성들이 아니라 십대의 소녀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열세살 짜리 아이가 자원해서 나갔다는 말도 있었다. 십대라니! 아니, 십대가 뭘 안다고! 두 번째로 놀란 건, 그렇게 어린 소녀들이 '자원해서' 나갔다는 것이다. 내가 이 책을 읽고 주변의 많은 사람들과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는데, 열이면 열 모두 '그 여성들은 징집되어 전쟁터에 갔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 역시 책을 읽기 전에는 그렇게 생각했다. 아니다. 대부분은 자원해서 나갔다. 물론 그렇게 '징집되어' 나간 사람들도 있었다. 의사였다거나 특기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 말이다. 그런 건 나도 예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채 학교도 제대로 졸업하지 않았던 십대들까지, 그것도 '넌 전쟁에 나가기 너무 어리니 돌아가라'라는 말을 들었음에도 몇 번씩이나 관청에 찾아가 간청을 해서 갔다는 이야기도 많았고, 친구들 배웅갔다가 트럭에 몰래 숨어타서 전쟁에 나갔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그렇게 전쟁에 나간 사람들은 말한다.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전쟁이 났으니 자신은 당연히 전장에 나가서 싸워야 한다고 생각했단다. 그렇게 왜 그렇게 생각했을까? '눈을 뜨면 전쟁에 나가라고 독려하는 선전물들에 둘러싸여 있고' '학교에서는 나라를 위해 살아야 한다고 배웠기' 때문이란다. 최근 국정 교과서 문제로 시끄러워서 그런지 나는 이런 부분들이 눈에 들어왔다. 어떤 이들은 말한다. 교과서 하나 바뀌는 걸로 뭐가 그렇게 달라지겠느냐고. 그런데 정말 달라질 수 있다. 그게 교육의 무서운 점이다. 십대 아이들을 전쟁에 내몰만큼. 그것도 자신이 그것을 원한다고 생각하게 만들어서 말이다. 어려서 그렇다고? 내 친구는 20대에 들어간 학교의 채플 시간에 영향을 받아 그 종교를 가지게 되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그 종교에 대한 반감은 없어졌던 걸.(심지어 소위 말하는 '이단'이라는 종교인 걸 알면서도) 그 친구가 어리석어서 그랬을까? 교과서 말고도 역사를 알려주는 다른 자료는 많지 않냐고? 그걸 '잘' 판단해서 '제대로' 전달해 줄 수 있는 어른이 아이들 근처에 몇이나 되는데?

정말 여러모로 무서운 책이었다. 정말 여러모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5-11-13 2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길들지 않고 배워야 한다고...
참말 휩쓸리지 않고 스스로 삶을 지어야 한다고...
하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이카 2015-11-15 17:11   좋아요 0 | URL
하지만 그것이 또 쉽지가 않다는 게 문제입니다. 삼인성호라고 주변에서 한 목소리로 떠들면 없는 일도 만들어내는 건 너무나 쉬운 일이고, 혼자서 휩쓸리지 않고 있다고 한들 영향을 안 받을 수 있을까요.

당장 저희 어머니만 해도 `교과서? 잘못된 거 고치겠다는 게 뭐가 문제냐?`라고 하시더라고요. 저희 어머니가 특별히 어리석어서일까요.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는 언론에서 떠들어대는 이야기, 주변에서 하는 이야기를 마치 자신의 생각인 양 받아서 말하는 사람들을 훨씬 더 많이 만나봤습니다.

여러모로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