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생활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당신은 어떤 생활을 원하십니까?”

97세의 프랑스인이 어느 일본인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 일본인의 질문은 “앞으로 일본인은 어떤 주거 방식을 선택하면 좋겠습니까?”라는 질문이었다고 기억한다.

이것은 1998년 가을 OZONE에서 열린 ‘샤를롯 페리안’전의 오프닝에서 오고 간 대화였다. 1999년 98세로 돌아가신 건축가 페리안 씨는 르코르뷔지에의 파트너로서 가구 디자인으로도 유명하다. 일본에도 두 번 방문했다.

나는 그 답변을 들었고 쇼크를 받았다. 맞다. 우리들이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모르는 한, 아무리 유명하고 우수한 건축가와 디자이너에게 일을 의뢰하더라도 뭔가 될 수가 없다.

나로서는 이런 당연한 일을 제대로 생각해 본 적도 없으니 참 부끄럽다. 하지만 많은 일본인들도 이런 상태이지 않을까.

서양과 비교해 일본인의 주거의식이 낮다고들 한다.

전쟁 후 폐허에서 출발해 아무래도 살 수만 있으면 된다는 생각에서부터, 주거의 질은 상관 않는 상태로 50년 이상을 지내 왔다. ‘옷과 음식이 충분하니 주거를 알겠다.’고 말한 게 누구더라. 50년이 지나서야 결국 생활의 질을 추구하는 단계에 이른 것이다. 과거는 과거다. 앞으로 어찌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나는 ‘일본인과 주거’라는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직장에 다니고 있다. 직장을 옮기기 전에는 ‘주거’라 하면 잠자리만 있으면 그만이라고 생각했다. 주거가 뭔지 생각할 일도 없었다.

내 경제력으로는 제대로 된 집에 살 수도 없다. 돈만 있으면 어떨지 몰라도 난 없다. 하지만 돈만 있다고 좋은 집을 가질 수 있는 것도 아닐 것이다. 연예인, 정치가, 부자들이 모두 좋은 집에 살고 있다고 단정할 수도 없다. 대부분이 겉만 번드르르한 큰 집에 살고 있는 것뿐이라는 느낌이었다. 물론 가난한 나의 편견일 수도 있지만.

“나는 어떤 생활을 하고 싶은 걸까?”

“누구와 어디서 어떤 집에 살고 싶은 걸까?”


집에 맞추어 생활을 생각한다

1층 9평, 2층 6평, 모두 15평이다. 3×3평의 정방형인 집. 우리들 가족 네 사람은 이 집에서 살게 된다. 어떤 생활양식이 좋을까.

보통 집을 신축할 때는 그 가족의 생활방식에 맞추어 집의 형태와 기능을 결정한다.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기성품이 아닌 집 짓기이니까 가족의 생활에 맞추어 집을 주문한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조금 이상하기도 하다. 그 가족밖에 살 수 없는 집이라니, 그런 게 정말 있을까.

아마 어느 정도는 누구라도 살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하다. 특별한 집이 아닌 보통의 집. 기본적인 집. 아마도 1952년 당시 마쓰자와 씨도 그런 생각을 하며 자기 집을 만들었을 테지. 누구나 살 수 있는 일반적인 집. 4인 가족 정도가 기분 좋게 살 수 있는 집을 목표로 했겠지.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집은 50년 이상 지난 지금도 일반적인 집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 요즘의 주택 기준은 방 몇 개, 넓이 얼마 등으로 따진다. 집을 크기로 판단하는 세상이다.

방이 몇 개인가가 가장 중시된다. 부동산 광고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이다. 집 가격을 올리려는 의도일까. 방의 숫자만으로 집의 가치를 이해하는 일본인이 많아서일까. 원래 넓은 집에 무리해서 방을 여러 개 만들면 점점 더 좁은 집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많은 건축가들이 방 몇 개, 하는 식의 사고방식으로 집을 만드는 것을 이제 좀 그만두면 좋겠다.

마쓰자와 주택은 방 몇 개 식의 사고방식으로 만든 집이 아니다. 어찌 보면 방 하나짜리 집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것도 바람이 통하는 공간이 있어 입체적인 원룸이다. 개인의 방은 없고 침실은 문으로 구분해 두었을 뿐이다. 누가 떠들면 그 소리가 집 전체에 울린다. 집 어디에 있든지 가족의 기운이 느껴진다.

우리 가족은 이 원룸 같은 집에 맞는 생활방식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 집에 살기 위해 어떤 생활방식이 적당할까.

신축임에도 불구하고 생활에 맞춘 집을 생각하지 않고, 집에 맞춘 생활을 생각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와 반대라면 반대이겠지만, 임대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그곳에 맞는 방식을 찾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생활과 주거방식이 깊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멋진 집이라 하더라도 거기에 살고 있는 사람의 주거방식이 좋지 않다면 좋은 집은 가능하지 않다. 우린 그런 생각들에 쫓기고 있었다.

이 최소한 주거 주택에 살 자격이 우리에게 있는 것일까. 아무리 리디자인이라고 해도 그 원형이 전후 주택사에 남은 명작이니 말이다. 집은 좋은데 사는 사람이 별로라는 소리는 듣고 싶지 않지만, 집에 맞추어 답답한 생활을 하기도 싫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